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등용 기자] 국내 시중은행들이 ‘생산적 금융’으로의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 생산적 금융은 단순한 이윤 추구가 아닌 기술창업, 중소기업 지원, 사회적 금융 등 경제와 사회에 실질적으로 긍정적 효과를 주는 투자를 말한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내 시중은행들은 생산적 금융 전환 차원에서 보증기관 협력은 물론 아예 새 조직을 만들었다. 우리은행은 은행권 최초로 기술보증기금과 소셜벤처기업 육성을 위한 협약을 맺고 금융 지원에 나섰다. 우리은행은 기술보증기금에 5억원을 특별출연하고 185억원 규모의 자금을 소셜벤처기업 전용 협약보증을 통해 공급한다. KB국민은행도 기술보증기금과 업무협약을 맺고 10억원의 보증료 지원금을 출연, 이를 바탕으로 약 500억원 규모의 보증서 대출을 지원하기로 했다. 지원 대상은 기술보증기금의 기술보증 요건을 충족하는, 창업 후 7년 이내의 중소기업 가운데 창업생태계 조성 기업, 혁신 창업성장 지원 대상 기업 등이다. 신한은행은 생산적 금융 전담조직을 신설한다. 이 조직은 정부가 추진하는 초혁신경제 15대 선도 프로젝트에 발맞춰 △15대 프로젝트 영역별 연구·조사 △정부 투자 유망업체와 밸류체인상 우량기업 발굴 △산업분석·
[더구루=김나윤 기자] 미국 씨티은행이 스테이블코인 시장이 5년 안에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금융사와 기업들의 스테이블코인 채택이 늘면서 "블록체인 기반 결제 인프라가 확산될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 25일(현지시간) 씨티 인스티튜트의 로닛 고스와 씨티 서비스의 라이언 러그는 공동 보고서를 통해 스테이블코인을 "블록체인의 챗GPT 순간, 즉 대중적 확산의 기폭제"라고 표현했다. 스테이블코인은 달러 등 기존 통화에 가치를 연동해 가격 변동성을 최소화한 암호화폐다. 보고서는 기본 시나리오에서 스테이블코인 발행 규모가 오는 2030년까지 1조9000억달러(약 2700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기존 추정치 1조6000억달러(약 2300조원)보다 상향된 수치다. "낙관적인 경우에는 최대 4조 달러(약 5600조원)까지 확대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씨티에 따르면 스테이블코인 시가총액은 올해 들어서만 2000억달러(약 280조원)에서 2800억달러(약 390조원)로 증가했다. "암호화폐 거래가 늘어난 것과 함께 국경을 넘어 달러에 쉽게 접근하려는 가계, 인터넷 쇼핑몰 등의 스테이블코인 활용이 늘어난 결과"라는 설명이다. 이어 이 같은 추세가 "
[더구루=김나윤 기자] 수년간 고속 성장세를 이어온 신한은행 베트남 법인이 올들어 처음으로 성장세가 꺾였다. 신한은행 베트남은 올해 상반기 세후 이익이 2조2200억 동(약 12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 줄었다고 지난 25일(현지시간) 밝혔다. 수년간 큰 성장을 기록하던 신한은행 베트남의 실적이 줄어든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에 따라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2.26%로 지난해 같은 기간 15.73%보다 낮아졌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베트남 금융당국의 저금리 정책 기조와 은행간 경쟁 심화 등 시장 여건이 어려웠다"고 설명했다. 