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박상규 기자] 셀트리온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제 렉키로나가 인도네시아에서 대체의학 시험을 시작했습니다. 부디 구나디 사디킨(Budi Gunadi Sadikin) 인도네시아 보건부장관은 5일(현지시간) “식품의약품감독청(BPOM), 여러 병원과 협력해 코로나19 치료…
[더구루=박상규 기자] 유럽연합(EU)이 한화시스템이 투자한 위성 인터넷 서비스 기업 '원웹(OneWeb)'을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우주탐사기업 스페이스X의 대항마로 키울 예정입니다. 이를 위해 투자할 의향이 있음을 시사한 건데요. 업계에 따르면 유럽연합은 원웹이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와 경쟁…
[더구루=김영범 기자] 두산중공업 독일 자회사 두산렌체스가 독일 비스바덴의 폐기물 에너지화 플랜트(MHKW) 건설에 참여합니다. 업계에 따르면 두산렌체스는 독일 건설회사 아리콘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비스바덴 신규 폐기물 소각로 사업 턴키 납품 계약을 따냈습니다. 턴키 계약은 자금 조달에서 기획…
[더구루=박상규 기자] 애플이 전기·자율주행차인 애플카 개발 프로젝트를 재개한 가운데 지금까지 볼 수 없었던 완전히 새로운 종류의 차량이 탄생할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가장 유력한 파트너사로는 'LG마그나 이파워트레인'을 꼽았는데요. 업계에 따르면 독일 카 매거진의 게오르그 카처(Ge…
[더구루=박상규 기자] 아마존의 클라우드 부문 자회사 아마존웹서비스(AWS)가 양자컴퓨터 개발에 뛰어들며 구글과 IBM이 선도하는 시장에 균열을 낼 전망입니다. 오스카 페인터(Oskar Painter) AWS 퀀텀 하드웨어 담당은 23일(현지시간) 독일 경제지 한델스블랏(Handelsblatt)에서 "자체 양…
[더구루=박상규 기자] 인도 정부가 7조8000억원 규모의 잠수함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가운데 유력 건조사로 대우조선해양이 떠오르고 있습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대우조선해양은 인도 해군의 차기 잠수함 도입사업인 '프로젝트-75(I)'에서 유력한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OEM) 업체로 거론되고 있는데…
[더구루=박상규 기자] 인류 최초 관광 목적을 위한 우주여행이 성공하면서 우주 개발을 선점하기 위한 삼국지가 벌어지고 있습니다. 22일 코트라 디트로이트무역관에서 작성한 '우주산업 삼국지, 시작된 우주여행'에 따르면 훈련받지 않은 일반인이 우주로 갈 수 있는 길이 열리면서 우주여행에 대한 관심…
[더구루=박상규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영국 모빌리티 기업 '어반에어포트'(Urban-Air Port)와 함께 런던과 LA 등 전 세계 65개 도시에 플라잉카 공항 '에어원'(Air One)을 짓습니다. 오는 2028년 상용화를 목표로 점차 영역을 확대하고 있는데요. 어반에어포트는 16일(현지 시간) 현대차그룹과 함…
[더구루=박상규 기자]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그룹이 투자한 미국 양자컴퓨터 스타트업 '아이온큐(IonQ)'가 글로벌 컨설팅 업체 '액센츄어(Accenture)'와 손잡고 기술 상용화를 적극 추진합니다. 기업에 맞춤형 양자 컴퓨팅 기반 산업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인데요. 업계에 따르면 아이온큐와 액센츄…
[더구루=박상규 기자] 현대자동차가 미국 전력공급회사인 CPS 에너지와 함께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에 나섭니다. 국내에 이어 미국에서도 전기차 폐배터리를 태양광 발전설비 에너지저장장치(ESS)로 제작하며 미래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는 폐배터리 시장에 본격 가세하는 양상인데요. 현대차는 14일(현…
[더구루=박상규 기자] 미국 테일러시가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공장 후보지로 떠오르면서 부동산 가격이 올 초 대비 43% 뛴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삼성전자는 미국에 170억 달러(약 20조 원)를 투자해 파운드리 공장을 짓기로 결정하고 신공장 부지로 텍사스주 오스틴시·테일러시, 애리조나주 굿이어시·…
[더구루=박상규 기자] 삼성중공업 중국사업장인 닝보조선소가 생산을 중단한다. 사실상 사업장 철수로 설비 노후화가 가동 중단 배경으로 꼽힙니다. 중국 근로자 수천명은 조선소 폐쇄에 항의하며 배상을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업계에 따르면 삼성중공업 닝보조선소가 올해 말 공식적으로 생산을 중단합니…
[더구루=오소영 기자] 호주 폐배터리 재활용 회사 리비움(Livium Limited, 옛 리튬오스트레일리아)의 자회사 엔바이로스트림(Envirostream Australia Pty Ltd)이 희귀 금속의 회수 기술 개발에 나선다. 금속 회수 기술을 보유한 아이온드라이브(Iondrive)에 재활용 원료를 제공하고 테스트를 수행한다. 지속가능한 회수 기술의 상업화를 앞당기고 재활용 산업의 성장을 견인한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아이온드라이브에 따르면 엔바이로스트림과 심층공융용매(DES) 상용화를 위한 텀시트(term sheet·조건합의서)를 체결했다. DES는 특정 금속 이온을 선택적으로 용해하거나 침전시켜 희귀 금속을 추출할 수 있는 친환경 기술이다. 아이온드라이브는 DES 공정 테스트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냈다. 폐배터리를 분해해 얻은 검은 가루 형태의 중간 가공품 '블랙매스'에서 95%가 넘는 희귀 금속 회수율을 기록했다. 연말 시운전을 목표로 파일럿 설비도 건설하고 있다. 엔바이로스트림은 이번 텀시트에 따라 파쇄된 태양광 폐패널과 셀, 블랙매스, 희토류 자석, 전자폐기물 등을 수집해 아이온드라이브에 제공한다. 아이온드라이브의 DES 기술·경제성 테스트에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의 멕시코 핵심 데이터센터가 전력망 문제로 가스 발전기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멕시코에 대한 빅테크 기업들의 투자가 급증하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할 전력 인프라의 한계가 장애물이 되고 있다는 평가다. [유료기사코드] 8일 업계에 따르면 MS가 지난해 5월 멕시코 케레타로주 콜론에 오픈한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멕시코 센트럴(Mexico Central)'은 올해 2월부터 6개월 가량 가스 발전기 7대에 의존해 운영됐다. MS가 멕시코 환경당국에 제출한 서류에 따르면 해당 발전기는 올해 2월부터 7월까지 하루 12시간동안 가동됐으며 데이터센터가 요구하는 전력량의 70%를 공급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5만4000가구가 1년동안 배출한 양과 같은 이산화탄소가 배출됐다. MS는 2024년 5월 오픈 이후부터 올해 1월까지는 어떻게 에너지를 공급했는지, 7월 이후 가스 발전기를 운영할지 여부 등에 대해서는 함구하고 있다. 멕시코 센트럴이 자체 가스 발전기를 동원한 배경에는 전력망의 건설 지연이 있다. 멕시코 센트럴은 중남미 지역의 첫 지역 리전으로, MS는 해당 데이터센터 구축과 교육 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