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진유진 기자] 현대캐피탈 호주법인(HCAU)이 글로벌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신용등급 평가 결과 'A-(안정적)'을 획득했다. S&P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현대캐피탈 호주를 현대캐피탈과 현대자동차그룹의 핵심 자회사로 판단해 그룹 신용등급과 동일한 수준으로 평가했다"고 밝혔다. 이어 "현대차그룹의 호주 시장 내 자동차 판매를 지원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반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S&P는 AAA부터 D까지 총 22개의 등급으로 국가나 기업의 신용도를 평가한다. 상위 7번째 신용등급인 'A-'는 신용 상태가 양호하고 신용위험이 낮은 수준을 의미한다. 이번 등급은 현대캐피탈 호주가 S&P, 무디스(Moody’s), 피치 레이팅스(Fitch Ratings) 등 글로벌 3대 신용평가사 중 한 곳으로부터 받은 첫 번째 신용등급이다. 지난해 11월 사업 개시 이후 단기간에 글로벌 신뢰도를 확보하며, 현대자동차·기아·현대캐피탈과 동등한 신용등급을 인정받았다. 이형석 현대캐피탈 최고재무책임자(CFO) 전무는 "이번 신용등급 획득을 통해 현대캐피탈은 강력한 자금 조달 능력을 바탕으로 호주 시장에서 경쟁력을 더욱 강화
[더구루=진유진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지난 1월에 이어 이달에도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 한국은행의 4월 금리 동결 가능성이 커졌다. 연준은 지난 18∼19일(현지시간)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정책금리(기준금리) 목표 범위를 연 4.25~4.50%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연준은 지난해 9월(-0.50%p), 11월(-0.25%p), 12월(-0.25%p) 세 차례 연속 금리를 내린 이후, 올해 1월과 3월 두 차례 연속 동결하며 속도 조절에 나섰다. 경기 침체 위험보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등이 물가에 미칠 영향을 고려한 신중한 행보다. 연준은 "경제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가했다"고 평가했으며, 올해 금리를 0.5%p 추가 인하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미국이 기준금리 인하에 속도를 내지 않으면서 한은도 당장 다음 달 기준금리를 내리기 어렵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한국 기준금리(2.75%)는 이미 미국(4.25∼4.50%)보다 1.75%p 정도 낮다. 최근 원·달러 환율이 1450원대 이상을 넘나드는 등 불안감도 여전하다. 무엇보다 지난달 급증한 가계부채가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2월 은행권 가계대출 잔액(1
[더구루=홍성환 기자] 정부가 미국계 사모펀드(PEF) 운용사 메이슨캐피털과의 배상 소송에서 또 패소했다. 2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싱가포르 국제상사법원은 우리 정부가 3200만 달러(약 470억원) 손해배상을 선고한 중재판정부 판정에 불복해 제기한 취소 소송을 기각했다. 정부는 작년 7월 메이슨캐피털과의 투자자-국가 분쟁해결(ISDS)에서 일부 패소한 것과 관련해 중재 판정 취소 소송을 제기했었다. 앞서 메이슨캐피털은 지난 2018년 9월 한국 정부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위반했다며 정부를 상대로 1억9000만 달러 상당의 ISDS를 제기했다. 2015년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과정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과 보건복지부 등의 압박으로 국민연금공단이 합병에 찬성해 메이슨캐피털이 손해를 입었으니 한국 정부가 배상해야 한다"는 논리였다. 당시 메이슨캐피털은 삼성물산 지분 2.18%를 보유하고 있었다. 이 소송에 대해 국제상설중재재판소(PCA) 중재판정부는 지난해 4월 "한국 정부가 메이슨캐피탈에 3200만 달러와 지연이자를 배상하라"고 판정했었다. 메이슨캐피털과의 ISDS 사건 판정은 박근혜 정부의 국정농단 사건 가운데 하나인 삼성물산 합병에 대해 미국계
