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등용 기자] DB손해보험 베트남 자회사 베트남국가항공보험(VNI)이 사명을 변경했다. 보험금 지급 규정 위반 등 부정적 이미지를 해소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VNI는 지난 3일(현지시간) 본사에서 ‘사명변경 및 비전 선포식’ 행사를 열었다. 이에 따라 VNI는 DBV 보험그룹 주식회사(DBV)로 사명을 변경한다. VNI는 지난 2월 임시주주총회에서 사명 변경을 논의한 바 있다. 이어 지난 5월 베트남 재무부가 VNI의 사명 변경을 최종 승인했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김정남 DB그룹 보험사업그룹장은 “DB손해보험은 DBV를 베트남 최고의 손해보험사로 만들기 위해 재정 자원과 기술 역량, 선진 경영 시스템을 포괄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DB손해보험은 지난해 4월 VNI 지분 75%를 인수하며 최대 주주에 올랐다. VNI는 손해보험시장 점유율 10위권 기업으로 자동차 보험 분야에 강점을 갖고 있다. 지난 2023년 기준 자동차 민사책임 보험 수입 부문에서 업계 1위를 달성하기도 했다. 올해 1분기에는 작년과 비슷한 110억 동(약 5억원) 수준의 세전이익을 기록했다. 보험 사업 수익과 금융 사업 수익은 각각 6140억 동(약 320억원), 42
[더구루=정등용 기자] 삼성화재가 외국인 최대주주로 있는 베트남 손해보험사 피지코(PJICO)가 뇌물 범죄에 휘말렸다. 9일 베트남 공안부 부패·경제범죄·밀수수사국에 따르면, 피지코 경영진이 뇌물 수수 혐의로 구속 기소됐다. 이번에 구속 기소된 경영진은 응우옌 티 흐엉 지앙 피지코 대표를 비롯해 △다오 남 하이 前 대표 △쩐 호아이 남 부총괄이사 △당 꽝 중 자동차보상평가위원회 부국장 △딘 꾸옥 틴 자동차보상평가위원회 부국장 등 총 9명이다. 부패·경제범죄·밀수수사국은 “베트남 형법 제354조에 규정된 '뇌물수수죄'를 위반한 혐의로 구속 기소했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누구로부터 어떤 편의를 봐주고 얼마나 뇌물을 받았는지 등에 대한 혐의는 알려지지 않았다. 피지코는 베트남 국영 베트남석유그룹(Petrolimex·페트로리멕스)이 설립한 손해보험사로 자동차와 해상, 항공 보험 등을 판매하고 있다.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보험료 수입 기준 5.5%로 업계 6위다. 지난해 총 매출은 5조2790억 동(약 2760억원)으로 전년 대비 8.9% 증가했다. 세전이익은 2912억 동(약 150억원) 수준이다. 앞서 삼성화재는 지난 2017년 페트로리멕스, 피지코와 3자간
[더구루=정등용 기자] 인텔이 자율주행 자회사 모빌아이(Mobileye)의 지분을 축소한다. 투자 포트폴리오를 조정하는 차원에서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베트남에 대한 외국인직접투자(FDI)가 늘어나는 가운데 "베트남 건설사가 주요 프로젝트에서 소외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8일 베트남 현지 매체 ‘바오다우투(Baodautu)’에 따르면, 응우옌 킨 루안 호아빈건설그룹(HBC) 구조조정 위원회 위원장은 기고문을 통해 “한국의 GS건설, 일본의 카지마 건설, 오바야시 건설, 중국의 중국국영건설엔지니어링공사(CSEC) 등이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의 57%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반면 호아빈건설그룹, 쯔엉선 건설 등 베트남 건설사는 글로벌 수준의 시공 능력을 갖췄음에도 점차 대규모 프로젝트에서 밀려나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 원인으로 루안 위원장은 FDI 확대를 꼽았다. FDI 투자자들이 주요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하면서 베트남이 아닌 자국 건설사를 시공사로 선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루안 위원장은 “일반적으로 한국 투자자들은 GS건설을, 일본 투자자들은 카지마 건설이나 오바야시 건설을 우선적으로 고려한다”면서 “더 큰 문제는 이들이 프로젝트 수익을 자국으로 갖고 가는 경우가 많아 실질적으로 베트남에 남는 경제적 이익은 줄어들고 있다는 점”이라고 비판했다. 