[더구루=김예지 기자] LG CNS가 'ITS 세계총회 2025(ITS World Congress 2025)'에 참가한다.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디지털 트윈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한 다양한 기술을 공개하며 글로벌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20일 ITS 세계총회 조직위원회 등에 따르면 LG CNS는 오는 24일부터 28일까지 미국 조지아주 애틀란타에서 개최되는 ITS 세계총회 2025에 참가해 최신 스마트 모빌리티 솔루션을 선보인다. 올해 '오늘의 기술을 적용하여 내일의 가능성을 열다(Deploying Today, Empowering Tomorrow)'를 주제로 열리는 ITS 세계총회는 세계 최대 ITS 기업간거래(B2B) 전시회다. 현재 상용화된 지능형 교통 기술과 미래 교통 혁신 방안을 모색한다. LG CNS는 △AI 기반 실시간 교통 데이터 분석 및 예측 △차량과 사물 간 통신(V2X) 기술 △자율주행 인프라 연동 솔루션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 물류 최적화 △디지털 트윈을 활용한 가상 환경 시뮬레이션 등 차세대 모빌리티 핵심 기술과 서비스들을 대거 공개한다. 최신 기술 발표·시연, 해외 파트너사와의 네트워킹을 통한 글로벌
[더구루=김예지 기자] 두산밥캣이 글로벌 '공급사 성과지표(Supplier Scorecard)'를 도입하고 자사의 첫 우수 공급업체상(Supplier Excellence Award) 수상 기업을 선정했다. 글로벌 공급 파트너와의 신뢰를 기반으로 협업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20일 영국의 전자시스템 전문기업 펙트론(Pektron PLC)에 따르면 펙트론은 두산밥캣의 2024년 글로벌 공급망 평가에서 탁월한 성과를 인정받아 전 세계 9개 우수 공급사 중 한 곳으로 이름을 올렸다. 영국 기업으로는 유일하게 수상 명단에 포함됐다. 우수 공급업체상은 공급업체 성과지표의 △품질 △납기 △기술 협력 등 주요 항목을 정량·정성 평가해 선정됐다. 이번 수상 기업에는 펙트론 외에도 프랑스의 포클랭(Poclain) 등 총 9개 업체가 포함됐다. 펙트론은 두산밥캣 장비에 탐재되는 전자부품을 공급하는 핵심 파트너사로 오랜 기간 꾸준히 협력해온 기업이다. 이번 수상을 계기로 양사의 전략적 관계는 한층 더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마이클 우드(Michael Wood) 두산밥캣 최고조달책임자(CPO·전무)는 "펙트론은 꾸준한 기술력과 협업으로 당사 제품 경쟁력 강화에 기
[더구루=김예지 기자] 두산로보틱스가 미국 현지에서 차세대 로봇 전문인력 양성에 본격 나선다. 미국의 연구 선도 대학과 협력해 북미 로봇 인력 양성 '허브' 역할을 확대한다. 20일 두산로보틱스에 따르면 전날 미국 메인대학교(University of Maine) 오로노 캠퍼스 내 첨단제조센터(Advanced Manufacturing Center, AMC)에 공인 교육센터(Authorized Training Center)를 개소했다. 북미 기준으로는 텍사스 플라노에 이은 두 번째 공인 교육센터이며, 미국 대학과 협력해 설립한 첫 번째 사례다. 이번 협업을 통해 두산로보틱스는 현지 로봇 기술 확산과 숙련 인력 확보에 기여할 방침이다. 프로젝트에는 메인주 포틀랜드를 기반으로 한 두산의 공식 유통사 IAS(Industrial Automation Supply)도 참여한다. IAS는 지역 제조업체에 자동화 솔루션을 직접 공급하며 교육과 산업 현장을 연결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새롭게 문을 연 교육센터는 △로봇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 △산업 현장 응용 등 실습 중심의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두산로보틱스는 자체 로봇 시스템과 교육 키트·교재를 지원한다. 학생은 물론 일반인