[더구루=홍성환 기자] 중국이 영국에서 최대 1조2000억원 규모 녹색채권을 발행한다. 중국이 영국에서 녹색채권을 발행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중화인민공화국 재정부는 영국에서 최대 60억 위안(약 1조2000억원) 규모로 위안화 표시채권을 발행할 예정이다. 앞서 양국은 지난 1월 고위급 회담에서 경제·금융 부문에서 협력하기로 한 바 있다. 이번 녹색채권 발행은 당시 합의의 후속 조치 가운데 하나다. 재정부는 "중국은 올해 위안화로 발행하는 첫 국가 녹색채권을 런던에서 발행하는 것을 확정했다"면서 "국내 친환경·저탄소 사업을 지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국 정부는 2030년 이전 탄소 배출량을 정점으로 찍고 2060년 탄소중립에 도달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NVIDIA)와 테슬라 창업자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업 xAI가, 블랙록이 주도하는 AI 인프라 투자 파트너십에 합류했다. 생성형 AI 등장 이후 데이터센터 등 관련 인프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블랙록은 20일 엔비디아와 xAI가 '글로벌 AI 인프라스트럭처 인베스트먼트 파트너십(AIP)'에 새롭게 합류했다고 밝혔다. 엔비디아와 xAI의 합류로 AI 인프라 투자를 위한 기술적 역량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엔비디아는 AIP 기술 고문 역할을 담당해 차세대 AI 데이터센터 인프라 구축을 지원한다. 또 재생에너지 기업 GE베르노바와 미국 최대 전력기업 넥스트에라에너지도 AIP와 AI 데이터센터에 다양한 에너지 솔루션을 적용하는 데 협력한다. AIP는 블랙록과 세계 최대 소프트웨어 기업 마이크로소프트(MS),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 국부펀드 MGX가 작년 9월 공동으로 설립한 투자 파트너십이다. 우선 300억 달러(약 44조원)의 자본을 확보한 이후 최대 1000억 달러(약 146조원)까지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셰이크 타눈 빈 자예드 알 나흐얀 MGX 회장은 "A
[더구루=홍성환 기자] 글로벌 자산운용사 인베스코가 수도권에 있는 시니어 주택 3곳을 인수했다. 인베스코는 국내 시니어 토탈케어 기업 케어닥과 합작 설립한 케어오퍼레이션을 통해 주택을 매입했다. 앞서 두 회사는 작년 9월 합작사를 설립하고 수조원 규모의 시니어 주택 펀드를 조성했다. 이번 협업은 국내 시니어 케어 스타트업과 글로벌 투자자 간의 첫 번째 협력 사례다. 케어닥은 국내 시니어 테크 및 하우징 시장의 대표 기업이다. 인베스코는 세계 7위 자산운용사로 약 1조9000억 달러(약 2760조원)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 인베스코는 시니어 주택을 사회 인프라 처럼 필수 시설로 정의하는 동시에 고령화와 기술 혁신이 빠르게 진행되는 한국 시장의 잠재력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특히 한국의 시니어 레지던스 시장을 대표적인 고성장 산업군으로 판단했다. 인베스코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노인 주택 보급률은 0.6%로 미국(11%), 호주(5.9%), 일본(2.5%) 등과 비교해 크게 낮은 수준이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를 차지하는 초고령 사회에 진입했다. 한편, 케어오퍼레이션은 양로시설, 노인복지주택, 시니어 레지던스 등 시니어 주
[더구루=홍성환 기자] 코레이트자산운용이 인도네시아 신수도 인프라 사업에 대한 투자를 추진한다. 인도네시아 국영 건설사 닌디아카르야는 지난 14일(현지시간) 자카르타에서 코레이트자산운용과 신수도(IKN) 3개 민관협력(PPP) 사업에 협력하는 내용의 기본합의서(HoA)에 서명했다고 19일 밝혔다. 두 회사는 신수도 인프라 사업에 협력 후 협력 분야를 확대할 예정이다. 닌디아카르야는 "이번 협력을 통해 인도네시아 국가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전했다. 인도네시아는 지반 침하·인구 집중 문제가 심각한 자카르타에서 칼리만탄섬 누산타라로의 수도 이전을 추진하고 있다. 2045년까지 5단계 계발계획에 따라 이전할 계획인데, 여기에는 350억 달러에 달하는 대규모 인프라 사업이 수반된다. 코레이트자산운용은 1987년 설립한 종합 자산운용사로 한국토지신탁의 자회사다. 