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삼양식품이 일본에 한국적 맛을 강조한 불닭볶음면 신제품 2종을 론칭하고 현지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불닭 브랜드 신제품을 꾸준히 선보이며 일본 내 '불닭 열풍'을 이어나가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삼양식품은 일본에 △한식양념치킨맛 불닭볶음면 △짜장불닭볶음면 등 불닭볶음면 신제품 2종을 출시했다. 봉지면과 용기면 형태로 이들 제품을 개발했다. 일본 전역에 위치한 대형마트·편의점·양판점, 현지 대형 온라인쇼핑몰 큐텐·아마존 재팬 내 삼양식품 공식 온라인스토어 등의 채널을 통해 순차적으로 판매를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한식양념치킨맛 불닭볶음면은 일본에서도 인기를 끌고 있는 한국 양념치킨과 불닭볶음면을 조합해 개발한 제품이다. 홍고추·마늘·양파 등으로 만든 소스를 활용해 달콤하면서도 매콤한 맛을 냈다. 여기에 참깨를 더해 고소함을 더했다는 것이 삼양식품의 설명이다. 짜장불닭볶음면은 한국식 중화요리의 대표 메뉴로 꼽히는 짜장면을 모티브로 개발됐다. 기존 불닭 소스에 양파·마늘·생강 등을 써서 조리한 짜장을 접목했다. 짜장의 풍미와 불닭볶음면 특유의 자극적 매운맛이 절묘한 조화를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불닭 브랜드 포트폴리오를
[더구루=김형수 기자] 국내 패션 브랜드 조셉앤스테이시(JOSEPH AND STACEY) 간판 가방 제품 럭키 플리츠 니트백이 일본 '굿디자인 어워드 2024’에서 굿디자인을 수상했다. 우수한 디자인, 뛰어난 수납력 등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조셉앤스테이시는 일본 소비자 접점을 확대하고 홍보전을 펼치며 현지 시장 공략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전략이다. 7일 조셉앤스테이시 일본 파트너사 유통기업 퀴포(Kuipo)에 따르면 조셉앤스테이시 가방 '럭키 플리츠 니트오브 시티 버킷'이 굿디자인어워드 2024 '굿디자인상' 부문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앞서 지난 2021년 독일 iF 디자인 어워드,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에서 디자인상을 받은 데 이어 이번에 수상하면서 세계 4대 디자인 어워드 가운데 3곳을 석권했다. 굿디자인어워드는 일본산업디자인진흥회가 지난 1957년부터 개최하고 있는 시상식이다. 일반 소비재, 서비스, 건축물,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굿디자인상, 롱라이프디자인상 등 2개 부문이 있다. 디자인, 사용성, 혁신성 등에 대한 평가를 토대로 우수 제품, 서비스 등을 선정한다. 독일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iF 디자인 어워드, 미국 IDEA와
[더구루=김형수 기자] 글로벌 식품업계에서 조단위 인수합병(M&A)이 연달아 성사되며 관련 시장이 후끈 달아오르고 있다.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에 대응해 건강 스낵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 장기적 성장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글로벌 식품업체들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는 모습이다.
[더구루=김형수 기자] 아모레퍼시픽이 라네즈 글로벌 브랜드 앰배서더로 발탁한 아이돌그룹 방탄소년단(BTS) 멤버 진을 내세운 일본 마케팅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다. 지난달 진과 손잡고 시작한 라네즈 '크림 스킨 세라펩타이드 리파이너'(이하 크림 스킨) 캠페인이 흥행하며 불티나게 팔려나가고 있다. 아모레퍼시픽은 진과의 협력을 토대로 열도 뷰티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아모레퍼시픽이 지난달 19일 크림 스킨 글로벌 캠페인을 시작한 지 불과 5일 만에 일본 내 해당 화장품 판매량은 1만개를 돌파했다. 단순 계산하면 시간당 약 84개꼴로 팔려나간 것이다. 아모레퍼시픽은 당시 '첫 단계, 첫 보습을 전체적으로'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일본을 비롯한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라네즈 크림 스킨 캠페인에 돌입했다. 지난 2018년 10월부터 지난 7월까지 전세계 누적 판매량 440만개를 넘어선 라네즈 베스트셀러 크림 스킨의 매력을 알리기 위해 기획했다. 라네즈 만의 고압 블렌딩 기술(Micro Blending Technology)이 적용돼 피부 보습 효과가 뛰어나다는 것이 아모레퍼시픽의 설명이다. 캠페인의 일환으로 일본에서 펼친 진 굿즈 증정 특별 프
[더구루=김형수 기자] 일본 에자이(Esai)와 미국 바이오젠(Biogen)이 공동 개발한 알츠하이머 신약 '레카네맙'(상품명 레켐비)을 내세워 미국 제약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레카네맙 유지용법용 정맥주사에 이어 유지용법용 피하주사에 대한 미국 허가 획득을 위한 신청서 제출을 마무리했다. 중국에 이어 국내 출시를 앞두고 있는 레카네맙 글로벌 시장 다변화에 총력을 기울이는 것으로 풀이된다.
