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진유진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가 나란히 가상자산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도입을 대통령 선거 공약으로 내세웠다. 현물 ETF가 도입되면 투자자는 별도의 가상자산 지갑이나 거래소 계정 없이 증권 계좌만으로 가상자산에 투자할 수 있어 접근성이 크게 개선된다. 이 후보는 지난 6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겠다"며 "그 일환으로 가상자산 현물 ETF를 도입하고, 통합 감시 시스템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가상자산 거래 수수료 인하도 함께 제시했다. 김 후보 역시 '중산층 자산 증식 프로젝트'라는 공약을 내면서 가상자산 현물 ETF 도입을 포함시켰다. 그는 지난달 당내 경선 과정에서 "정부 기관의 가상자산 투자를 허용하겠다"며 현물 ETF 허용을 함께 언급한 바 있다. 그간 금융당국은 가상자산 현물 ETF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가상자산의 높은 가격 변동성이 금융사 건전성과 금융시장 안정성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앞서 정부는 지난 2017년 '가상통화 관련 긴급 대책'을 통해 금융기관의 가상통화 보유·매입·담보 취득·지분투자를 금지했다. 하지만 당정이 지난 3월
[더구루=홍성환 기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국민의힘 김문수, 두 대통령 후보가 소상공인·청년에 대한 금융 지원 확대를 나란히 대선 공약으로 내걸었다. 이재명 후보는 10대 공약 경제 부문에서 코로나 정책자금 대출에 대한 채무조정부터 탕감까지 종합 방안을 공약했다. 우선 저금리 대환대출 등 정책자금을 확대하고, 각종 수수료 부담을 내린다. 또 소상공인 내일채움공제 도입으로 목돈 마련 기회를 제공하고, 폐업 시 대출금 일시상환 유예 요건을 완화할 계획이다. 이 후보는 대출상환 부담 완화를 위해 대환대출을 활성화하고 중도상환 수수료를 단계적으로 감면하기로 약속했다. 또 가산금리를 산정할 때 법적비용의 금융 소비자 부당 전가 방지로 원리금 상환 부담도 깎아주기로 했다. 특별감면제·상환유예제 등 청산형 채무조정 적용 확대 등도 약속했다. 김문수 후보는 소상공인 응급 지원 3대 패키지를 시행하겠다는 공약을 내세웠다. 매출이 급감한 소상공인에 대한 '생계방패 특별융자'를 제시했다. 경영안정자금과 소상공인 새출발 희망프로젝트 지원금도 확대할 방침이다. 김 후보는 서민·소상공인 전문은행을 설립해 신용보증재단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등으로 분산된 서민금융 기능을 통합할 방침이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예측했던 영화 '빅쇼트'의 주인공 마이클 버리가 엔비디아 주가 하락에 베팅했다. 미국과 중국 간 갈등 고조로 엔비디아가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으로 보인다. 마이클 버리가 이끄는 자산운용사 사이언에셋 매니지먼트는 16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공시를 통해 1분기 엔비디아 풋옵션 90만주를 매수했다고 공시했다. 풋옵션은 투자자가 주식을 정해진 가격에 향후 되팔 수 있는 권리로, 주로 하락세에 베팅할 때 사용된다. 사이언에셋이 매수한 풋옵션의 정확한 매수가격이나 행사가격은 공개되지 않았다. 다만 마이클 버리의 기대와 달리 미국과 중국 간 무역 갈등 완화 기대감으로 엔비디아 주가는 최근 한달 새 20% 이상 상승했다. 사이언에셋은 또 1분기 알리바바, PDD홀딩스(핀둬둬·테무 모회사), 징둥닷컴(JD), 바이두 등 중국 기업 주식을 전량 처분하고 풋옵션으로 전환했다. 사이언에셋이 보유한 중국 기업에 대한 풋옵션 규모는 △알리바바 20만주 △PDD홀딩스 20만주 △징둥닷컴 40만주 △바이두 10만주 등이다. 사이언에셋은 글로벌 화장품 브랜드 에스티로더 10만주를 신규 매수했다. 한편, 버리는 200