부실채권(NPL), 리츠 등 대체투자 분야에 집중하고 있다. 작년 말 기준 운용자산 규모는 3조8000억원 수준이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러시아 국부펀드가 미국 기업과 희토류 개발 사업에 협력할 가능성에 대해 언급했다. 미국과 러시아 간 관계 회복이 속도를 낼 전망이다. 19일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해외 투자·경제 협력 특사인 키릴 드미트리예프 러시아직접투자펀드(RDIF) 대표는 지난 18일 기자들과 만나 "러시아의 희토류 매장량은 우크라이나보다 몇 배 많고 우리는 여러 매장지를 살펴보고 있다"면서 "우리는 이 프로젝트에 미국 기업을 참여시키고 싶다"고 밝혔다. 앞서 푸틴 대통령도 지난달 "미국과 러시아의 희토류를 공동으로 개발할 준비가 됐다"고 언급한 바 있다. 푸틴 대통령은 방송 인터뷰에서 "러시아는 우크라이나보다 훨씬 많은 희토류 금속을 보유하고 있고 미국을 포함한 외국 파트너들과 협력해 개발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러시아는 중국·브라질·인도·호주에 이어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많은 희토류를 보유하고 있다. 미국 지질조사국은 러시아 희토류 매장량은 380만t으로 추정했다. 러시아 천연자원부는 11가지 희토류 2870만t을 보유한 것으로 파악했다. 이 가운데 380만t이 개발 중이거나 개발 예정이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LG그룹의 기업주도형 벤처캐피털(CVC) LG테크놀로지벤처스가, 캐나다 직접리튬추출(DLE) 기술기업 서밋나노테크(Summit Nanotech)에 투자했다. 직접리튬추출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서밋나노테크는 19일 2550만 달러(약 370억원) 규모 자금조달 라운드를 마감했다고 밝혔다. 이번 라운드는 에복이노베이션스과 BDC캐피털이 공동으로 주선했다. 주요 참여자로는 LG테크놀로지스벤처스를 비롯해 △조라이노베이션 △카프리콘인베스트먼트 △미츠이키조쿠-SBI 머트리얼이노베이션펀드 등이 있다. 아만다 홀 서밋나노테크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투자는 전략적 파트너십을 강화하는 동시에 시범 운영에서 상업적 설계로 전환하는 중요한 이정표"라며 "리튬채굴기업에 선도적인 솔루션을 제공할 준비가 됐다"고 전했다. 서밋나노테크는 캐나다 앨버타주(州) 캘거리에 본사를 둔 직접리튬추출 기술 스타트업이다. 리튬 염수에서 리튬을 직접 추출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직접리튬추출 방식은 염수에서 리튬을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것이다. 리튬의 화학적 특성을 이용해 리튬 원소를 흡착하거나 흡착제를 활용해 리튬 원소만 빼내는 방식이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국이 모잠비크 LNG(액화천연가스) 사업에 대한 자금 지원을 결정했다. HD현대삼호와 삼성중공업의 LNG선 수주 가능성도 높아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17일 파이낸셜 타임즈에 따르면 에스테방 팔레 모잠비크 에너지부 장관은 "미국 수출입은행이 모잠비크 LNG 사업에 대한 47억 달러(약 6조8360억원)의 대출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이번 대출 승인은 지난 몇 주 동안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 수출입은행에 수 차례 지시를 한 후에 이뤄졌다. 사업 주체인 토탈에너지는 바이든 행정부 당시 미국 수출입은행 대출을 시도해 왔지만 번번이 무산된 바 있다. 모잠비크 LNG 사업은 모잠비크 해상1 광구 내 골피노·아툼 가스전을 개발하고 천연가스 액화플랜트 2기를 건설·운영하는 프로젝트다. 확인된 매장량만 150조ft³(세제곱피트)에 이르며, 토탈에너지는 연간 최대 4300MTPA(만톤)을 확장할 수 있는 2개 프로젝트를 추진할 계획이다. 미국의 자금 지원이 결정되면서 HD현대삼호와 삼성중공업의 LNG선 수주에도 청신호가 켜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HD현대삼호와 삼성중공업은 지난 2020년 토탈에너지와 건조 의향서(LOI)를 체결한 뒤 4년