[더구루=김형수 기자] 미니 수드 바네르지(Mini Sood Benerjee) 아모레퍼시픽 인도법인 마케팅·트레이닝 부문 어시스턴트 디렉터가 소매·전자상거래 심포지움 'IReC X 라벨스 2024(IReC X Labels 2024·이하 IReC)'에 주제 발표자로 무대에 오른다. 인도 시장에 공들이고 있는 아모레퍼시픽의 K뷰티 전략과 핵심 브랜드 마케팅, 유통망 확대 등을 소개할 예정이다. 7일 IReC를 주관하는 인도 소매·전자상거래 전문매체 인디안리테일러(IndianRetailer)에 따르면 미니 수드 바네르지 어시스턴트 디렉터는 오는 29일 '뷰티의 미래'(The Future of Beauty) 패널 토론에 주제 발표자로 나선다. IReC는 인디안리테일러가 지난 2014년 처음 개최해 올해로 11년째를 맞는 행사다. 신규 쇼핑 트렌드, 변화하는 소매 생태계를 조망하고 우수 사례를 공유하는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올해의 경우 오는 29일부터 이틀간 인도 뭄바이 시내에 자리한 지오 월드 컨벤션센터에서 열린다. 미니 수드 바네르지 어시스턴트 디렉터는 이번 행사에서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의 주도 아래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글로벌 리밸런싱' 전략을 주
[더구루=김형수 기자] 김범석 쿠팡Inc 의장이 보유한 쿠팡 주식의 최대 1500만주를 내년 8월까지 매각한다. 그 중 200만주는 자선 기부한다. 매각 사유는 세금 등 재정적 목적으로 알려졌다. 김 의장이 주식 매각에 나선 것은 2021년 3월 상장 이후 처음이다. 공개적으로 자선기부 뜻을 밝힌 것도 최초다. 쿠팡Inc(이하 쿠팡)는 6일(현지시간) 자료를 통해 "김범석 쿠팡 창업자 겸 CEO가 미국 증권거래법 '10b5-1' 규칙에서 지정한 증권거래위원회(SEC) 가이드라인과 쿠팡의 주식 거래 정책에 따라 몇 달 전에 ‘사전 주식 거래 계획’을 채택했다"고 밝혔다. 10b5-1 규칙은 기업의 임원 등이 미리 매각할 주식 수량과 기간 등을 확정하고 계획서를 SEC에 제출하는 제도다. 기업 내부자가 내부정보를 이용해 주식 거래에 나서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사전에 제출한 계획대로 주식을 거래하도록 하는 취지다. 이 계획은 김 의장의 쿠팡 클래스A 보통주를 최대 1500만주까지 매각하는 것으로, 이달 11일부터 시행해 내년 8월 29일까지 진행하며 조기 마무리될 수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쿠팡은 이날 ‘사전 주식거래 계획’을 지난 8월12일 체결했다고 SE
[더구루=김형수 기자] 농심 안성탕면이 인도네시아 무슬림 소비자들의 입맛을 꽉 잡았다. 신라면 역시 할랄 인기 라면 상위권에 오르며 제품력을 인정받았다. 7일 인도네시아 라이프스타일·육아 전문매체 팝마마(POPMAMA)에 따르면 농심 안성탕면은 '맛있는 할랄 라면' 순위 1위를 꿰찼다. 일본 닛신 게키카라 라멘, 인도네시아 인도미 등을 따돌리고 정상에 올랐다. 팝마마는 할랄 인증을 획득한 라면을 대상으로 실시한 △맛 △브랜드 인지도 등에 대한 평가를 토대로 해당 순위를 매겼다. 농심 안성탕면은 된장과 소고기 육수 기반 국물의 깊고 진한 맛이 매력적이라는 점이 높은 점수를 받았다. 여기에 고춧가루의 매운맛이 더해져 매운 라면 애호가들의 입맛을 제대로 저격하고 있다는 평가다. 얇지만 쫄깃한 식감을 지닌 면발이 국물과 잘 어울린다는 점도 장점으로 거론됐다. 농심 신라면은 8위에 이름을 올렸다. 이번 순위 '톱10' 가운데 농심 라면 제품이 두 자리를 차지한 것이다. 신라면은 매콤한 국물과 쫄깃한 면발이 절묘한 조화를 이루고 있다는 점이 호평을 받았다. 인도네시아를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라면으로 탄탄한 브랜드 인지도를 보유하고 있다는 점도 높은 평
