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나윤 기자] 인도네시아 금융당국이 올해부터 암호화폐 거래소에 대한 규정을 대폭 강화하며 직접 감독에 나섰다. 새롭게 도입된 인도네시아 금융감독청(OJK) 규정에 따라 모든 암호화폐 거래소는 운영 허가 전 반드시 규제 샌드박스 평가를 통과해야 한다. 이 평가에서는 플랫폼의 자금 세탁 방지(AML) 시스템, 자산 보안, 위험 관리 체계 등을 통제된 환경에서 검증한다. 해당 절차를 거치지 않으면 불법 운영으로 간주된다. OJK는 평가를 통과한 기업을 공개했다. 업비트 인도네시아를 비롯해 Indodax, 토코크립토, Pintu, Reku 등 현지 거래소가 AML 기준을 충족했다. 이번 조치는 단순 거래 매칭 기능에 국한됐던 기존 감독 범위를 넘어 토큰 발행 지원, 자산 수탁 솔루션, 플랫폼 시스템 보안 등으로 감독 영역을 넓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특히 '샌드박스 진입'과 '기준 통과 기업 공개'라는 이중 트랙 접근 방식은 혁신과 위험 관리를 조화롭게 추구하는 접근으로 평가받는다. 앞서 지난 1월부터 인도네아의 암호화폐 자산에 대한 규제 기관이, 상품선물거래규제청(Bappebti)에서 OJK와 인도네시아은행(BI)으로 이관됐다. 이는 암호화폐를 금융
[더구루=정등용 기자] 베트남 최대 자산운용사 드래곤 캐피탈이 내수시장을 살릴 기업 3곳을 선정했다. 레 안 뚜언 드래곤 캐피탈 투자부문 이사는 최근 투자자들에게 보낸 이메일 서신을 통해 베트남 내수시장을 살릴 자국 기업으로 호아팟 그룹, 빈 그룹, FPT를 꼽았다. 호아팟 그룹은 베트남 철강 대기업이다. 최근에는 베트남 건국 이래 최대 인프라 프로젝트 중 하나인 북남 고속철도 사업에 참여 의지를 밝혔다. 빈 그룹은 베트남 최대 규모 민간 기업으로 호텔과 리조트 등 부동산 및 관광 산업을 주력으로 하고 있고 자동차도 만든다. 총 계열사 수는 50여개에 이른다. FPT는 베트남 최대 IT 기업으로 기술, 통신, 교육 분야에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일본 IT기업 넥스트어드밴스커뮤니케이션을 인수하며 해외시장 확대에 힘을 쏟고 있다. 뚜언 이사는 세 기업을 언급하며 내수시장 활성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수출이 늘고 외국인 직접 투자(FDI)가 많아져도 베트남 경제 성장의 원동력은 결국 내수시장에 있다는 것이다. 뚜언 이사가 근거로 든 사례를 보면 지난 2011년부터 2012년까지 수출은 35~40% 성장했지만 당시 내수 경제는 침체를 겪었다. 또한 FD
[더구루=홍성환 기자] 한화투자증권 베트남 법인 파인트리증권의 2분기 실적이 크게 성장했다. 파인트리증권은 2분기 세후이익 약 180억 동(약 10억원)을 기록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약 100억 동(약 5억원) 대비 84% 증가한 수치다. 2분기 총매출은 860억 동(약 46억원)으로 전년 동기 750억 동(약 40억원)보다 15% 증가했다. 지출은 640억 동(약 34억원)으로 2% 늘었다. 파인트리증권은 "주식 시장의 안정과 회사의 사업 지원 정책으로 총매출이 15% 증가했다"면서 "지출의 경우 회사의 비용 관리 노력으로 소폭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한화투자증권은 지난 2019년 현지 HFT증권을 인수하며 파인트리 증권을 설립했다. 웹 트레이딩 시스템(WTS)과 모바일 트레이딩 시스템(MTS)를 통해 브로커리지·신용공여 서비스를 주력 사업으로 한다. 베트남 주식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전체 시가총액은 7200조 동(약 380조원)으로 2023년 대비 21% 성장했다. 이는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래에셋자산운용의 미국 자회사 글로벌X가 미국 국채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를 새로 출시했다. 글로벌X는 미국 증시에 TLTX(Global X Treasury Bond Enhanced Income ETF)를 상장했다고 19일 밝혔다. TLTX는 미국 국채와 국고채 원금·이자 분리채권(스트립·STRIPS), 그리고 이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ETF에 투자하는 상품이다. 금리 민감도를 관리하고 프리미엄 수익을 추구하는 것을 목표로 매주 콜옵션을 발행한다. 이 상품은 글로벌X가 커버트콜 전략을 적용한 15번째 ETF다. 커버드콜은 특정 자산을 매수하면서 해당 자산의 콜옵션을 매도하는 전략으로, 주가 변동 시 손익을 조절하는 데 활용된다. 주가 상승 시 콜옵션 프리미엄 수익을 얻고, 하락 시 손실을 일부 상쇄한다. 페드로 팔란드라니 글로벌X 상품 연구개발 책임자는 "TLTX는 신중한 위험 관리를 통한 수익 창출 수요를 위해 내놓은 상품"이라며 "국채 ETF에 대한 주간 콜옵션을 발행해 프리미엄 수익을 창출함으로써 이러한 투자자 수요를 충족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글로벌X는 2008년 설립된 미국 ETF 전문 운용사로, 테마형·인컴형 등
