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은비 기자] 한화오션이 그리스 신생 선사인 카를로바 마리타임(Carlova Maritime)으로부터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 1척을 수주했다. 올해에만 총 10척의 VLCC를 수주하며 경쟁력을 입증하고 있는 한화오션은 차별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VLCC 글로벌 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한화오션 '초대형 원유운반선' 명가 굳히기…1척 또 수주
[더구루=김은비 기자] 기아가 올해 콜롬비아 자동차 시장에서 르노를 제치고 1위에 올랐다. 특히 지난달 판매량은 60% 가까이 급등했다. 신형 스포티지를 앞세운 SUV 중심 라인업과 전기·하이브리드 등 친환경차 전략이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5일 콜롬비아 경제인협회(ANDI)와 콜롬비아 수입차협회(FENALCO)에 따르면 기아는 콜롬비아에서 올들어 7월까지 누적 1만7225대를 판매, 브랜드 순위 1위를 차지했다. 점유율은 13.4%에 달한다. 기아가 현지 진출 이후 누적 기준으로 1위를 차지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오랜 기간 1위를 지켜온 르노를 제치면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르노는 같은 기간 콜롬비아에서 1만7138대를 판매했다. 점유율은 13.3%로 기아와의 판매량 격차는 87대에 불과하다. 3위는 토요타가 차지했다. 1만4519대를 판매했다. 점유율은 10.7%로 집계됐다. 4위부터 8위까지는 △마쓰다(1만1383대, 8.8%) △쉐보레(1만746대, 8.3%) △스즈키(1만639대, 7.9%) △닛산(1만182대, 7.5%) △현대자동차(1만37대, 7.3%) 순으로 이어졌다. 지난달 기준으로도 기아는 브랜드 순위 1위를 차지했다. 3416대를
[더구루=김은비 기자] 테슬라가 유럽 시장에서 '판매 부진의 늪'에 빠졌다. 최근 주력 모델 Y의 개편에도 불구하고, 노르웨이와 스페인을 제외한 주요 국가 대부분에서 7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5일 시장조사기관 JATO 다이내믹스에 따르면 테슬라는 지난달 스웨덴에서 163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86% 급감한 수치다. 네덜란드에서는 지난달 443대 판매됐다. 전년 동월 대비 62% 감소했다. 이 외에도 △벨기에 460대(-58%) △덴마크 336대(-52%) △프랑스 1307대(-27%) 등 유럽 전역에서 일제히 하락세를 보였다. 여기에 포르투갈과 이탈리아 판매는 284대와 457대로, 각각 49%와 5% 하락했다. 이들 국가 판매는 7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다만 노르웨이(838대)와 스페인(702대)은 각각 83%와 27% 증가했다. 노르웨이에서는 테슬라가 북유럽 일부 지역에 한해 ‘무이자 대출’ 혜택을 제공한 것이, 스페인에서는 전체 EV 수요가 증가한 것이 주효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테슬라의 올해 상반기 유럽 누적 판매량은 전년 대비 3분의 1 이상 줄었다. 테슬라 부진의 배경에는 유럽의 자율주행 규제, 일론 머스크 CEO의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 소형 전기차 '인스터(국내명 캐스퍼 일렉트릭)'가 독일시장에서 '독주'하고 있다. 상반기 인스터는 현지 전기 소형차 시장에서 판매 '1위'를 차지했다. 5일 독일 연방자동차청(KBA)에 따르면 현대차 인스터는 올해 상반기(1~6월) 6300대 판매, 전기 소형차(E-Small Car) 부문 1위를 차지했다. 지난 7월 역시 1130대 판매, 3개월 연속 독일 순수 전기차(BEV) 베스트셀링 '톱10'에 이름을 올렸다. 인스터 돌풍의 배경으로는 합리적인 가격과 높은 일상 활용성이 꼽힌다. 올해 초 유럽에 출시된 도심형 순수 전기 소형 SUV 인스터 가격은 2만3900유로 부터 시작한다. 