[더구루=김형수 기자] 휴젤이 10번째 '상장폐지설'에 어떤 입장을 밝힐지 주목된다. 앞선 조회공시에 긍정도 부정도 여전히 하지 않았다. 다만 이번 공식 입장에 따라 올해 들어 줄곧 오름세를 보인 주가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휴젤의 "CBC그룹, 휴젤 상장폐지 고려"에 대한 조회공시 답변일이 오는 8일로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이번이 어느덧 10번째다. 상장폐지 논란은 지난 2022년 7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휴젤의 최대주주인 싱가포르 사모펀드 CBC그룹이 휴젤을 상장폐지하고 홍콩에 재상장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라는 블룸버그 통신 보도가 나오면서 시작됐다. 휴젤의 지분 구조는 최대주주인 CBC그룹 주축의 GS·IMM 연합의 지분은 43.24%이며, 소액주주 비율은 44.54%에 이른다. 휴젤 홍콩 증시 재상장 검토설은 휴젤의 글로벌 시장 확장 전략이라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휴젤은 국내 보툴리눔 톡신 업계 1위 기업으로 글로벌 시장 제패만 남겨둔 상태다. 앞서 지난 8월 관련 공시에 확정된 사항이 없다는 입장을 재차 밝혔다. 최대주주로부터 '당사의 지배구조 등과 관련해 다양한 전략적 방안을 검토 중에 있으나 현재까지 확정된 사항은 없다
[더구루=김형수 기자] SK바이오사이언스가 투자한 미국 바이오기업 노바백스(Novavax)가 영국 제약업체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 출신 업계 베테랑을 영입하고 리더십을 강화했다. 의약품 개발 및 제조·글로벌 공급 분야 전문가로 통하는 인사를 전진배치하고 해외 시장 확대에 박차를 가하기 위한 결정으로 풀이된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지난해 8월 약 1102억원을 투자해 노바백스 지분 6.5%(650만주)를 확보했다.
[더구루=김형수 기자] 사모투자펀드(PEF) 운용사 케이엘앤파트너스가 맘스터치 몸값 키우기에 돌입했다. 내년부터 일본 가맹사업에 뛰어들고 현지 영토 확장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다. 희망 매각가인 1조원 규모로 맘스터치를 육성하겠다는 목표다. 6일 업계에 따르면 맘스터치는 오는 14일 도쿄 시부야에서 프랜차이즈 가맹 설명회를 개최한다. 지난달에 이어두달 연속 가맹 사업 확장에 나서는 모습이다. 맘스터치는 지난 4월 일본에 첫발을 내딛었다. 직영 1호점 '시부야 맘스터치'는 개점 40여일 만에 누적 고객 10만명, 매출 1억엔(약 9억1000만원)을 달성하는 성과를 냈다. 고품질 제품을 합리적 가격에 판매하는 '코스파'(코스트 퍼포먼스·가성비를 의미하는 일본 신조어)를 강조한 마케팅 전략을 펼친 것이 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분석된다. 맘스터치가 시부야 맘스터치 방문객을 대상으로 자체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현지 소비자들은 맘스터치 메뉴의 품질 등을 호평했다. 응답자의 96% 이상이 재방문하겠다고 답했다. 현지 인기에 힘입어 내년 1분기 내 도쿄에 가맹 1호점을 열고 프랜차이즈 사업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다. 이후 일본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가맹점을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
[더구루=김형수 기자] 미국 보툴리눔 톡신 전문업체 앨러간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자사 보툴리눔 톡신 제품 '보톡스 코스메틱스'(BOTOX Cosmetic)에 대한 추가 적응증 승인을 받았다. 앨러간이 현지 시장 장악력을 높일 수 있는 길이 열린 셈이다. 업계에서는 미국 시장이 활성화되면서 국내 기업 현지 사업 확대의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본 모바일 게임 시장이 다운로드 수 정체에도 불구하고 높은 사용자당 평균 수익(ARPU)을 기반으로 아시아 2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충성도 높은 이용자 기반과 효과적인 수익화 전략이 일본 시장의 강점이자 한계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항공우주국(NASA, 나사) 연구진이 슈퍼컴퓨터를 통해 지구 생명체의 '종말 시점'을 예측했다. 나사는 인류가 다른 생명체보다 훨씬 이른 시점에 생존 위기를 맞을 것으로 전망하며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