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파리바게뜨가 지난해 북미 시장 성적표를 공개했다. 지난해 패스트리 판매량은 전년 대비 2배 넘게 성장했다. 커피 등 음료 역시 급성장하며 북미에서 베이커리 카페 대표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평가다. 파리바게뜨의 현지 메뉴 포트폴리오 강화와 현지 소비자 접점 확대가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9일 파리바게뜨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에서 패스트리 4800만개 이상을 팔아치웠다. 전년 패스트리 판매량(약 2100만개)에 비해 약 2.3배 증가한 수치다. 단순 계산하면 미국에서 1분당 패스트리 약 91개가 팔려나간 셈이다. 파리바게뜨가 다양한 북미 소비자들의 입맛을 충족시킬 수 있는 폭넓은 패스트리 라인업을 구축, 단일 베이커리 메뉴 위주의 현지 베이커리 업체와 차별화한 것이 적중했다. 파리바게뜨는 미국에서 △버터 피칸 슈프림 크루아상(Butter Pecan Supreme Croissant) △ 라즈베리 아몬드 크루아상(Raspberry Almond Croissant) △베리 베리 패스트리(Very Berry Pastry) △블루베리 크림치즈 패스트리(Blueberry Cream Cheesse Pastry) △파인애플 브륄레 패스트리(Pineap
[더구루=김형수 기자] CJ푸드빌 뚜레쥬르가 미국에 브랜드 공식 모바일앱을 론칭한다. 미국에서 뚜레쥬르 브랜드 자체 멤버십을 적용해 브랜드 충성 고객 혜택을 늘리고, 사전 예약, 모바일 상품권 기능을 앱 하나로 통합해 고객 이용 편의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5일 업계에 따르면 뚜레쥬르는 미국에 모바일앱 '뚜레쥬르앱(TOUS les JOURS)'을 공식 도입한다. 구글 플레이스토어, 애플 앱스토어 등을 통해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뚜레쥬르앱’은 브랜드 자체 멤버십과 온라인 통합 서비스 기능을 갖춘 브랜드 앱이다. 뚜레쥬르는 해당 모바일 앱에 △모바일 주문 △신제품 정보 확인 △매장 찾기 △리워드 프로그램 등 다양한 기능을 탑재했다. 메뉴 선택 절차를 간소화하고 원터치 재주문 솔루션을 도입해 소비자 편의성을 제고했다. 모바일 앱을 통해 결제하고, 주문 진행 상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모바일 앱 접속 시 신제품 출시, 시즌 한정 메뉴 판매 등 다양한 뚜레쥬르 최신 정보도 살펴볼 수 있다. 록인(Lock-in·고객 가두기) 효과를 극대화해 충성도 높은 소비자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리워드 프로그램 신규 가입 시 무료 쿠키 쿠폰 제공, 생