[더구루=진유진 기자]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한국계 은행들의 올해 1분기 실적이 엇갈렸다. 대부분 순이익 증가세를 보였지만, 신한은행만 유일하게 이익이 줄며 역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각사 재무제표에 따르면, 현지 영업 중인 6개 한국계 은행 중 가장 큰 폭의 순이익 성장을 기록한 곳은 OK금융그룹 인도네시아 법인인 OK뱅크 인도네시아였다. OK뱅크는 지난해 1분기 43억 루피아(약 3억7천만원)에서 올해 304억 루피아(약 26억1700만원)로 606.4% 급증했다. 자산도 같은 기간 10조6700억 루피아(약 9186억원)에서 14.7% 늘어난 12조2400억 루피아(약 1조원)를 기록했다. 지난해 8276억 루피아(약 712억원)의 적자를 냈던 KB국민은행 인도네시아 법인인 KB뱅크는 올해 1분기 3521억 루피아(약 303억원)의 흑자를 내며 반전에 성공했다. 자산은 2.06% 증가한 84조8500억 루피아(약 7조1700억원)를 기록했다. KEB하나은행 인도네시아 법인도 전년 동기(1180억 루피아) 대비 37.3% 증가한 1621억 루피아(약 140억원)의 순이익을 올렸다. 자산은 약 10% 늘어난 51조6800억 루피아(약 4조5천억원)였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삼성생명이 출자한 영국 임대주택 펀드가 런던 인근 도시의 주택을 추가로 인수했다. 영국 부동산 투자회사 세빌스IM(Savills Investment Management)은 25일 심플리 어포더블 홈즈 펀드(Simply Affordable Homes fund)를 통해 런던 북서부 옥스퍼드셔주(州) 소재 임대주택 105가구를 인수했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매입가는 공개되지 않았다. 심플리 어포더블 홈즈 펀드 조성 이후 세 번째 매입이다. 이 펀드는 현재 367가구의 임대주택을 관리하고 있다. <본보 2025년 3월 27일자 참고 : '삼성생명 출자' 英 임대주택 펀드, 옥스퍼드셔州 주택 94가구 인수> 세빌스IM은 작년 4월 저소득층 임대주택에 투자하는 심플리 어포더블 홈즈 펀드의 1차 마감을 완료했다. 세빌스IM의 2대 주주인 삼성생명을 비롯해 모회사인 세빌스, CIV, 빅소사이어티캐피탈, 슈로더BSC소셜임팩트트러스트 등이 자금을 댔다. 어포더블 주택은 일반적으로 중산층 이하 거주하는 임대주택을 의미한다. 주로 주요 도시 내 낙후지역이나 교외에 있는 아파트 등 다세대 주택으로, 정부 차원의 보조금이나 대출을 통한 자금 조달 시
[더구루=정등용 기자] "엔비디아가 비트코인을 재무제표에 포함시킬 것"이란 루머가 확산하고 있다. 이를 두고 업계 반응은 엇갈린다. 15일 암호화폐 전문매체 비인크립토(BeInCrypto)에 따르면 최근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엔비디아가 비트코인을 보유자산에 추가할 것"이란 추측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엔비디아는 아직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최근 엔비디아는 조 바이든 행정부 시절 수출 규제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글로벌 인플레이션 위험, 미국 달러화 약세, 다른 GPU 제조업체와의 경쟁 심화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 이 때문에 엔비디아가 비트코인으로 보유 자산을 다각화함으로써 현재의 경제적 어려움을 완화할 것이란 주장이 나왔다. 비트코인이 기업에게 강력한 인플레이션 헤지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암호화폐 전문기업 반쎄의 CEO(최고경영자)인 알렉스 거츠는 “마이크로스트레티지와 테슬라처럼 이미 보유 자산 일부를 비트코인에 투자한 사례도 있다”면서 “대담한 암호화폐 전략이 시장의 관심을 끌고 미래 지향적인 투자자들과 기업을 연계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강조했다. 반면 엔비디아가 이미 충분한 전략을 갖고 다양한
[더구루=홍성환 기자] 싱가포르 부동산 투자회사 리얼밴티지(RealVantage)가 한국 물류센터에 약 800억원을 투자한다. 국내 물류센터 시장에서 외국 자본의 투자가 두드러지고 있다. 리얼밴티지는 15일 국내 상장 리츠(REITs·부동산 투자회사)인 ESR켄달스퀘어리츠와 협력해 경기도 이천에 라스트마일(최종 소비자 배송) 물류센터를 개발한다고 밝혔다. 투자액은 5500만 달러(약 770억원)다. 이 물류센터는 전체면적 3만6100㎡ 규모 5층 건물로 지어진다. 작년 12월 착공됐고, 2026년 4년 완공될 예정이다. 리얼밴티지는 이 사업의 지분 90%를 갖는다. 나머지 10%는 ESR켄달스퀘어리츠가 보유한다. 키스 옹 리얼밴티지 공동 창립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이천 물류센터는 급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산업으로 증가하는 한국의 라스트마일 물류 인프라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전략적 위치에 있다"고 전했다. 리얼밴티지는 2019년 설립된 부동산 투자사다. 싱가포르와 호주, 홍콩, 영국, 미국, 한국 등 주요 6개 시장, 20여개 도시 부동산 자산에 투자했다. 한편, 최근 글로벌 투자자들이 한국 물류센터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글로벌 부동산 서비스