이어 "상반기에 우량대출을 미리 집행했고 현지 기업과 가계 대출 간 균형잡힌 성장으로 성공적인 현지화를 지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신한은행 베트남은 2008년 현지 진출 후 빠르게 입지를 확대했다. 2021년 세후 이익 2조 5300억 동(약 1400억원), 2022년 3조7100억 동(약 2000억원), 2023년 4조5200억 동(약 2400억원), 2024년 4조5800억 동(약 2500억원)을 달성하며 꾸준히 사상 최대 실적을 이어왔다. 한편 베트남 중앙은행(SBV)은 올해 들어 신한은행 베트남의 신용활동과 보고 체
[더구루=홍성환 기자] 하나은행이 미국 금융 서비스 회사인 스톤엑스그룹(StoneX Group)과 국경 간 결제 서비스에 협력하기로 했다. 국내 최고 수준의 외국환 역량을 바탕으로 우리 수출 기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할 전망이다. 하나은행 런던 지점과 스톤엑스 영국 자회사 스톤엑스 파이낸셜은 26일 국경 간 결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코레스 은행(Correspondent Banking·환거래 중계은행)'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코레스 은행은 외국환 거래에서 발생하는 환거래 업무를 처리하기 위해 두 개 이상의 국가에 영업소를 둔 은행이 상대방 은행을 자국 내의 대리 은행으로 지정해 입출금 등의 금융 업무를 취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다. 스톤엑스는 미국에 본사를 둔 금융 서비스 회사다. 6개 대륙에서 80개 이상 지점을 운영 중이다. 5만4000개 이상 기업·기관·결제 고객을 보유하고 있으며, 26만개 이상 소매 계좌를 운영하고 있다. 하나은행은 스톤엑스의 국경 간 외환 결제 플랫폼을 활용해 아시아와 중남미, 중동에서 효율적이고 원활한 현지 통화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번 파트너십으로 전 세계 시장에서 사업을 하는 한국 기업의 요구를 더욱 효과적으로
[더구루=홍성환 기자] '돈나무 언니'라는 별명으로 불리는 캐시 우드가 미국 반도체 기업 AMD 주식을 팔고, 알리바바·바이두 등 중국 기업 주식을 샀다. 26일 미국 금융정보업체 팁랭크스에 따르면 캐시 우드의 자산운용사 아크인베스트는 지난 24일 AMD 주식 약 14만주를 매도했다. 총 매도액은 2200만 달러(약 310억원)다. 아크인베스트는 알리바바와 바이두를 각각 6만3000여주, 8만3000여주를 매수했다. 매수액은 각 1000만 달러(약 140억원) 규모다. 앞서 아크인베스트는 지난 22일에도 1630만 달러(약 230억원) 규모 알리바바 주식을 매수한 바 있다. 아크인베스트의 알리바바 투자는 2014년 기업공개(IPO) 직후부터 이뤄졌다. 하지만 2021년 중국 당국이 플랫폼 규제를 강화하자 보유 지분을 정리했다. 당시 알리바바는 중국 당국의 주요 단속 대상 중 하나였다. 알리바바 주가는 최근 AI 사업 확대 기대감에 2021년 11월 이후 최고치로 치솟았다. 올해 들어 뉴욕 증시에서 90%, 홍콩 증시에서는 100% 이상 올랐다. 전문가들은 캐시 우드의 이번 알리바바 주식 매수를 사실상 '중국 빅테크에 대한 재진입'이라는 신호로 해석했다. 아크
[더구루=홍성환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장남인 트럼프 주니어가 이끄는 벤처캐피털(VC) 1789캐피털이 로켓 기업 파이어호크 에어로스페이스(Firehawk Aerospace)에 투자했다.