[더구루=김형수 기자] BBQ가 치킨 신메뉴를 대거 일본에 론칭하고 현지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후라이드 치킨 메뉴 라인업을 확대해 신규 수요를 창출하고 열도 K치킨 열풍을 이어나간다는 전략이다. 4일 BBQ 일본 파트너기업 와타미(ワタミ)에 따르면 BBQ는 오는 13일 현지에 후라이드 치킨 신메뉴 6종을 출시한다. 일본 전역에 자리한 16개 매장을 통해 신메뉴를 순차적으로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해당 신메뉴 6종은 △소금·후추로 맛을 낸 '크리스피 치킨' △후추 베이스 시즈닝을 활용한 '블랙페퍼 치킨' △옥수수버터맛 시즈닝으로 감칠맛을 살린 '크런치버터 치킨' △칠리 파우더 베이스로 매운맛을 강조한 '레드착착 치킨' △마스카포네·체다치즈 풍미를 강조한 '치즈링 치킨' △꿀·간장 기반 소스에 마늘을 조합한 '허니갈릭 치킨' 등이다. BBQ가 이들 메뉴 판매를 시작하면 일본 후라이드치킨 메뉴 라인업은 기존 황금올리브치킨·양념치킨·마라핫치킨 등에 더해 9종으로 늘어난다. 사이드 치킨메뉴로 닭가슴살로 만든 올리브 치킨 핑거, 한입 사이즈의 치킨팝 등도 팔고 있다. 치킨 신메뉴를 꾸준히 선보이며 일본 K치킨 트렌드를 선도하려는 BBQ의 행보로 풀이된다. 올리브 치
[더구루=김형수 기자] BBQ가 파나마에 배달·픽업 서비스를 본격 도입한다. 현지 소비자 접근성을 높이고 사업을 확대하기 위한 BBQ의 전략으로 풀이된다. 중남미에 K치킨 대표 브랜드로서의 입지 다지기에 속도를 내고 나섰다. 31일 BBQ에 따르면 파나마 수도 파나마시티 소재 BBQ샌프란시스코(San Francisco)점에서 배달·픽업 서비스를 시작했다. 파나마시티 번화가에 자리한 이곳 점포에서 배달·픽업 서비스를 우선 운영하며 파악한 소비자 모니터링 결과 등을 토대로 파나마 내 다른 매장으로 서비스 확대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2023년 4월 파나마에 진출한 BBQ는 현재 4개점을 현지에 보유하고 있다. BBQ는 해당 서비스를 통해 간판 메뉴 황금올리브치킨을 비롯해 시크릿 양념치킨, 극한왕갈비치킨, 소이갈릭스 치킨 등 다양한 치킨 메뉴를 판매하고 있다. 떡볶이, 김치볶음밥 등 K푸드 메뉴도 선보이고 있다. 중남미에서 접하기 힘든 빙수, 소주 칵테일 등 특별 메뉴도 선보여 현지 MZ세대의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BBQ가 중남미 거점 국가로 낙점한 파나마 소비자 접점 확대를 통한 글로벌 영토 확장에 총력을 기울이는 것으로 분석된다. BBQ는 파
[더구루=김형수 기자] CJ푸드빌 뚜레쥬르의 말레이시아 재진출 소식에 현지 관심이 뜨겁다. 한류 열풍으로 K베이커리에 대한 인기가 높아진점도 한 몫하고 있다. CJ푸드빌은 말레이시아를 동남아 시장 공략의 거점으로 삼는다는 계획이다. 4조원 규모로 커진 말레이시아 베이커리 시장에서 뚜레쥬르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할랄 시장도 적극 공략한다는 목표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뚜레쥬르는 올해 1분기 말레이시아에 1호점을 열고 현지 사업을 본격화한다. 지난 2017년 철수 이후 8년 만이다. 말레이시아 파트너사 스트림 엠파이어 홀딩스(Stream Empire Holdings)와 마스터 프랜차이즈 계약을 체결했다. 연내 현지 5호점을 연다는 목표다. 쿠알라룸푸르 인근 슬랑오르(Selangor)에 자리한 대형쇼핑몰 선웨이 피라미드몰(Sunway Pyramid Mall)에 1호점, 쿠알라룸푸르 시내에 위치한 대형 쇼핑센터 선웨이 벨로시티몰(Sunway Velocity Mall)에 2호점을 오픈할 계획이다. 3~5호점은 부지 확보·물색 작업이 한창이다. 글로벌 무슬림 핵심 시장으로 꼽히는 말레이시아를 교두보로 삼아 동남아시아 할랄(HALAL) 시장 확대에 나선다는 구상이다.
