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등용 기자] 일론 머스크가 소유한 소셜미디어 X(구 트위터)의 투자자 명단이 공개됐다. 베이비 버핏으로 불리는 빌 애크먼과 알왈리드 빈 탈랄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사우디아라비아 왕자, 미국 유명 래퍼인 퍼프 대디 등이 포함됐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연방 판사는 22일(현지시간) X 전 직원들이 제기한 중재 수수료 지급 소송의 일환으로 X 투자자 명단을 공개하라고 판시했다. 이에 따라 공개된 X의 투자자 명단을 보면 약 100명에 가까운 개인 및 기관투자자들이 이름을 올렸다. 특히 그동안 대중에 공개되지 않았던 투자자들도 이번 명단에 포함됐다. 대표적으로 퍼싱 스퀘어 재단(Pershing Square Foundation)이 있다. 퍼싱 스퀘어 재단은 억만장자 투자자인 빌 애크먼이 약 20년 전 설립한 퍼싱 스퀘어 홀딩스(Pershing Square Holdings)와 연관이 있다. 퍼싱 스퀘어 재단은 독립적인 고위 경영진이 이끌고 있지만 애크먼과 그의 아내인 네리 옥스만이 공동 수탁자로 있다. 애크먼은 X의 열렬한 사용자이기도 하다. 다른 유명인과 단체를 언급할 때 X를 자주 사용한다. 샤크 탱크의 스타 마크 큐반과 토론하고 모교인 하버드 대학교의
[더구루=정등용 기자]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이 차기 대통령 선거 구도에서 한발 앞서 나가면서 국내외 관련 테마주도 주목 받고 있다. 친환경과 마리화나 관련 주식이 대표적인 테마주로 꼽힌다. 23일 미국 경제전문매체 24/7 월스트리트(24/7 Wall st)에 따르면 해리스 관련주로 에버지, 리비안 오토모티브, 그린 섬 인더스트리가 이름을 올렸다. 에버지는 재생 에너지 주식 중 하나로 캔자스주와 미주리주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전력 중 절반은 탄소 배출이 없는 에너지원에서 생산된다. 오는 2028년까지 캔자스주 로렌스 에너지 센터에서 556MW(메가와트) 규모의 석탄 운영을 중단할 계획이라 이 비율은 증가할 전망이다. 에버지 주가는 올해 들어 11% 상승하고 있다. 특히 에버지 주식은 내년 수익의 14배, 매출의 2배에 불과해 매력적인 재생 에너지 주식으로 평가 받는다. 또한 업계 최고 수준인 연간 4.4%의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에서는 이 주식에 대해 매수 등급을 부여하고 있다. 1년 목표 주가는 주당 58달러로 적정 가격을 제시하고 있다. 해리스가 대통령에 당선되면 수혜를 받을 가능성이 높은 만큼 애널리스트들은 오는 11월까지 에버
[더구루=정등용 기자] GG56코리아가 말레이시아 포레스트 시티에 K-컬처타운을 조성한다. 총 투자 규모만 10억 달러(약 1조3360억원)로 K콘텐츠 제작 스튜디오 등 다양한 시설이 들어설 전망이다. GG56코리아는 21일(현지시간) 말레이시아 조호르주 이스칸다르 푸테리에 위치한 포레스트 시티에서 포레스트 시티 개발사인 컨트리 가든 퍼시픽뷰(CGPV)와 K-컬처타운 개발을 위한 합의각서(MoA)를 체결했다. 이번 MoA 체결식에는 다툭 엠드 오스만 유소프 CGPV 전무이사와 김영군 GG56코리아 대표, 정동완 CMK컨소시엄 대표가 참석했다. CMK컨소시엄은 GG56코리아의 자회사다. GG56코리아는 말레이시아 최초의 한류 문화타운 개발을 위해 포레스트 시티에 10억 달러를 투자한다. 여기엔 K콘텐츠 제작 스튜디오와 국제문화지구, 세계적 수준의 주거 개발이 포함돼 있다. 포레스트 시티는 매출 기준 중국 1위 부동산 개발업체인 비구이위안과 말레이시아 조호르주가 지난 2016년부터 추진해온 사업이다. 믈라카 해협에 1000억 달러(약 132조원)를 들여 14㎢(제곱미터) 규모의 인공섬을 만드는 게 골자다. 오는 2035년까지 70만명이 거주하는 주거시설과 사무용
[더구루=정등용 기자] 법무법인 YK가 판사 출신 베테랑 변호사를 대거 영입하며 기업 송무 역량을 강화한다. YK는 22일 오충진(사법연수원 23기) 대표변호사와 박찬호(사법연수원 29기) 대표변호사(부산 분사무소), 정병실(사법연수원 30기) 변호사를 영입했다고 밝혔다. 특허·저작권 등 지식재산권 전문가인 오 대표변호사와 형사‧민사‧행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한 박 대표변호사, 대법원 재판연구관 출신 정 변호사의 합류로 YK는 기업회생·지식재산권(IP) 등 민사 송무 역량의 범위와 깊이를 강화할 수 있게 됐다. 오충진 대표는 서울지방법원과 대전지법, 청주지법에서 판사로 근무했으며, 서울고등법원과 특허법원에서 고법판사로 재직했다. 특히 특허법원에서 3년간 근무하며 다수의 특허, 상표, 디자인 관련 사건을 처리한 경험이 있다. 부산지법에서 영장 전담 부장판사로 활동하기도 했다. 이후 지난 2010년 13년간의 판사 생활을 마치고 법무법인 광장의 지적재산권팀에 합류해 다국적 제약회사의 의약 특허 관련 침해소송 및 무효소송, IT 및 화학 관련 특허침해소송, 저작권 침해소송, 부정경쟁금지, 영업비밀 침해소송 등 사건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YK는 오 대표 영입을