여기에 △최대 370km(롱레인지, WLTP 기준) 주행거리 △V2L(Vehicle to Load) △빠른 고속 충전(10-80% 충전시 30분 소요) 등 실용적 사양을 갖추면서 ‘가성비 탑’ 전기차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현대차가 프리미엄·대형 중심에서 벗어나 보급형 소형 EV까지 포트폴리오를 확장한 전략이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실제 독일 전기차 시장은 △테슬라 모델Y △폭스바겐 ID.4 △BMW i4 등 중형 이상 고가 차량 중심으로 구성돼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지난달 중국에서 높은 성장률을 기록, 반등 신호탄을 쏘아올렸다. 특히 지난달 비수기에도 불구, 전년 동기 대비 40%에 달하는 성장폭을 기록했다. 5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중국 합작법인 베이징현대는 지난달 중국 자동차 시장에서 1만7761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기(1만2548대) 대비 41.5% 급증한 수치다. 올 들어 1~7월 누적 판매량도 11만7777대에 달한다. 현대차는 지난 5월 이후 3개월 연속 반등 흐름을 보이고 있다. 지난 4월 1만4964대를 기록하며 다소 주춤했던 판매량은 △5월 1만8833대 △6월 2만1713대로 회복세를 보였다. 특히 6월의 경우 올해 들어 처음으로 월간 판매 2만대를 돌파하며 전월 대비 66% 수직 상승했다. <본보 2025년 7월 3일 기사 참고 현대차, 中 반등세 '뚜렷'…상반기 10만대 돌파> 중국 판매 반등 배경은 품질 경쟁력을 바탕으로 한 이미지 개선과 다각적인 마케팅 활동이 꼽힌다. 베이징현대는 2025년을 ‘신에너지 브랜드 원년’으로 선언하고, 현지 전략형 전기 SUV ‘일렉시오(ELEXIO)’ 출시에 박차를 가하는 등 전동화 전환과 브랜드 체질 개선을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의 고성능 전기차 '아이오닉 5'가 일본 프로야구 무대에서 불펜카로 데뷔했다. 일본 구단과의 첫 협업 사례로, 현대차는 스포츠 마케팅을 전면에 내세워 일본 시장 내 브랜드 존재감을 키운다는 전략이다. 5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일본법인인 현대모빌리티재팬(HMJ)은 일본 프로야구 구단 지바 롯데 마린스와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전기차 '아이오닉 5' 2대를 제공하기로 했다. 해당 차량은 앞으로 마운드로 향하는 투수 교체용 차량인 '불펜카(릴리프카)'로 활용된다. 파트너십은 오는 2030년까지다. 지바 롯데가 불펜카로 전기차를 운용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간 독일 메르세데스-벤츠 차량을 사용해왔으나, 전동화 흐름에 발맞춰 현대차 아이오닉 5로 교체했다. 현대차는 같은 날 지바 롯데의 홈구장인 ‘조조(ZOZO) 마린 스타디움’에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와의 경기 시작 전 공식 전달식을 진행했다. 선수 입장에 앞서 아이오닉 5가 실제로 그라운드를 돌며 불펜카로 첫 주행을 선보이면서 관중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아이오닉 5는 현대차의 전용 전기차 브랜드 ‘아이오닉’의 간판 모델이다. 전기차 전용 플랫폼(E-GMP)을 기반으로 탁월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일본에서 '인스터'(국내명 캐스퍼 일렉트릭)를 앞세워 고속질주하고 있다. 지난달 판매 성적이 전월에 이어 두 달 연속 '월간 최고' 판매고를 기록했다. 올 들어 누적 판매량도 전년 대비 1.5배 수직상승했다. 5일 일본자동차수입조합(JAIA)에 따르면 현대모빌리티재팬(HMJ)은 7월 일본 자동차 시장에서 총 130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월(45대) 대비 2.8배 급증한 수치다. 지난달 판매량에 힘입어 1~7월 누적 판매량은 총 568대를 기록, 전년 동기(388대) 대비 146.4% 증가했다. 일본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는 중국 BYD의 경우 지난달 227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기(207대) 대비 9.7% 증가하는 데 그친 수치다. 현대차의 반등은 지난 4월 일본에 출시된 '인스터'가 이끌었다. 인스터는 현지 도시형 라이프스타일에 적합한 콤팩트한 크기와 합리적인 가격, 긴 주행거리를 바탕으로 일본 소비자들의 수요를 정확히 겨냥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실제로 인스터의 출시 가격은 284만9000엔(약 2600만 원)으로, 경쟁 모델인 닛산 리프(408만 엔)와 BYD 돌핀(363만 엔)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 경