[더구루=김형수 기자] BBQ가 CJ제일제당과 손잡고 필리핀에 K디저트를 론칭, 현지 소비자들의 입맛 공략에 나섰다. CJ제일제당 비비고 붕어빵을 활용해 개발한 아이스크림 메뉴를 내세워 필리핀 K디저트 트렌드를 선도한다는 계획이다. 28일 BBQ에 따르면 CJ제일제당 비비고 디저트 메뉴 '붕어빵 아이스크림'(Fish Bun Ice Cream)을 필리핀에 출시했다. 필리핀 전역에 자리한 BBQ 매장을 통해 판매를 시작했다. 붕어빵 아이스크림은 비비고 단팥붕어빵과 초당옥수수붕어빵이 들어간 디저트 메뉴다. CJ제일제당과의 협력을 토대로 K디저트 라인업을 확대하고 증가하는 현지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BBQ의 전략으로 풀이된다. 붕어빵 아이스크림 출시에 따라 BBQ가 필리핀에서 선보이는 K디저트는 기존 달고나 아이스크림, 달고나 커피 등에 더해 3종으로 늘어났다. 코트라는 K팝·K드라마 등이 필리핀에서 선풍적 인기를 끌면서 K디저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K디저트에 대한 필리핀 소비자들의 친밀도가 높아지면서 단기적 유행을 넘어 안정적 수요를 확보하고 현지 시장에 안착하고 있다는 평가다. 한국 제품의 뛰어난 품질 경쟁력, 폭넓은 라인업 등이 호평받고
[더구루=김형수 기자] 파리바게뜨가 미국 오하이오주를 거점으로 삼아 북미 영토 확장에 속도를 낸다. 가맹점을 중심으로 북미 시장 '파리바게뜨 로드'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22일 파리바게뜨는에 따르면 이달부터 미국 오하이오주에 5개 매장을 순차적으로 오픈한다. 현지 가맹희망점주와 관련 내용을 골자로 하는 프랜차이즈 계약을 체결했다. 해당 가맹 계약을 토대로 이달 내 오하이오주 남서부에 있는 도시 신시내티(Cincinnati), 다음달 오하이오주 주도 콜럼버스(Columbus)에 연달아 점포를 연다. 향후 신시내티와 콜럼버스 등에 3개점을 추가로 조성할 예정이다. 오하이오주 파리바게뜨 프랜차이즈 사업에 나선 존 홍(John Hong) 가맹희망점주는 파리바게뜨 북미 사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품질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는 판단 아래 파리바게뜨를 파트너로 선정했다고 전했다. 파리바게뜨는 지난달 미국 일리노이주에 북미 200호점을 오픈했다. 미국 프랜차이즈 전문지 프랜차이즈 타임스가 지난해 10월 발표한 '프랜차이즈 기업 TOP 400' 국내 기업 가운데 가장 높은 39위에 오르는 등 가맹 사업 역량을 현지에서 인정받은 결과라는 분석이다.<본보 2024년
[더구루=김형수 기자] 치킨과 빙과 업체 간 국경을 초월한 합종연횡이 거세다. 가파르게 성장하는 K푸드에 인기에 교촌치킨과 빙그레가 말레이시아 시장 공략에 맞손을 잡는다. K치킨을 이끌고 있는 교촌치킨이 보유한 현지 점포망을 활용한 빙그레의 K디저트 영토 확장을 본격화한다는 목표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교촌치킨은 빙그레와 말레이시아 협력 마케팅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말레이시아 소재 교촌치킨 매장에서 빙그레 간판 빙과제품을 할인 판매한다. 현지 소비자들에게 K치킨과 K디저트를 함께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복안이다. 교촌은 현재 36개 매장을 말레이시아에서 운영하고 있다. 지난 2014년 말레이시아 수도 쿠알라룸푸르에 1호점을 오픈하고 현지 시장에 진출했다. 이후 수방자야, 프탈링자야, 샤알람 등의 지역으로 확장했다. 이번 업무협약을 토대로 교촌치킨 매장을 방문한 고객에게 빙그레 대표 아이스크림 △메로나 △붕어싸만코 등을 기존가 대비 30% 할인된 가격에 판매한다. 메로나는 글로벌 K아이스크림 트렌드를 선도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제품이다. 지난 2023년 상반기 해외 매출액은 29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 급증했다. 붕어