[더구루=김나윤 기자] 미래에셋증권이 인도네시아의 경제 정책에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인니 정부가 '돈풀기'에 나서면서 현지 주식시장이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미래에셋증권의 인니 법인 미래에셋세쿠리타스의 아르야 위스누브로토 이코노미스트는 "이번에 신임 재무장관으로 푸르바야 유디 사데와를 임명하면서 시장이 재정 정책의 방향을 주시하고 있다"며 "대통령이 부여한 가장 중요한 임무는 8% 경제성장 가속화"라고 지난 23일(현지시간) 미래에셋 미디어 데이에서 말했다. 앞서 프라보워 수비안토 대통령은 국회의원 특권 논란으로 촉발된 지난달 반(反)정부 시위 이후 스리 물랴니 인드라와티 재무장관을 경질하고 새로 재무장관을 임명했다. 위스누브로토 이코노미스트는 "새 장관 선임으로 앞으로 정부와 민간이 함께 성장의 주축이 되는 보다 광범위한 재정 정책을 보게 될 것"이라며 "재정 규율 위주의 정책에서 벗어나 친성장 기조로의 전환이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정부 지출 확대가 핵심 수단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인니 정부는 이미 200조 루피아(약 17조원) 자금을 국영은행에 투입해 대출 등 신용 공급을 늘리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경기 부양과 성
[더구루=홍성환 기자] 한국산업은행이 홍콩지하철공사(MTR)에 약 1400억원의 유동성을 공급했다. MTR은 "산업은행과 7억8000만 홍콩달러(1400억원) 규모 7년 만기 회전거래신용(Revolving Credit Facility) 약정을 맺었다"고 25일 밝혔다. RCF는 기업이 이용하는 일종의 마이너스 통장으로 일정 기간 동안 한도 내에서 계속 돈을 빌릴 수 있다. MTR은 국내외 금융기관과 300억 홍콩달러(약 5조4000억원) 규모 신디케이트론(집단대출) 계약도 체결했다. 총 57개 금융기관이 참여했다. MTR는 조달한 자금으로 인프라 개발과 노후 자산 교체를 실시할 계획이다. 제이콥 캄 MTR 대표는 "철도는 홍콩 친환경 교통 인프라의 핵심이자 도시 경제 성장의 주요 동력"이라며 "MTR은 노던링크(북부선)를 비롯한 여러 대형 프로젝트를 본격적으로 추진하면서 새로운 성장 국면에 접어들었다"고 전했다. 노런링크는 홍콩 북부 지역에 동부선과 툰마선을 연결하는 새로운 철도 노선이다. 총길이는 약 10㎞으로 3개 역이 추가로 지어진다. 오는 2034년 완공이 목표다.
[더구루=김나윤 기자]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빗썸과 업비트가 성장 잠재력이 큰 시장 중 하나로 꼽히는 베트남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 그런데 업비트는 단순 제휴 수준인데 반해 빗썸은 아예 거래소 진출을 준비 중이다. 가상자산거래소의 해외 진출을 막는 관련 규제가 촘촘한 상황에서 빗썸이 어떻게 베트남에 진출하겠다는 건지 의문이 제기된다. 25일 현지 매체에 따르면 빗썸은 베트남 현지의 외국 자본 지분 보유 한도(49%) 규정을 이용해 현지 금융기관·은행과 컨소시엄을 구성, 지분투자 형태로 거래소 운영에 참여할 계획이다. 베트남은 가상자산 이용자 2000만명, 보유액 약 1000억 달러(약 140조원)로 추정된다. 연간 거래액은 8000억 달러, 무려 1120조원 이라는 통계도 있다. 그런데 국내 규정에 따라 빗썸과 업비트 등의 해외 진출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국내 거래소들은 은행의 해외 송금 제한, 외국인 대상 서비스 제한 등 여러 제도적 장벽에 가로막혀 해외 진출을 못하고 있다. 또 해외 법인에 자본금을 보내려면 금융당국의 승인도 필요하다. 이 때문에 업비트는 태국과 인도네시아에 직접 진출하지 못했다. 대신 현지 거래소와 브랜드 및 단순 기술 제휴 협약을 맺었