[더구루=홍성환 기자] 국민연금공단이 호주 대체투자 전문 운용사 메트릭스크레딧파트너스(Metrics Credit Partners)에 소수 지분을 투자한다. 운용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해외 대체투자에서 적극적으로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17일 호주 증권거래소(ASX)에 따르면 국민연금은 미국 부동산 전문 운용사 타운센드그룹(Townsend Group)과 손잡고 메트릭스크레딧 지분 4.17%를 인수할 예정이다. 인수가는 5000만 호주달러(약 460억원) 수준이다. 이번 지분 투자에 따라 국민연금과 타운센드, 메트릭스크레딧은 부동산 등 대체투자 시장에서 협력할 계획이다. 메트릭스크레딧은 "세계 최대 연기금 가운데 하나인 국민연금과 글로벌 부동산 투자 운용사 타운센드와 협력해 국내외 미래 성장 계획을 지원할 것"이라며 "특히 타운센드가 전문 지식을 제공하는 부동산 전략 분야에 집중할 것"이라고 전했다. 메트릭스크레딧은 운용자산 230억 호주달러(약 21조1500억원) 규모 대체투자 전문 운용사다. 채권, 사모대출, 주식, 자본시장 등에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국민연금은 대체투자 확대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올해 들어서만 글로벌 운용사 지분 인수(GP Stak
[더구루=홍성환 기자] 러시아 중앙은행이 외화 계좌의 현금 인출 제한 조치를 6개월 더 연장하기로 했다. 16일 코트라와 러시아 경제지 RBC 등에 따르면 러시아 중앙은행은 외화계좌 인출 제한을 오는 9월 9일까지 6개월 추가 연장했다. 중앙은행은 "서방 국가의 경제 제재가 이어지는 가운데 외화 인출 제한을 유지하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러시아 중앙은행은 지난 2022년 3월 외화 계좌의 현금인출 한도를 1만 달러로 제한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뒤 서방의 잇단 경제 제재를 받는 상황에서 외화 유출을 차단하기 위한 조치다. 러시아 중앙은행은 외화계좌에 대해 루블화로만 인출을 허용하고 있다. 전자지갑을 통한 외화 이체도 루블화로만 가능하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중국 동박 제조업체 더푸커지(德福科技·지우장더푸테크놀로지)가 솔루스첨단소재의 유럽 룩셈부르크 동박 공장을 인수하기로 했다. [유료기사코드] 더푸커지는 30일 솔루스첨단소재 종속회사인 볼타 에너지 솔루션(Volta Energy Solutions)과 '서킷 포일 룩셈부르크(CFL)' 지분 100%를 1억7400만 유로(약 2800억원)에 인수하는 주식 매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CFL은 정보통신기술(ICT)용 동박을 제조하는 공장으로 1965년 완공됐다. 솔루스첨단소재의 전신인 두산솔루스가 2014년 인수한 공장으로, 11년 만에 매각 결정을 내렸다. 더푸커지는 "우리는 초극저조도(HVLP) 동박과 초극박(DTH) 등 최첨단 IT용 동박 제품 개발을 장기 전략으로 항상 최우선 순위에 뒀다"면서 "이번 거래가 완료되면 IT용 동박 부문에서 세계적인 선도 기업으로 발돋움할 것"이라고 전했다. 더푸커지는 중국 3대 동박 제조기업이다. 동박은 두께 10㎛(마이크로미터, 1㎛=100만분의 1m) 내외의 얇은 구리 박막으로 전기차용 이차전지 핵심 소재로 주목받았다. 특히 최근에는 AI 반도체에 들어가는 주요 소재로 부각되고 있다. HVLP 동박
[더구루=홍성일 기자] TSMC를 세계 1위 파운드리 기업으로 만든 '역전의 용사'들이 연이어 퇴장하고 있다. TSMC는 차세대 리더를 발굴하며, 승계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업계에 따르면 웨이젠 로(Wei-Jen Lo) TSMC 기업전략개발 부사장이 지난 27일 은퇴했다. UC버클리에서 고체물리학·화학 박사를 학위를 취득한 웨이젠 로 부사장은 인텔과 모토로라, 제록스 등에서 경력을 쌓고 2004년 운영 조직 2부 총괄로 TSMC에 입사했으며, 2006년부터 2009년까지 샹이 치앙(Shang-Yi Chiang) 부사장에 이어 연구개발(R&D) 부문 부사장으로 근무했다. 2009년부터는 제조 기술 부문 부사장으로 활동했다. 웨이젠 로는 21년간 TSMC에서 기술 연구를 이끌며 1000개에 달하는 미국 특허를 포함해, 총 1500개 이상의 특허를 확보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TSMC는 웨이젠 로 부사장의 후임으로 로라 호(Lora Ho) 인사부문 부사장을 임명했다. 로라 호는 과학자 출신인 웨이젠 로와 다르게 회계, 재무 부문 전문가로 활동해왔다. 로라 호는 1999년 회계 담당자로 TSMC에 입사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