[더구루=홍성환 기자] 일본 소프트뱅크 그룹이 쿠팡 주식 약 1조1000억원 치를 팔았다. 인공지능(AI) 프로젝트 투자를 위한 실탄 확보 목적으로 풀이된다. 14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따르면 소프트뱅크는 지난 8일(현지시간) 비전펀드가 보유한 쿠팡 주식 3000만주를 장내 매도했다. 매도가는 주당 25.75달러다. 소프트뱅크는 총 7억7250만 달러(약 1조900억원)의 현금을 확보했다. 이번 매각은 쿠팡의 주가가 52주 최고치인 27.02달러에 근접한 시점에서 이뤄졌다. 쿠팡 주가는 올해 들어 20% 가까이 올랐다. 소프트뱅크가 쿠팡 주식을 매각한 것은 작년 3월 이후 약 1년 2개월 만이다. 앞서 작년 3월 쿠팡 주식 4661만4154주를 매각한 바 있다. 소프트뱅크는 AI 분야 투자를 확대하기 위해 자금 조달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쿠팡 지분 매각도 이의 일환으로 보인다. 이 회사는 2025회계연도 최대 400억 달러(57조원) 규모의 투자가 예정돼 있는데, 이는 전기 대비 7배 증가한 수치다. 이에 최근 6000억 엔(약 5조7900억원) 규모의 개인 대상 사채를 발행했다. 또 주요 은행과 165억 달러(약 23조원) 규모 대출을 논의
[더구루=홍성환 기자] 글로벌 자산운용사 위즈덤트리(WisdomTree)가 한국투자증권 출신 인사를 한국법인 대표로 선임했다. 위즈덤트리는 14일 한정희 전 한국투자증권 글로벌사업본부 상무를 한국법인 대표로 선임했다고 밝혔다. 한 대표는 성균관대 경제학과, 카네기멜론 경영대학원(MBA)을 졸업했고, 한국투자공사(KIC) 대체투자전략팀 상무를 거쳐 2019년는 한국투자증권에 합류했다. 지난 2023년 5월에는 한국투자증권과 미국 금융사 스티펄파이낸셜의 합작사 SF크레딧파트너스의 대표로 선임됐다. 한 대표는 한국 시장에 진출한 미주 지역 기관 투자자와의 관계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에정이다. 조셉 그로건 위즈덤트리 미주 지역 유통 책임자는 "한 대표가 보유한 한국 시장의 기관 투자자에 대한 풍부한 지식과 장기적인 관계 구축 능력이 큰 자산이 될 것"이라며 "아시아 시장에서 회사의 성장을 가속화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했다. 위즈덤트리는 지난 13일 한국투자신탁운용과 협력해 ACE 미국배당퀄리티 상장지수펀드(ETF) 시리즈를 선보였다. ACE 미국배당퀄리티 시리즈는 이날 △ACE 미국배당퀄리티 ETF △ACE 미국배당퀄리티채권혼합50 ETF △AC
[더구루=홍성환 기자] 천만영화 '택시운전사' 제작사 등이 뭉쳐 설립한 K콘텐츠 기업연합 '케이웨이브미디어(옛 케이엔터홀딩스)'가 미국 증시 입성에 성공했다. 국내 엔터테인먼트 기업이 미국 나스닥에 상장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미국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 글로벌스타애퀴지션(Global Star Acquisition)은 13일(현지시간) 케이웨이브미디어와 기업 결합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14일부터 나스닥에서 거래를 시작할 예정이다. 케이웨이브미디어는 '서울의봄'·'파묘' 등 천만영화에 투자한 것으로 유명한 영화 투자 전문 벤처캐피탈(VC) 쏠레어파트너스 주도로 설립한 콘텐츠 기업이다. △택시운전사를 제작한 영화사 '더램프' △승리호·추격자·작전·늑대소년을 제작한 영화사 '비단길' △내가 살인범이다·카터·악녀 등을 만든 영화 제작사 '앞에있다' △드라마 제작사 '안자일렌' △국내 아이돌 팬덤 굿즈를 전문 기획·제작·유통하는 지식재산권(IP) 상품화 기업 '플레이컴퍼니' 등이 출자했다. 케이웨이브미디어은 여러 우여곡절을 겪으며 약 2년 만에 상장됐다. 앞서 지난 2023년 6월 글로벌스타애퀴지션과 합병 계약을 맺고 기업공개(IPO) 작업에 착수했고,
[더구루=황인표 기자] 노르웨이 국부펀드가 이스라엘 기업 파즈 리테일앤드에너지(Paz Retail and Energy)에 대한 투자를 철회했다.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점령지 내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노르웨이 중앙은행 투자관리청(Norges Bank Investment Management·NBIM)은 "파즈를 투자 대상에서 제외했다"고 14일 밝혔다. 이에 따라 보유 중이던 지분 0.5%(약 700만 달러)를 전량 매각했다. NBIM은 "파즈가 서안지구 내 이스라엘 점령지에서 연료를 공급하는 인프라를 운영함으로써 전쟁을 지원하고 있다"며 "해당 점령지는 국제법을 위반해 설립됐으며, 이를 계속 유지하는 것은 국제법을 지속해서 위반하는 행위"라고 설명했다. 앞서 NBIM은 작년 9월 이스라엘 전쟁 지원 기업에 대한 투자 철회 가능성을 시사했고, 작년 말 이같은 이유로 이스라엘 통신사 베제크 지분을 매각한 바 있다. 1990년 설립된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19조7420억 크로네(약 2700조원)의 자산을 가진, 세계 최대 국부펀드다. 기업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를 중시하고 이를 투자에 적극 반영하고 있다. 2006년 만든 윤리위원회를 통해 인권