[더구루=홍성환 기자] 중국 전기차 기업 아바타 테크놀로지(AVATR Technology·아웨이타)가 홍콩 증시 상장을 본격화한다. 자본력을 강화해 신차 개발과 글로벌 시장 진출에 속도를 높일 전망이다. 중국 IT 전문매체 테크노드는 25일 "아바타가 올해 4분기 홍콩 거래소 기업공개(IPO) 신청을 준비 중이며 내년 2분기 상장을 목표로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또 "아바타가 현재 홍콩 IPO 절차의 마지막 준비 단계에 있으며 빠르면 10월 상장을 신청할 수 있다"고 전했다. 아바타는 중국 국영 완성차 기업 창안자동차를 중심으로 세계 최대 전기차 배터리 기업인 CATL과 스마트폰 제조사 화웨이가 2021년 11월 설립한 전기차 기업이다. 고급형 전기차에 집중하고 있다. 아바타는 작년 12월 110억 위안(약 2조1700억원) 규모 투자를 유치했다. 당시 자금 조달에서 기업 가치를 300억 위안(약 5조9100억원)으로 평가받았다. 아바타는 지난해 매출 153억5000만 위안(약 3조20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170% 증가한 수치다. 다만 순손실은 40억2000만 위안(약 7900억원)으로 확대되며 적자를 벗어나지 못했다. 아바타의 올해 1~8월
[더구루=김나윤 기자] 국내 블록체인 핀테크 기업 비댁스가 베트남 디지털 자산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베트남 투자사 IDGX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인프라를 구축하고 이미 베트남 시장 선점에 나선 두나무와 경쟁 구도를 형성하게 됐다. 24일 현지 매체에 따르면 비댁스와 베트남 디지털 자산 전문 투자사 IDGX가 지난 23일(현지시간) 전략적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력은 베트남 최초의 국제 표준 디지털 자산 보관·거래 인프라 구축을 위한 합작 투자의 시작으로, 규제 샌드박스 프로그램을 통해 연내 사업 착수를 목표로 하고 있다. 비댁스와 IDGX는 디지털 자산 거래소, 수탁 서비스, 결제 시스템 등 핵심 기능을 연결하는 디지털 자산 금융 센터 설립을 추진한다. 베트남 가상자산 시장에는 이미 업비트 두나무가 선제적으로 발을 내디뎠다. 두나무는 지난 8월 베트남 MB(군사)은행과 디지털 자산 거래소 구축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업비트의 기술·인프라 공유와 법규 준수, 투자자 보호, 인력 양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할 예정이다. 한편 비댁스는 최근 우리은행과 제휴해 원화와 1:1로 연동되는 스테이블코인 KRW1을 발행하기도 했다. 송금·결제·투자·예치 등
[더구루=홍성환 기자] 신한은행이 아프리카 친환경 에너지 사업에 자금을 지원한다. 신한은행은 아프리카 친환경 에너지 펀드 'Hardest-to-Reach Initiative(H2R)'에 선순위로 참여해 해당 펀드의 조성 성공에 기여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펀드는 글로벌 임팩트 투자기관 아큐먼(Acumen)이 총 2억4650만 달러(약 3300억원)규모로 조성한 펀드다. H2R 펀드는 민간·공공·자선 자본을 결합해 기존 금융이 도달하지 못했던 에너지 사각지대 및 에너지 빈곤을 해소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신한은행은 한국 금융권 최초의 글로벌 임팩트 펀드 참여를 통해 지속가능한발전목표(SDGs) 달성과 아프리카 시장 커버리지 확대를 동시에 추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신한금융그룹의 탄소중립 전략 '제로 카본 드라이브(Zero Carbon Drive)'를 국제 무대에 확장한다. 런던을 중심으로 한 EMEA(유럽·중동·아프리카) 허브 전략과 연계해 미래 성장 진출 기반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신한은행을 비롯해 녹색기후기금(GCF), 국제금융공사(IFC), 영국국제투자공사(BII), 노르딕개발기금(NDF), 소로스경제개발펀드(SEDF) 등 글로벌 개발금융
[더구루=길소연 기자] 세계 1위 배터리 기업인 중국 CATL(寧德時代·닝더스다이)가 중국 리튬 배터리 소재 공급업체 캔맥스 테크놀로지스(Canmax Technologies, 이하 캔맥스)의 지분에 투자하며 리튬 배터리 소재 확보를 늘린다. 원재료·소재·셀·팩·재활용까지 수직 계열화된 밸류체인(생산부터 유통까지 산업 전반의 구성) 구조에 집중하고 있는 CATL은 배터리 소재 확보로 공급망 구축과 원가 경쟁력을 강화한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수소연료전지 기업 블룸에너지(Bloom Energy)가 약 3조6000억원 규모의 자금 조달에 성공했다. 강화된 자본을 기반으로 연료전지 발전용량 확대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