이와 함께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국 투자 매체가 한국 정권 교체에 따른 수혜주로 재생 에너지 분야를 꼽았다. AI인베스트(AInvest)는 6일(현지시간) ‘서울의 폭풍우: 한국 정치의 혼란과 숨겨진 기회 탐색’란 제하의 기사를 통해 “한국의 정치 지형은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과 이재명 대통령 당선으로 큰 변화를 겪고 있다”며 “이는 투자자에게 기회이기도 하다”고 밝혔다. 이어 “윤 정부 당시 대북 강경 기조로 인해 방산 기업이 번영하기도 했다”며 “하지만 새 정부는 군사화보다 경제 부흥을 우선시 하고 있어, 방산 분야는 예산 감축이나 규제·감독을 받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이재명 대통령의 당선은 진보적 정책의 연속성을 의미하며 특히 재생 에너지와 물류 인프라 분야에서 두드러진다”고 강조했다. AI인베스트는 재생 에너지 분야에서 주목해야 할 기업으로 ST 인터내셔널(ST International)과 뷔나 에너지(Vena Energy)를 언급했다. AI인베스트는 “ST 인터내셔널은 물류 및 에너지 복합 기업으로 한국 해상 풍력 프로젝트에서 수혜 기업이 될 수 있고 뷔나 에너지는 태안 해상 풍력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어 정책 지원을 받을 수 있다”고 진단
[더구루=정등용 기자] 아이온큐가 대규모 유상증자에 나섰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카자흐스탄 카라차가낙 유전 가스처리플랜트(GPP) 사업권이 카자흐스탄 공기업으로 넘어가게 됐다. 다만 현대엔지니어링의 EPC(설계·조달·시공) 계약은 유지됐다. 카자흐스탄 에너지부는 3일(현지시간) “카라차가낙 GPP 사업권을 갖고 있는 에니(Eni)와 쉘(Shell)이 프로젝트 참여를 중단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카자흐스탄 국영 석유·가스 공사인 ‘카즈무나이가스(KMG)’가 사업권을 가져갈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카자흐스탄 정부는 지난달 30일 에니와 쉘에 “사업권을 카자흐스탄 국영 석유·가스 공사인 ‘카즈무나이가스(KMG)’에 이양해달라”고 요청한 바 있다.<본보 2025년 7월 1일 참고 [단독] 현대엔지니어링, 4.7조 카자흐 가스 플랜트 EPC 계약 유지할 듯> 이와 관련해 누르란 주마굴로프 카자흐스탄 석유·가스 위원회(Oil and Gas Council of Kazakhstan) 위원장은 “에니와 쉘의 사업권이 박탈된 이유는 이들이 제시한 새로운 조건이 카자흐스탄 국익에 부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라고 분석했다. 앞서 블룸버그 통신은 지난 5월 “에니와 쉘이 카라차가낙 GPP 건설 비용을 기존 35억 달
[더구루=정등용 기자]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이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사 아람코의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지분 매각을 검토하고 있다. 자산 관리 전략을 강화한다는 차원에서다. 7일 호주 투자정보회사 ‘심플리 월 스트리트(Simply Wall St)’에 따르면, 블랙록은 아람코의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지분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 블랙록은 지난 2021년 사우디 투자운용사 GOSI(General Organization for Social Insurance)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아람코와 155억 달러(약 21조1200억원) 규모의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관련 리스 계약을 체결했다. 이 과정에서 세 회사는 별도 법인인 ‘아람코 가스 파이프라인 컴퍼니(Aramco Gas Pipelines Company)’를 설립했다. 아람코가 지분 51%, 블랙록·GOSI 컨소시엄이 지분 49%를 보유하고 있다. 블랙록은 자산 관리 전략의 일환으로 이번에 지분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 사모 시장 존재감을 강화하는 가운데 자사 리스크 관리 및 투자 분석 플랫폼인 ‘알라딘(Aladdin)’에 사업 역량을 집중하기 위한 의도가 깔려 있다. 블랙록은 지난 5년 간 116.78%의 총주주수익률(