[더구루=정등용 기자] 태국 가상은행 사업 유치를 두고 총 5개의 기업이 신청서를 제출했다. 여기엔 한국 카카오뱅크와 동남아시아 최대 이커머스 업체 쇼피 등이 포함됐다. 22일 태국중앙은행(BOT)에 따르면 태국 가상은행 설립에 총 5개의 기업이 참여를 신청했다. 최종 신청은 오는 9월19일 마감되며 자격 심사 후 3개사를 선정해 내년 6월 중 발표할 예정이다. 이번에 신청서를 제출한 기업은 △카카오뱅크·SCBX·위뱅크 컨소시엄 △걸프에너지개발(GULF)·어드밴스드인포서비스(AIS)·크룽타이 은행(KTB) 합작 투자사 △차론폭판드(CP) 그룹 △BTS 그룹 홀딩스 △쇼피다. 카카오뱅크는 지난해 6월 태국 최대 금융지주사인 SCBX와 태국 가상은행 인가 획득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여기엔 중국 가상은행 사업자인 위뱅크도 합류했다. 걸프에너지개발은 글로벌 에너지 대기업으로 통신 대기업인 어드밴스드인포서비스, 크룽타이 은행과 합작 투자사를 설립했다. 어드밴스드인포서비스와 크룽타이 은행은 총 1억명 이상의 탄탄한 고객 기반을 자랑한다. 차론폭판드 그룹은 태국 최대 민간 기업으로 트루 머니 플랫폼의 대규모 고객 기반을 활용할 계획이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KB손해보험 인도네시아 법인이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신규 자본 요건을 충족하는 동시에 자본 성장 기대감도 높아진다. 22일 글로벌 신용평가기관 AM베스트에 따르면 KB손해보험 인도네시아 법인은 최근 5년 간 5.1%의 자기자본이익률(ROE)을 기록했다. AM베스트는 낮은 언더라이팅 레버리지와 보수적인 투자 포트폴리오로 뒷받침되는 자본적정성비율(BCAR)에 따라 KB손해보험 인도네시아 법인의 위험조정자본비율이 견고하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KB손해보험 인도네시아 법인의 자본 기반이 아직 크지 않지만, 강화된 현지 자본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 이익을 유지하고 있는 만큼 견고한 자본 성장이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AM베스트는 “순보험료 기반이 작고 드물지만 심각한 손실에 대한 노출로 인해 언더라이팅 실적은 적당한 변동성을 보였다”면서 “보험료 규모가 성장하고 자동차 보험 사업이 확대됨에 따라 안정성이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어 “KB손해보험 인도네시아 법인은 정기예금과 인도네시아 국채를 중심으로 한 보수적인 투자 포트폴리오를 통해 안정적인 투자수익을 창출하며 언더라이팅 변동성을 상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필
[더구루=정등용 기자] 아르헨티나가 자국 핵심 광물에 대한 더 많은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미국과 손을 잡는다. 미국 주도의 핵심광물안보파트너십(MSP) 참여 가능성도 제기된다. 미국 국무부는 21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와 핵심 광물 채굴 촉진을 위한 협정을 체결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협정은 호세 페르난데스 미국 국무부 차관이 아르헨티나를 방문하는 기간 동안 이뤄질 예정이다. 페르난데스 차관은 오는 23일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열리는 광물 안보 파트너십 포럼 행사에 참석차 아르헨티나를 방문한다. 특히 이번 협정은 미국과 아르헨티나의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진 결과로 해석된다. 미국은 중국을 포함하지 않는 핵심 광물 공급망 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아르헨티나는 막대한 구리, 리튬 자원을 보유하고 있지만 기업 투자가 미진해 그 중 극히 일부만 활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일각에선 아르헨티나의 핵심광물파트너십 참여 가능성도 제기된다. 핵심광물파트너십은 핵심광물 공급망 안정과 다변화를 위해 지난 2022년 6월 미국 국무부 주도로 출범했다. 현재 한국, 미국, 일본, 캐나다, 독일, 프랑스, 영국, 호주 등 14개국이 참여 중이다. 아르헨티나는 브라질, 칠레