[더구루=김예지 기자] 삼성전자가 미국의 통합 인프라 솔루션 전문 기업 인테그리티 네트웍스(lntegrity Networks)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특히 이번 협력은 데이터 센터, 국방 시설, 금융 기관 등 높은 수준의 보안이 요구되는 환경에서 빛을 발할 전망이다. 19일 인테그리티 네트웍스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인테그리티 네트웍스는 기업·정부 고객을 위한 미래지향적 네트워크 인프라를 공동 구축하고 보안이 강화된 디지털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협력에 나선다. 삼성전자의 첨단 기술력과 인테그리티 네트웍스의 현장 중심 구축 역량이 결합돼, 글로벌 사물인터넷(loT) 인프라 시장에서 보다 스마트하고 안전한 디지털 환경 조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양사의 협업은 기술적 시너지를 극대화함으로써 고객 맞춤형 최적 솔루션을 제공하고, 스마트 인프라 생태계 확장에 중추적 역할을 할 전망이다. 특히, 약 1조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올해 글로벌 IoT 인프라 시장에서 이번 파트너십의 의미는 더욱 크다. 삼성전자는 △인공지능(AI) 기반 네트워크 가속 △오픈·가상 무선접속망(Open/Virtual RAN) △고도화된 IoT 솔루션 등을 바탕으로 글로벌
[더구루=김예지 기자] 삼성SDI가 글로벌 에너지 저장장치(ESS) 시장 공략에 시동을 건다. 글로벌 수요가 급증하는 상업용 ESS 시장에서 신제품을 앞세워 기술력과 시장 점유율을 동시에 끌어올린다는 전략이다. 19일 삼성SDI에 따르면 다음달 9일부터 11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 베네시안 엑스포에서 열리는 '북미 최대' 신재생에너지 전시회 'RE+ 2025'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삼성SDI는 전시회에서 차세대 ESS 제품군 '삼성 배터리 박스(Samsung Battery Box, SBB)'를 공개할 예정이다. 새로운 SBB모델은 'Safety Built Better(안전을 더 앞세운 설계)'를 슬로건으로 내세웠다. 안전성과 설치·운영 편의성을 대폭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삼성SDI는 앞서 지난 1월 'CES 2025'에서 혁신상을 수상한 SBB 1.5 버전을 기반으로, 용량과 안정성을 업그레이드한 신모델을 통해 글로벌 ESS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더욱 공고히 할 계획이다. SBB는 20피트 크기의 컨테이너형 박스에 배터리 셀과 모듈, 랙을 일체형으로 구성한 일종의 '플러그 앤 플레이(plug & play)' 제품이다. 전력망에 연결만 하면 바로 사용할
[더구루=김예지 기자] 삼성전자가 호주의 산업 기술 기업 커넥티파이드(Connectified)와 고위험 산업군 근로자들의 안전을 실시간으로 지키는 스마트워치 기반 솔루션을 공동 개발한다. 산업 현장에서 맞닥뜨리는 돌발 상황에 대처해 작업자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미래 '스마트워크' 솔루션 시장에서도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18일 커넥티파이드 링크드인에 따르면 양사는 삼성 갤럭시 워치와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결합해 위험한 작업 환경에서 근로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삼성 갤럭시 워치는 기존 헬스케어 기능을 넘어, 산업 현장에 특화된 안전 기능을 강화한다. 작업자의 △심박수 △체온 △위치 등 바이탈(vital)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위험 상황 발생 시 즉각적인 알림 제공 역할을 맡게 된다. 이는 건설업, 화학 공장, 에너지 산업 등 고위험을 동반한 산업군에서 필수적인 안전 관리 시스템으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근로자들은 스마트워치를 통해 자신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위급 상황 발생 시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기업 또한 근로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보장하면서도 생산성 향상이라는 '두