[더구루=김형수 기자] 맘스터치가 일본 피자 시장에 도전장을 던진다. 치킨·버거에 이어 피자로 라인업을 다변화한다.일본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피자 시식 평가회를 개최하는 등 막바지 준비 작업에 공을 들이고 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맘스터치는 지난 6일부터 사흘 동안 일본 도쿄 시부야에 자리한 직영점 맘스터치 시부야에서 자체 피자 브랜드 맘스피자 제품 시식 평가회를 열었다. 해당 기간 총 6차례에 걸처 이뤄진 시식 평가회에 약 300명의 일본 소비자들이 참가해 맘스피자 메뉴 6종을 맛보고 솔직한 의견을 제시했다. 앞서 지난해 연말 실시한 내부 평가와 이번 외부 시식 평가회 결과를 토대로 맘스피자 일본 사업 모델을 구체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맘스피자 현지 론칭 일정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평가가 이뤄진 피자 메뉴 라인업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론칭 직후 국내 히트 상품으로 급부상한 싸이피자와 신제품 핫치킨N쉬림프피자·허니통옥수수피자 등이 해당 명단에 이름을 올렸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싸이피자는 지난해 7월 출시 직후 맘스피자 판매 1위 자리를 단박에 꿰찼다. 치킨과 피자가 조합된 높은 '가심비'(가격 대비 만족감), 독특한 비주얼 등이 호응을 얻고 있는
[더구루=김형수 기자] 파리바게뜨가 영국에서 스타벅스 출신 F&B 프랜차이즈 사업 전문가를 영입했다. 리더십을 강화하고 영국 가맹 사업을 확대, 오는 2030년 현지 100호점 비전 실현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파리바게뜨는 벨린다 레마르치크(Belinda Remarczyk) 영국 프랜차이즈 디렉터를 선임했다. 벨린다 레마르치크 디렉터는 파리바게뜨 영국 프랜차이즈 사업 전략 개발, 신규 가맹점 출점 등 가맹 사업 전반을 총괄하는 업무를 담당할 예정이다. 파리바게뜨는 스타벅스를 비롯한 여러 유명 F&B 프랜차이즈기업에서 근무하며 그의 역량과 노하우가 영국 가맹사업 성장의 한 축을 맡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난 1998년 스타벅스에 입사한 벨린다 레마르치크 디렉터는 스타벅스 영국 가맹사업 모델 디자인을 주도하며 스타벅스가 현지 시장에 안착하는 데 핵심적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후 스타벅스가 네덜란드, 덴마크 등에 진출하며 유럽 영토를 넓히는 데도 앞장섰다. 이후 지난 2021년 유명 미국 패스트푸드 체인업체 웬디스로 자리를 옮겨 유럽 프랜차이즈 파트너 모집도 진두지휘했다. 유럽 F&B 프랜차이즈 업계에서
[더구루=김형수 기자] 파리바게뜨가 삼성 출신 인사관리(HR) 전문가를 영입했다. 부동산 F&B경영, HR 등 다양한 분야에 전문성을 지닌 인재를 확보하며 북미를 대표하는 K베이커리 기업으로 도약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파리바게뜨는 브라이언 리(Bryan Lee) 미국 법인 신임 HR 제너럴리스트(Generalist)를 선임했다. 브라이언 리 제너럴리스트는 파리바게뜨 미국 법인에서 채용, 노사관계 관리, 노동법 준수 등 HR 업무 전반을 담당할 예정이다. 파리바게뜨는 삼성물산 미국 법인 등에서 HR·법무 관련 업무를 수행하며 쌓은 브라이언 리 제너럴리스트의 역량과 노하우가 현지 우수 인재 채용, 선진 노사 문화 정착의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브라이언 리 제너럴리스트는 지난 2022년 8월 삼성물산 미국 법인에 입사해 HR 시니어 어소시엣(Senior Associate)으로 근무하며 사내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노사 관계 개선 등의 분야에서 핵심적 역할을 수행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삼성물산 미국 법인 신입 직원 트레이닝, 근로 의욕 고취 등을 통한 인력 효율성 제고를 주도했다는 평이다. 삼성물산 미국 법인에 둥지