[더구루=김은비 기자] 아이온큐(IonQ)가 양자컴퓨터를 활용해 전력망 최적화 문제 해결에 나섰습니다. 인공지능(AI) 발전 등으로 전력난이 심각해지는 가운데 양자컴퓨터가 해결사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아이온큐, 양자컴퓨팅으로 전력망 최적화 해결…'전력난 해결사' 급부상
[더구루=김은비 기자] 슬로바키아가 미국 웨스팅하우스를 신규 원전 공급사로 선정했습니다. 최종 계약서 서명만 남았습니다. 공급사 선정을 둘러싼 슬로바키아 내부 잡음이 들려오지만 계약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웨스팅하우스의 주요 파트너인 두산에너빌리티도 유럽에서 수주 소식이 기대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슬로바키아 원전 최후승자는 美 웨스팅하우스...두산에너빌리티 '미소’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7월 인도 내수 시장에서 마힌드라를 제치고 2위를 되찾았다. 기아도 전년 동기 대비 8% 증가한 실적을 기록, 상위권을 유지했다. 4일 인도자동차판매협회(FADA) 등에 따르면 현대자동차 인도법인(HMIL)은 지난달 내수 시장에서 총 4만2661대를 판매하며 브랜드 판매 순위 2위를 차지했다. 지난 2월부터 줄곧 4위에 머무른지 약 5개월 만이다. <본보 2025년 7월 2일 참고 현대차, 6월 인도 내수 '3위' 올라…2위 탈환 교두보> 현대차는 전년 동월(4만1331대) 대비 3.2%, 전월(3만9201대) 대비 8.8% 상승했다. 점유율은 13.2%를 기록했다. 기아는 지난달 2만2135대를 판매, 6위를 기록했다. 점유율은 6.4%로 집계됐다. 전년 동월(2만507대) 대비 8% 증가했다. 1위는 13만7776대를 판매한 마루티 스즈키가 차지했다. 점유율 39.6%에 달한다. 3위와 4위는 마힌드라와 타타모터스가 차지했다. 각각 4만1476대(점유율 10.5%)와 3만9795대(11.4%)를 판매했다. 토요타는 2만4777대(7.7%)를 판매, 5위를 기록했다. 현대차 실적은 인도 국민 모델 ‘크레타’가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미국에서 판매되는 전 차종에 걸쳐 대대적인 상품성 개선에 나섰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른 무관세 혜택(2.5%p)이 사라지면서 일본·유럽 완성차 브랜드와 동일한 조건에서 가격 경쟁이 불가피해지자, 제품력 우위를 앞세워 '정면 돌파'하겠다는 전략이다. 4일 현대차에 따르면 미국법인(HMA)은 현지에서 판매 중인 총 16개 차종 전체 라인업을 업데이트한다. 대상 모델른 △팰리세이드 △아이오닉 9 △아이오닉 6 N △수소차 넥쏘 △아이오닉 6△아이오닉 5 N △아이오닉 5 △산타크루즈△투싼 △싼타페 △코나 △코나 일렉트릭 △베뉴△엘란트라△ 엘란트라 N △쏘나타 등이다. 가장 주목할 모델은 완전 변경된 2026 팰리세이드와 현대차 SUV 아이오닉 9이다. 팰리세이드는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과 오프로드 특화 ‘XRT 프로(PRO)’ 트림이 추가됐다. 아이오닉 9의 경우 최대 539km 주행거리와 350kW 급속충전 기능, NACS 단자와 CCS 어댑터 등을 갖췄다. 이들 모델 모두 △보스 14스피커 오디오 △파노라마 디스플레이 등 프리미엄 사양을 적용했다. 아이오닉 6 N과 수소차 넥쏘는 완전 변경 모델로 출시한다. 아이오