[더구루=정등용 기자] 자국 기업에 대한 입찰 제한 논란이 불거진 케냐 간선급행버스(BRT) 5호선 사업이 다시 본궤도에 올랐다. 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케냐 공공조달행정검토위원회(PPARB)는 지난 1일 케냐 BRT 5호선 사업 입찰과 관련한 CK 솔루션의 이의 제기를 기각했다. CK 솔루션은 케냐 현지 기업인 쿠망 건설과 비욘드 트레이딩의 합작법인이다. 지난 5월 CK 솔루션은 케냐 도시도로청(KURA)을 상대로 케냐 BRT 5호선 사업 입찰에 대한 이의를 제기한 바 있다. CK 솔루션은 “케냐 도시도로청이 한국 기업에만 입찰 기회를 부여했다”며 “이는 헌법 제227조가 규정하고 있는 공정하고 투명한 공공 조달 시스템 조항을 위반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케냐 공공조달행정검토위원회는 판결문을 통해 “이번 사안은 케냐 공공조달행정검토위원회가 개입할 권한이 없다”며 기각 결정을 내렸다. 이번 사업은 케냐 수도 나이로비 시내의 교통 혼잡 완화와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를 위해 추진되고 있다. 2차선 전용도로와 13개 역, 3개 하천 교량, 2개 고가 도로, 전용 BRT 차량기지(1365㎡) 등이 포함되며 총 사업비는 76억 케냐실링(약 800억원) 규모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테라파워의 미국 첫 SMR(소형모듈원자로) 건설이 속도를 내고 있다. 미국 원자력 규제위원회(NRC)가 건설 심사를 올해 안에 마칠 것이라고 밝히면서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일본이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되찾기 위해 전략광물 확보에 사활을 걸었다. 6일 일본 정부에 따르면, 경제산업성은 배터리 산업전략 1단계 목표인 ‘국내 생산기반 연 150MWh 확보’를 위해 리튬 10만t, 니켈 9만t, 코발트 2만t 등의 광물자원을 확보해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를 위해 경제산업성 산하기관인 일본 에너지·금속광물 자원기구(JOGMEC)는 이미 에너지 및 금속광물 자원의 안정적 확보와 공급망 강화를 위해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JOGMEC은 지난 2022년 4월부터 리튬, 니켈, 코발트 등 배터리 핵심 금속을 ‘하이 리스크 광물’로 지정했다. 또한 JOGMEC이 일본의 종합상사 등 민간 기업과 함께 이러한 하이 리스크 광물 자원 개발 프로젝트에 출자할 때 전략 광물의 경우 최대 75%까지 출자 가능하도록 제도 개편을 단행했다. 자원확보기업을 대상으로는 정책자금 지원을 확대하는 한편, 채무보증기능 강화 등의 지원도 수행하고 있다. 이와 함께 전략 광물의 해외 확보를 위한 민관 협력과 리스크 분담을 강화하고 있다. 민간기업과의 협력 외에도 일본 정부는 배터리 공급사슬 내 주요 역할을 담당하
[더구루=정등용 기자] 신한은행 베트남 법인인 신한베트남은행의 대출 잔액이 작년보다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신한베트남은행에 따르면, 올해 5월 기준 대출 잔액은 48억 달러(약 6조5100억원)를 기록했다. 작년 동기 대비 26% 증가한 수치다. 전체 대출 잔액 중 주택담보·자동차 등 개인 고객 대출이 28억 달러(약 3조8000억원), 기업 고객 대출이 20억 달러(약 2조7100억원)에 달했다. 신한베트남은행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1억7850만 달러(약 2400억원), 총 자산은 84억700만 달러(약 11조4370억원)로 집계됐다. 자기자본비율(CAR)은 21.25%, 부실채권(NPL)비율은 0.47%를 각각 나타냈다. 신한은행은 지난 1993년 사무소 설립으로 베트남에 진출했다. 이후 지난 2009년 법인으로 전환 후 현지 은행을 인수하며 사업을 꾸준히 확대해왔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본 모바일 게임 시장이 다운로드 수 정체에도 불구하고 높은 사용자당 평균 수익(ARPU)을 기반으로 아시아 2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충성도 높은 이용자 기반과 효과적인 수익화 전략이 일본 시장의 강점이자 한계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항공우주국(NASA, 나사) 연구진이 슈퍼컴퓨터를 통해 지구 생명체의 '종말 시점'을 예측했다. 나사는 인류가 다른 생명체보다 훨씬 이른 시점에 생존 위기를 맞을 것으로 전망하며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