[더구루=홍성환 기자] 캐나다 블록체인 결제기업 아스트라핀테크(Astra Fintech)가 한국 시장에 본격 진출했다. 솔라나(SOL) 생태계 확장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아스트라핀테크는 13일 한국 본사를 설립했다고 밝혔다. 아스트라핀테크는 솔라나의 속도와 확장성, 낮은 거래 수수료를 활용해 최신 금융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솔라나 생태계 참여를 더욱 확대하는 것이 목표다. 또 한국 내 파트너와 협력해 디파이(Defi·탈중앙화 금융), 결제, 웹 3.0 응용프로그램 개발 기회를 모색할 예정이다. 제이미 아스트라핀테크 파트너십 부문장은 "한국은 블록체인 혁신의 중요한 허브로 이번 본사 설립은 이 역동적인 시장에 대한 회사의 강한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며 "솔라나 생태계와 협력하고 한국의 우수한 인재들과 교류함으로써 기존 금융과 탈중앙화 금융을 연결하는 차세대 핀테크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 아스트라핀테크는 캐나다에 본사를 둔 블록체인 금융사다. 기존 결제 시스템과 탈중앙화 결제를 연결하는 핀테크 인프라를 개발하고 있다. 이 회사는 앞서 지난달 한국 등 아시아 전역에서 솔라나 생태계 확장을 지원하기 위해 1억 달러(약 1420억원)
[더구루=홍성일 기자] 엔비디아가 캐나다의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을 사들였다. 엔비디아가 핵심 AI 인재를 확보하기 위한 대규모 투자 행렬에 동참한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1일 업계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토론토에 본사를 둔 센트ML(CentML)을 인수했다. 금액 등 세부적인 인수 내용을 공개되지 않았다. 센트ML은 머신러닝(ML) 모델이 컴퓨팅 리소스, 즉 하드웨어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솔루션을 개발했다. 센트ML의 솔루션을 이용하면 컴퓨팅 리소스를 ML 구축에 최적화해, 개발 비용 등을 절약할 수 있다. 이에 센트ML은 지난 2023년 9월 시드 투자 라운드를 통해 구글과 엔비디아, 딜로이트 등에서 3700만 캐나다 달러(약 370억원)를 투자받은 바 있다. 이번 인수로 센트ML의 공동창업자와 엔지니어가 대거 엔비디아에 합류하게 됐다. 공동창업자인 겐나디 페키멘코(Gennady Pekhimenko) 최고경영자(CEO)와 아크바르 누르바예프(Akbar Nurlybayev) 최고운영책임자(COO), 샘 왕(Sam Wang) 최고기술책임자(CTO) 등은 각각 엔비디아 AI 소프트웨어 부문 수석 이사, AI 소프트웨어 부문 수석
[더구루=길소연 기자] 인도네시아 국영 석유공사 페르타미나 인터내셔널 쉬핑(Pertamina International Shipping, PIS)이 국제 해역의 선단을 늘려 인도네시아의 에너지 안보에 기여한다. 인도네시아 전역에 에너지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PIS는 선대 확충과 안전 프로토콜 강화 및 대체 항로 마련으로 원활한 에너지 수송을 꾀한다. [유료기사코드] 1일 PIS에 따르면 국가 에너지 안보 강화를 위해 국제 해역에서 선대 확충과 함대 보안을 강화한다. 무하마드 바론(Muhammad Baron) PIS 대변인은 "회사가 수에즈 운하, 아라비아만, 호르무즈 해협과 같은 고위험 지역에서 자사 유조선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고 있다"며 "PIS는 국제 운항선박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현지 해운 당국과 선원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으며, 통합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고 말했다. 잠재적인 공급망 차질에 대한 선제적 조치로는 주요 해협의 위험 증가를 대비해 안전하고, 전략적인 대체 운송 경로를 계획했다. PIS는 "전 세계 상황을 적극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승무원 안전과 원활한 에너지 공급을 보장하기 위해 신속하게 대응할 준비가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