[더구루=정등용 기자] 글로벌 4대 사모펀드인 아폴로 글로벌 매니지먼트(Apollo Global Management·가 한국 시장 인력을 확충했다. 18일 해외매체인 시티와이어 아시아(City Wire Asia)에 따르면, 아폴로는 최근 서울 사무소 인력을 2명 충원했다. 우선 서울 사무소 고객 그룹 담당 책임자로 스콧 림을 채용했다. 림은 골드만삭스 자산운용에서 동일한 직책을 맡았으며, 18년 동안 근무한 이력이 있다. 또한 아시아태평양 지역 글로벌 자산 관리 담당 디렉터로 양승주 씨를 영입했다. 양 씨는 대체 투자 플랫폼인 아이캐피탈에서 약 3년 동안 아태 고객 솔루션 부사장을 역임했다. 스위스 금융사 픽텟에서 PB로 일하기도 했다. 아폴로는 지난해 11월 서울 사무소를 열고 한국 시장 확대에 힘을 쏟고 있다. 대표로는 삼성증권 부사장 출신으로 인수·합병(M&A) 등 IB 업무를 총괄한 이재현 씨를 임명했다. 아폴로는 지난 2006년부터 아태 시장 공략에 공을 들이고 있다. 서울은 도쿄·시드니·홍콩·뭄바이·싱가포르에 이은 여섯 번째 아태 지부다. 아폴로의 총 운용 자산 규모는 7850억 달러(약 1090조원)에 이른다.
[더구루=김나윤 기자] 베트남 신한은행이 미국 대형 은행 웰스파고(Wells Fargo)로부터 운영 우수상을 수상했다. 외화송금 자동처리(STP, Straight-Through Processing) 비율이 99.9%에 달한 점이 높게 평가됐다. 운영 우수상은 웰스파고를 통해 국제 송금을 처리하는 은행 가운데 연간 처리 건수와 STP 비율이 일정 기준을 초과한 은행에 수여되는 상이다. 일반적으로 95% 이상의 STP 비율을 달성한 은행만 수상 자격이 주어진다. STP 비율은 결제·송금·증권거래 등 금융 업무에 사람이 개입하지 않고 전산 시스템만으로 자동 처리하는 비율을 뜻한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운영 효율성, 오류율 감소, 국제 거래 신뢰성 확보 측면에서 우수한 은행으로 평가된다. 신한은행 베트남 법인 관계자는 "이번 수상을 통해 국제 지급결제 시스템에 대한 전문성과 글로벌 표준을 충족하는 내부 운영 역량을 입증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더구루=김나윤 기자] 수십여 곳에 달하는 캄보디아 은행에 대해 "통합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주요 은행 중 한 곳인 KB프라삭 은행이 시장 확대의 기회를 맞고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KB프라삭 은행은 KB국민은행의 캄보디아 자회사이다. 작년 말 기준 캄보디아에는 총 59개의 은행이 영업 중이다. 지난 3년간 통합 논의가 지속돼 왔지만 뚜렷한 진척이 없었다. 캄보디아 국립은행(NBC)은 지속적으로 통합 필요성을 강조했고 캄보디아 정부 역시 최소 자본 요건 강화를 통해 구조조정을 유도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 대해 유안타증권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캄보디아 은행 통합이 운영 비용 절감과 수익성 개선은 물론 디지털 혁신과 리스크 관리 역량 강화로 이어져 시스템 전반의 탄력성과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고 내다봤다. 지난해 기준 상위 5개 은행은 ABA, Acleda, Canadia, KB프라삭, Sathapana 순으로, 전체 은행 자산의 49%를 차지했다. 2018년 52%에서 소폭 하락한 수준으로, 중소형 은행들의 부상과 시장 파편화를 보여준다. 유안타는 "파편화된 은행 시스템이 금융 리스크를 키운다"며 "자본력이 부족한 은행은 자본 적정성 저하, 부실채