[더구루=김은비 기자] 유럽 전기차 충전 인프라 업체 알피트로닉(Alpitronic)이 미국 충전 시장에서도 빠르게 입지를 넓히고 있다. 테슬라에 이어 미국 내 두 번째로 큰 충전 하드웨어 공급업체로 떠오르며 업계 판도를 흔들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일 충전 분석업체 파렌(Paren)에 따르면 알피트로닉은 지난 상반기(1~6월) 미국 급속 충전소 점유율 12%로 2위를 차지했다. 1위는 테슬라다. 점유율 36%를 기록했다. 3, 4위 차지포인트(ChargePoint)와 BTC파워였다. 점유율은 각각 9%, 8%로 집계됐다. 알피트로닉은 월마트·벤츠·아이오나 등 주요 파트너와 잇따라 계약을 체결하며 빠른 속도로 시장을 확장해온 것이 점유율 확대에 주효했다. 특히 GM·현대차·토요타 등이 참여한 초고속 전기차 충전 연합체 ‘아이오나(Ionna)’가 ‘프리미엄 EV 충전소’ 콘셉트인 ‘리차저리(Rechargery)’에 알피트로닉(alpitronic)의 ‘HYC 400’ 모델만을 단독 도입했다. 알피트로닉은 2023년 알피트로닉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에 본사 및 생산 거점을 두고 있는 이탈리아 볼차노(Bolzano) 기반의 전력전자 전문 기업이다. 최근에는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본의 카드게임 시장이 10년 만에 3배 가까이 성장하며 3000억 엔 규모를 돌파, 장난감 업계의 핵심 동력으로 떠올랐다. 과거 어린이들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카드게임에 막강한 구매력을 갖춘 성인 '키덜트(Kidult)' 세대가 유입되며 전성기를 맞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6일 코트라 오사카무역관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도 회계년도 기준(2024년 4월~2025년 3월) 일본 내 카드게임 및 트레이딩 카드 시장 규모는 소매 판매 기준 전년 대비 9.0% 증가한 3024억엔(약 2조8270억원)을 기록했다. 2015년 960억엔(약 8950억원)과 비교하면 3배 이상 급증한 수치로, 같은 기간 완구 시장 전체 성장률을 크게 웃돌았다. 일정한 규칙에 따라 대전을 즐기는 오락의 한 형태인 카드게임이 성장하는데는 키덜트 세대의 유입이 결정적이었다는 분석이다. 1996년 '포켓몬 카드 게임' 출시와 함께 유년 시절을 보낸 이들이 성인이 돼 경제력을 갖추면서 기꺼이 지갑을 열고있는 것. 이들의 등장은 15세 미만 어린이 인구가 10년간 약 12%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시장이 성장하는 배경이 됐다. 또한 △포켓몬 △원피스 등 강력한 지식재산
[더구루=김명은 기자]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 '테무(Temu)'가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맹렬한 기세를 떨치고 있다. 지난 2023년 8월 동남아 시장에 진출한 이후 약 2년 만에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 2200만명을 돌파하며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가성비'와 '빠른 배송'을 앞세워 동남아 시장을 빠르게 장악하며 글로벌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6일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올해 6월 기준 테무의 동남아 MAU가 2200만명에 도달했다. 특히 필리핀과 태국에서의 성장세가 무섭다. 두 국가의 MAU는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했으며, 동남아 전체 트래픽의 약 86%를 차지했다. 같은 중국 기반의 경쟁 플랫폼으로 동남아 시장에 먼저 진출한 쉬인(Shein)이 같은 기간 MAU가 9% 증가해 2400만명에 도달했지만 테무가 빠르게 격차를 좁히고 있다. 테무의 초저가 전략과 게임형 프로모션, 광범위한 제품 공급이 이같은 결과를 만들어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2025년 동남아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는 미국의 7%, 유럽의 18% 수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테무는 이처럼 낮은 소비력을 고려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