[더구루=김예지 기자] HD현대일렉트릭이 크로아티아 전력·전기장비 전문기업 콘차르(KONČAR)로부터 국내 대형 전력 인프라 프로젝트에 투입될 축류 팬을 공급받는다. 친환경 전력 인프라 수요 증가에 대응해 글로벌 공급망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 행보의 일환이다. 18일 콘차르 링크드인에 따르면 콘차르는 HD현대일렉트릭에 고내구성 축류 팬 70대를 오는 12월까지 공급한다. 이 팬은 극한의 환경에서도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C5 등급의 부식 방지 처리와 IP66 수준의 먼지·물 침투 차단 기능을 갖춰 장기간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하다. HD현대일렉트릭은 공급받은 팬을 자사가 제작하는 고압 변압기 및 기타 전력 설비의 냉각 장치에 적용해 설비 내부의 열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고, 시스템 안정성과 수명을 높일 계획이다. 축류 팬은 대형 전력 인프라의 신뢰성과 에너지 효율성 확보에 필수적인 핵심 부품으로 꼽힌다. 콘차르는 크로아티아의 대표적 전력 및 전기장비 제조기업이다. 변압기, 발전기, 전동기 등 다양한 전력기기를 생산하며 유럽 시장에서 오랜 기술력과 신뢰를 쌓아왔다. 이번 HD현대일렉트릭과의 협력은 양사의 기술력과 공급망을 결합해 아시아·태평양 시장을 비
[더구루=김예지 기자] 한화그룹이 중동 지역 가스터빈 애프터마켓 공략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고온·고부하 환경으로 수요가 급증하는 중동 시장을 공략해 글로벌 발전 애프터마켓 입지를 확대하고, 고부가가치 에너지 기술 중심의 해외 사업을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14일 RoTIC 심포지엄(RoTIC Symposium) 링크드인에 따르면 한화 미국 자회사인 PSM(Power Systems Mfg)은 9월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열리는 ‘RoTIC 심포지엄 2025(Rotating Equipment Technology & Innovation Conference)’에 참가한다. PSM은 이번 행사에서 실버 스폰서로도 참여하며, 기술력과 시장 영향력을 선보일 예정이다. RoTIC 심포지엄은 중동 지역 최대 규모의 회전기계(Rotating Equipment) 기술 콘퍼런스다. 가스터빈·터보컴프레서·펌프 등 핵심 장비의 유지보수와 운영 최적화 기술을 중심으로 산업 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행사다. 글로벌 에너지 및 인프라 기업들의 기술 파트너십이 집중되는 자리로, 지역 내 애프터마켓 진출의 전략적 거점으로 평가된다. 이번 행사에서 PSM은 △고성능 가스터빈 부품 리퍼비
[더구루=김예지 기자] 중국이 글로벌 시장 특허 점유율을 잠식하고 있다. 중국 기업 스스로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갖추기로 마음을 먹으면서 특허 보유수에서 상당한 성과를 보이고 있는 모습이다. 삼성전자마저 글로벌 특허 경쟁에서 중국 기업들에 밀려 3위로 내려앉았다. 비(非)중국 기업 중에서는 가장 높은 순위지만, 전 세계 특허 보유량 1·2위 자리를 모두 중국 국유기업이 차지하면서 기술 패권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14일 미국 특허 데이터 전문기관 IFI 클레임스(IFI CLAIMS Patent Services)가 발표한 '2025 글로벌 250 특허 순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중국 국가전력망공사(SGCC)와 중국과학원(CAS)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중국은 상위 10개 기업 중 7곳이 이름을 올리며 특허 분야에서 압도적인 경쟁력을 과시했다. 지난 2023년과 비교하면 변화가 뚜렷하다. 당시 삼성전자는 2위였고, 1위는 일본의 파나소닉 홀딩스(Panasonic Holdings)였다. 2023년 상위 10위권 내에는 중국 기업이 3곳에 불과했다. 하지만 불과 2년새 그 비중이 크게 늘면서 판도가 급변했다. 특히 올해 1위에 오른 SGCC는 2023년만