[더구루=정등용 기자] 칠레가 내년 리튬 생산량을 올해보다 1만t(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리튬 공급 과잉은 올해에 이어 내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칠레 구리위원회 코칠코(Cochilco)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보고서를 20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칠레 리튬 생산량은 27만5000t, 내년엔 28만5000t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시장의 경우 올해 11만7000t, 내년엔 19만1000t의 리튬 공급 과잉이 벌어질 것으로 관측된다. 리튬 수요가 전기차 부문을 중심으로 지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코칠코는 향후 2년 동안 신규 프로젝트들이 본격 생산에 들어가는 만큼 공급 과잉 현상이 빚어질 것으로 진단했다. 대표적으로 칠레 국영 광산업체 ENAMI는 오는 2027년이나 2028년 중 첫 리튬 프로젝트를 착공할 계획이다. 이 프로젝트는 전기차 배터리 생산에 필수적인 글로벌 리튬 시장에서 칠레 정부의 역할을 강화하려는 전략의 핵심 부분으로 통한다. ENAMI는 또 다른 국영 광산업체 코델코(Codelco)와 협력해 리튬 분야에 진출하고 있다. 또한 칠레 북부 아타카마 지역의 살라레스 알토안디노스 염전을 중심으로 재
[더구루=정등용 기자] 중국 정부가 올해 2차 희토류 채굴·제련 쿼터를 동결했다.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와 천연자원부(MNR)는 20일(현지시간) 제2차 희토류 채굴·제련 쿼터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희토류 채굴 쿼터는 13만5000t(톤), 제련 쿼터는 12만7000t으로 할당됐다. 이는 지난 4월 발표된 제1차 희토류 채굴·제련 쿼터와 동일한 수치다. 채굴 쿼터는 중국 국영기업 중국희토그룹(中国稀土集团)과 중국 최대 희토류 공급업체 북방희토(北方稀土)에 각각 할당됐다. 중국희토그룹에는 채굴 4만930t(경희토 3만1920t, 중희토 9010t)과 제련 4만5009t이, 북방희토에는 채굴 9만4070t(모두 경희토)과 제련 8만1991t이 각각 할당됐다. 제1차 채굴·제련 쿼터에선 중국희토그룹에 채굴 4만420t(경희토 3만280t, 중희토 1만140t)과 제련 3만8990t이, 북방희토에는 채굴 9만4580t(모두 경희토)과 제련 8만8010t이 각각 할당된 바 있다. 중국 정부의 생산 총량 지표는 확대되고 있지만 증가폭은 둔화하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주로 경희토 중심으로 채굴 쿼터가 증가하고 있으며 환경 보호와 자원 확보를 위해 중희토류 생산
[더구루=정등용 기자] 세계 최대 광산업체 BHP가 호주 니켈사업 중단 후 인도네시아를 새로운 투자처로 주목하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중국을 넘어 미국과도 무역 관계를 강화하는 등 니켈 투자 다각화를 시도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메데 카트린 링케 인도네시아 니켈광업협회 사무총장은 21일 뉴스와이어와 인터뷰에서 “BHP가 인도네시아 정부와 최근 몇 달 동안 니켈 부문 투자 가능성을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BHP는 인도네시아의 풍부한 니켈 잠재력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와 프라보워 수비안토 인도네시아 대통령 당선인이 새로운 방위 협정을 마무리 하면서 인도네시아 니켈 산업에 대한 BHP의 관심도 더 높아진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해 호주 현지 언론들은 BHP가 인도네시아에서 본격적인 투자 기회를 모색하는 것이 아니라 인도네시아 니켈 산업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라고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인도네시아 니켈 산업은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이 니켈 수출을 금지한 이후 급격한 발전을 경험했다. 이는 동남아시아 니켈 가공 능력에 대한 중국의 투자 러시를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이후 인도네시아 니켈 공급 급증으
[더구루=정등용 기자] 세계 3위 구리 생산국인 페루가 올해 목표치를 달성하지 못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됐다. 최근 경기 침체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되는 가운데 추가 투자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빅토르 고비츠 에너지광산협회(SNMPE) 회장은 20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과 인터뷰에서 “페루는 올해 270만~280만t(톤)의 구리를 생산할 것으로 보인다”며 “정부의 목표 생산량인 300만t엔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페루 정부 공식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구리 생산량은 총 129만t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2% 감소했다. 