[더구루=김나윤 기자] 한국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가 최대 183조원의 과태료를 낼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외신들도 이 문제에 대해 '붕괴' 등을 언급하며 관심을 보이고 있다. 미국 투자전문 매체 Alnvest는 "이번 사안은 규제가 부족한 거래소가 얼마나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라고 보도했다. 또 다른 미디어인 Coinspeaker는 "한국 내 가상자산 시스템 자체가 붕괴될 수 있다는 경고 신호"라고 표현하며 이번 조치가 글로벌 가상자산 규제 강화 흐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앞서 더불어민주당 민병덕 의원은 "금융정보분석원(FIU)이 업비트에 대해 자금세탁방지(AML)·고객확인의무(KYC) 등 위반 사항을 적발해 조치를 취했는데 과태료는 아직 부과하지 않았다"며 "957만 건의 위반 혐의로 최대 183조 원을 내야 할지 모른다"고 밝혔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SK가 미국 친환경 가스 기업 넷파워(NET Power) 지분을 전량 매도했다. 그룹 사업 재편 작업에 따라 비주력 사업 몸집 줄이기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18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따르면 SK는 지난 15일(현지시간) 미국 자회사 틸란드시아(Tillandsia)가 보유 중이던 넷파워 지분 250만주를 매도했다. 매도액은 약 650만 달러(약 90억원)다. SK는 앞서 지난해 5월 넷파워 지분 250만주를 처분한 데 이어 이번에 추가로 매각하면서 지분을 모두 털어냈다. 다만 지분 투자한 리버스캐피털(8 Rivers Capital) 등을 통해 간접 보유한 공유 의결권 주식은 2672만9880주가 있다. <본보 2024년 5월 29일자 참고 : [단독] SK, 美 친환경 천연가스 기업 '넷파워' 지분 일부 매도…'340억 규모'> 앞서 SK는 2023년 6월 넷파워가 기업인수목적회사(스팩·SPAC) 합병으로 미국 증시에 상장할 당시 상장지분사모투자(PIPE)를 통해 5000만 달러(약 700억원)를 투자한 바 있다. 당시 투자 주체는 자회사 SK머티리얼즈였다. 이번 지분 매각은 SK그룹이 작년부터 추진해온 포트폴리오
[더구루=홍성환 기자] 글로벌 투자은행(IB) 모건스탠리가 국내 자동차 부품 및 방위산업 기업 SNT모티브의 주가 전망을 높여 잡았다. 17일 투자전문매체 인베스팅닷컴에 따르면 모건스탠리는 SNT모티브 투자 의견을 '비중확대(Overweight)'로 상향 조정했다. 12개월 목표주가도 '3만2000원'에서 '4만5000원'으로 높였다. 모건스탠리는 "내년부터 매출·영업이익 성장 가속화와 방산 부문의 매출 기여도 확대가 예상된다"면서 "자동차 부품과 방산 모두 내년부터 신규 수주를 통해 성장 기반을 다질 것으로 예상되며, 회사의 성장 궤도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회사 전체 영업익에서 방산이 35% 이상을 기여할 수 있을 전망"이라며 "국가 안보 우려가 확대됨에 따라 글로벌 방산 기업의 주가가 재평가되고 있음을 고려할 때 SNT모티브도 재평가를 받을 것"이라고 밝혔다. SNT모티브는 SNT그룹 계열사다. 자동차 부품과 방산 제품을 주력으로 한다. 자동차 주력 제품은 엔진 및 파워트레인 이다. 방산에서는 총기류를 생산한다. 16일 현재 이 회사 주가는 3만5100원으로 올해 들어서만 70% 넘게 뛰었다.
[더구루=김나윤 기자]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가 KB캐피탈의 인도네시아 자회사 사업에 대해 부정적인 전망을 제시했다. 피치는 먼저 SKBF(Sunindon Kookmin Best Finance)에 대해 "신용등급을 AA로 유지한다"고 밝혔다. 이번 등급은 모회사인 KB캐피탈의 지원 가능성을 핵심 근거로 한다. 피치는 "KB캐피탈이 SKBF의 85% 지분을 보유하고 있고 브랜드 공유, 전략적 방향성, 운영 참여 등에서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며 "KB캐피탈이 SKBF의 부채에 대해 보증을 제공하는 점도 높은 등급을 정당화한다"고 분석했다. 다만 피치는 "KB캐피탈의 신용등급이 하락하거나 양사 간 관계가 약화될 경우 SKBF의 신용등급 하락 압력을 받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피치는 SKBF의 사업성에 대해선 부정적 평가를 내렸다. 피치는 "SKBF가 소규모 업체로 인도네시아 시장 내 점유율과 수익성이 제한적"이라며 "모회사 전체 사업 내에서 전체 비중이 작을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상용차와 신차 금융 등으로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며 수익성을 유지해왔고 시장 점유율 확대 여지도 있다"고 내다봤다.