[더구루=김예지 기자] 삼성SDS가 인공지능(AI) 기반 공급망 혁신 솔루션 '케이던시아(Caidentia)'를 앞세워 북미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이색 비즈니스 네트워킹을 통해 단순한 제품 홍보를 넘어, 현지 기업간거래(B2B) 고객과의 실질적 소통을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13일 삼성SDS 케이던시아 링크드인에 따르면 삼성SDS 미국법인(SDSA)은 오는 28일(현지시간) 미국 시카고에서 조달 및 제품 개발 분야의 최신 기술과 전략을 공유하기 위한 비즈니스 행사를 개최한다. 행사는 메이저리그 야구팀인 시카고 화이트삭스와 뉴욕 양키스 경기가 열리는 개런티드 레이트 필드(Guaranteed Rate Field) 내 프라이빗 스위트룸에서 진행된다. 참석자들은 야구 경기를 즐기며 다양한 산업군의 경영진·디렉터들과 교류하게 된다. 이번 행사는 SDSA 세일즈팀 주도로 기획됐다. 행사의 핵심 주제는 '설계부터 소싱까지(Design-to-Source)' 전 과정을 연결하는 케이던시아 솔루션이다. 현지 조달·소싱·NPI/NPD(신제품 도입·개발) 분야 전문가들을 초청해 수천 개의 자재명세서(BOM)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제품 설계 단계부터 조달 부서 간 협업을 강화
[더구루=김예지 기자] HD현대의 건설기계 부문 계열사 HD현대사이트솔루션(HD현대 XiteSolution)과 KB금융그룹 계열의 KB캐피탈이 인도네시아 건설기계 시장 공략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양사는 현지 유통 파트너인 피티 코벡신도 트랙터스 티비케이(PT Kobexindo Tractors Tbk, 이하 코벡신도)와 함께 3자간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HD현대사이트솔루션은 현지 전문 유통기업의 지원과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더해 인도네시아 건설 중장비 기계 보급 확대에 나선다. 13일 인도네이사 매체 코란 자카르타(Koran Jakarta)에 따르면 전날 자카르타에서 개최된 협약식에는 배연주 HD현대사이트솔루션 최고재무책임자(CFO)를 비롯해 빈중일 KB캐피탈 최고경영자(CEO), 유디 부디만(Yudi Budiman) PT 코벡신도 트랙터스 최고경영자(CEO) 등 주요 경영진이 참석했다. HD현대사이트솔루션은 이번 협약에서 중장비 브랜드 '디벨론(DEVELON)'의 제조와 공급을 담당한다. 인도네시아 건설 인프라 시장 성장세에 발맞춰, 장비 구매 및 리스 수요에 대응한다. KB캐피탈은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들의 디벨론 제품 구매
[더구루=김예지 기자] 대한항공이 베트남항공(Vietnam Airlines)과 손잡고 화물운송 분야에서의 협력을 강화한다. 항공기 유지·보수·정비(MRO) 시설도 공동으로 구축해 베트남을 중심으로 한 동남아와 아시아 전역을 잇는 전략적 거점 확보에 나선다. 13일 국무조정실 등에 따르면 전날 베트남 총비서 또 럼(Tô Lâm)의 국빈 방한 중 열린 베트남-한국 경제포럼에서 대한항공은 베트남항공과 화물운송 분야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력은 급성장하는 동남아 항공물류 시장 수요에 대응하고, 한-베트남 간 수출입 물류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적 조치다. ◇동남아 항공물류 시장에서 경쟁 우위 확보 협력의 중심 거점은 현재 베트남 남부에 건설 중인 롱탄국제공항(Long Thanh International Airport)이다. 내년 개항 예정으로 연간 여객 1억 명, 화물 500만 톤 처리 능력을 목표로 하고 있다. 베트남 정부는 롱탄국제공항을 아세안 항공물류·MRO의 '핵심 허브'로 육성할 계획이다. 대한항공과 베트남항공은 양국 정부의 지원 아래 노선, 영업, 운송 부분에서 포괄적인 협력 MOU를 체결했다. △베트남발 유럽행 노선 협력
[더구루=홍성일 기자] 'HD현대 조선산업용 로봇 파트너'인 독일 스타트업 노이라 로보틱스(NEURA Robotics, 이하 노이라)가 인도 로봇 시장 진출을 위해 현지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와 손잡았다. 노이라는 이번 협력을 바탕으로 인도 내에 로봇 제조 생태계를 선점한다는 목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장쑤성 옌청이 한중 경제 협력의 대표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현대모비스와 SK온을 포함해 100여 개 기업의 투자를 확보했으며 올해도 추가 투자가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