지난해 페루 광산은 총 276만t의 구리를 생산했다. 페루의 구리 생산량 감소는 최근의 경기 침체와 맞물려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실제 올해 4월과 5월 각각 5% 이상 성장했던 지역 경제는 6월 0.2% 성장에 그쳤다. 페루 정부 데이터를 보면 페루의 광업·석유 부문 생산량은 6월 약 7.5% 하락해 지난 2021년 초 이후 가장 저조한 수치를 기록했다. 이는 중국려업(Chinalco)이 운영하는 토로모초 구리 광산이 2주간 가동 중단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고비츠 회장은 페루의 구리 생산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더구루=정등용 기자] 현대엔지니어링이 사우디아라비아 전력 변압기 제조사 SPTC(Saudi Power Transformers Company)와 구매 계약을 맺었다. SPTC는 자푸라 가스 플랜트 확장 프로젝트에 전력 변압기를 공급할 예정이다. 2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대엔지니어링은 최근 SPTC와 2억8113만 리얄(약 1000억원) 규모의 전력 변압기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 기간은 15개월이며 자푸라 가스 플랜트 확장 프로젝트를 위한 전력 변압기 설계·제조·공급이 포함됐다. 자푸라 가스 플랜트 확장 프로젝트는 현대엔지니어링과 현대건설이 지난해 10월 23억 달러(약 3조2000억원)에 수주한 사업이다. 자푸라 가스전에서 생산되는 가스를 처리하는 설비(Gas Processing Facilities)와 황회수설비(Sulfur Recovery Units) 등을 추가로 건설하는 것이 골자다. 이 프로젝트는 지난 2021년 현대엔지니어링과 현대건설이 수주한 사우디 자푸라 가스처리시설 프로젝트(Phase-1) 부지 바로 옆에 조성된다. 지난 4월 착공에 들어갔으며 완공 예정 시점은 오는 2027년 10월이다. 이번에 공급 계약을 체결한 SPTC는 사우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의 급여 지침이 공개됐다. MS에서 근무하는 신입 엔지니어의 연봉이 8만3000달러(약 1억1500만원)부터 시작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유료기사코드] 31일 경제전문매체 비즈니스 인사이더에 따르면 MS는 레벨 57(초급 엔지니어) 직원에게 8만3000달러부터 12만4600달러(약 1억7320만원) 범위에서 급여를 지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내용은 비즈니스 인사이더가 MS의 급여지침을 공개하면서 알려졌다.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MS의 엔지니어는 레벨 57부터 70까지 직원 등급을 분류해 관리하고 있다. 레벨57부터 59까지는 초급 엔지니어를 뜻하며, 레벨 63부터는 선임엔지니어급이다. 레벨 65에 도달하면 수석엔지니어로 분류되고 레벨 68은 파트너가 된다. 최종적으로 레벨 70에 도달하면 특출난 엔지니어(Distinguished engineers)가 돼 상당한 대우를 받는다. 선임엔지니어가 되면 기본 연봉은 14만5000달러(약 2억원)부터 시작되며, 수석엔지니어는 17만2800달러(약 2억4000만원)부터 연봉이 시작된다. 최고 등급인 레벨 70에 도달하면 기본 급료는 25만2000달러(약 3억5000만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엔비디아가 개발 중인 ARM 기반 칩 'N1X'가 윈도우 11 환경에서 작동하는 모습이 벤치마크를 통해 처음 확인됐다. 완성된 제품은 아니지만, ARM 칩이 윈도우에서 실제 구동된 첫 사례로 인텔과 AMD가 주도하는 노트북용 칩 시장에 도전할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31일 미국 IT 전문 매체 '톰스하드웨어'에 따르면 엔비디아가 개발 중인 ARM 기반 시스템온칩(SoC) 'N1X'가 그래픽 성능 측정을 위한 벤치마크 프로그램 '퍼마크(FurMark)' 데이터베이스에서 포착됐다. 해당 테스트는 윈도우 11 환경에서 진행됐으며, N1X는 720p 기준 4286점을 기록했고 평균 프레임은 71이었다. 벤치마크 점수는 RTX 2060과 같은 구형 그래픽카드보다 낮았지만, 이번 GPU 성능 테스트가 주목받는 이유는 따로 있다. 중앙처리장치(CPU)와 그래픽처리장치(GPU)가 하나로 통합된 시스템온칩(SoC) 구조로 개발되고 있는 N1X가 윈도우 11 환경에서 정상 작동한 첫 사례이기 때문이다. 그동안 ARM 아키텍처는 주로 스마트폰과 태블릿용으로 쓰였고, 윈도우 운영체제를 공식 지원하는 ARM 칩도 일부 퀄컴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