[더구루=김나윤 기자] 강상진 한국수출입은행(KEXIM) 우즈베키스탄 사무소장이 "우즈베키스탄과의 협력은 단순한 인프라 건설을 넘어 의료, 디지털, 에너지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며 "질적 성장 중심의 금융 파트너십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강 소장은 최근 우즈벡 통신사 UZA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히며 "우즈벡 정부의 주요 개혁 아젠다에 발맞춰 보건, 교육, 전자정부 시스템 등에도 적극적인 금융 지원을 준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와 우즈벡 협력은 최근 철도 인프라 분야에서 특히 두드러지고 있다. 지난 4월 국가철도공단, 한국철도공사, 삼안, 동명기술공단으로 구성된 K-철도팀이 타슈켄트와 사마르칸트 268km 구간을 연결하는 고속철도 신설 사업 타당성 조사를 진행했다. 현대로템은 2023년 6월 우즈벡 철도청과 약 2700억 원 규모의 시속 250km급 고속열차 6편성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수도 타슈켄트와 실크로드 중심지 사마르칸트 구간에 투입될 예정으로, 우즈벡 최초의 고속철도가 될 전망이다. 수출입은행은 해당 고속열차 도입을 위한 유리조건 대출(EDCF 원조)을 제공하며 사업 자금조달의 핵심 축을 맡고 있다. 수출입은행은 철도 외 보건·의료 분
[더구루=김은비 기자] 자동차 가격 급등으로 인해 ‘초장기 대출’이 자동차 금융의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 잡고 있다. 차량 평균 가격이 5만 달러에 육박하면서, 소비자들이 월 납입금 부담을 줄이기 위해 장기 대출을 택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미국 신규 자동차 대출 가운데 21.6%가 84개월로 집계됐다. 이는 60개월 대출(36.1%)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이다. 일부 금융사에서는 8년(96개월)짜리 초장기 상품까지 부활시키기도 했다. 이처럼 장기 대출이 등장한 이유는 고가의 자동차 가격 때문이다. 콕스 오토모티브(Cox Automotive)에 따르면 미국 내 자동차 평균 거래가격은 5년 전과 비교해 급등했다. 지난 6월 기준 신차는 5만 달러, 전기차는 5만6910달러까지 치솟았다. 높아진 자동차 가격에 장기 대출일 수록 이자와 상환액은 더 늘어나지만 소비자들은 월 납입금 인하에 더 높은 가치를 두고 있는 모습이다. 이처럼 가격이 높아진 데에는 트럼프 행정부의 글로벌 상호 관세가 자리잡았다. 미국은 지난 4월 수입 자동차·부품에 25% 관세를 부과했으며 한국과는 최근 미국산 에너지 구매 등을 조건으로
[더구루=진유진 기자] 중국이 니코틴 파우치 제품의 자국 내 출시가 초읽기에 들어갔다. 국내 기업들이 관심을 보여온 차세대 담배 시장이 국가 주도로 열리는 셈으로, 중국 내 새로운 성장 기회를 노린 전략이라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국가담배독점관리국(STMA)이 관련 기관에 니코틴 파우치 제품 개발과 국내 시장 출시 준비를 지시했다. 니코틴 파우치는 가열식 담배보다 기술적·지적 재산권 위험이 낮아 승인 과정이 비교적 용이하다는 내부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제품 출시 시점도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중국 국영 기업들은 이미 해외 시장에서 가열식 담배를 판매하고 있으나, 주요 특허가 국제 담배 기업에 집중돼 있어 국내 판매 승인은 제한적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니코틴 파우치는 국가 체계 내에서 공식 개발되는 첫 차세대 담배 제품이 될 전망이다. STMA 산하 일부 계열사는 니코틴 파우치에 대한 소비자 관심과 유통 준비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담배 소매업체를 대상으로 시장 조사에 착수했다. 이 데이터는 향후 출시 전략과 가격 정책 등 세부 계획을 수립하는 데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