[더구루=김형수 기자] '양념치킨 원조' 페리카나가 태국 후라이드 치킨 시장에 도전장을 던졌다. 태국 수도 방콕에 1호점을 오픈한 페리카나는 연내 5호점을 오픈한다는 목표다. 방콕을 중심으로 추가 출점에 속도를 내며 현지 시장 내 영향력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1979년 대전에서 설립된 페리카나는 지난 1981년 고추장, 마늘, 양파, 물엿 등이 재료를 조합해 개발한 매콤달콤한 양념에 버무린 치킨을 최초로 출시하며 국내 치킨시장에 파란을 일으켰다. 양념치킨 흥행에 힘입어 페리카나는 대표 K치킨 브랜드로 성장했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페리카나는 태국 방콕 중심가에 자리한 대형 쇼핑몰 시암 스퀘어에 현지 1호점을 열었다. 시암 스퀘어가 현지 젊은 소비자들의 찾는 '핫플레이스'로 꼽히는 만큼 브랜드 홍보 효과가 클 것이란 판단 아래 이곳에 점포를 조성한 것으로 보인다. 페리카나는 해당 매장에서 △시그니처 소스 △허니 소스 △스모키핫 소스 △강정 소스 △스모키마요 소스 △갈릭 소스 △소이 소스 등 다양한 양념으로 맛을 낸 치킨 메뉴를 판매하고 있다. 닭고기와 밥을 곁들여 먹는 동남아시아 식문화를 반영해 개발한 현지화 메뉴 크리스피 치킨&라이스와 치킨랩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공군이 기존 '군용 위성 조달 계획'을 철회하고 스페이스X의 군사용 군집위성 시스템인 '스타실드(Starshield)'를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스타실드는 스페이스X 스타링크 위성을 기반으로 보안을 강화하고 정찰, 미사일 경보 기능을 추가한 것이다. [유료기사코드] 31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공화당 소속 케빈 크라이머(Kevin Cramer) 상원의원은 지난 27일(현지시간) 진행된 상원 군사위원회 청문회에서 "공군이 국방부 산하 우주개발청(SDA)의 T2TL(Tranche 2 Transport Layer)·T3TL(Tranche 3 Transport Layer) 위성 조달을 취소하고 스페이스X 위성(스타실드)을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소식을 들었다"고 밝혔다. 케빈 크라이머 의원의 이같은 발언에 미국 공군은 즉각 성명을 발표하고 "T2TL와 T3TL에 대해 결정된 것은 (아무것도)없다"며 "2026년도 예산 심의 과정에서 모든 획득 프로그램을 평가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미국 공군이 기존 T2TL와 T3TL 위성 조달 계획을 철회하고 스타실드 도입을 검토하기로 알려진 것은 예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미국 공군은
[더구루=김형수 기자] 일본 제약회사 시오노기(Shionogi)가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조코바(Xocova·성분명 엔시트렐비르) 현지 적응증 확대에 나섰다. 기존 치료제에서 코로나19 예방 의약품으로 조코바 사용 범위를 넓히고 '코로나19 의약품 대표 기업'으로 자리매김한다는 계획이다. 조코바는 일동제약이 시오노기와 공동개발한 치료제다. [유료기사코드] 시오노기는 31일 일본 후생노동성에 조코바를 코로나19 바이러스 노출 후 예방제로 사용할 수 있는 적응증 추가 승인을 신청했다. 지난해 3월 승인을 받은 데 이어 적응증 확대를 추진하는 것. 노출 후 예방은 코로나19 확진자와 접촉해 감염 가능성이 발생한 경우 치료제를 투여해 발병을 막는 치료 행위를 의미한다. 내년 1분기 내 일본 후생노동성의 추가 승인 여부가 결정될 전망이다. 일본 후생노동성 심사 기간은 통상 약 12개월이 소요된다. 시오노기는 조코바 글로벌 제3상 노출 후 발병예방시험(SCORPIO-PEP·이하 글로벌 3상) 결과를 토대로 이번 추가 신청을 추진했다고 전했다. 시오노기는 미국과 남미, 아프리카, 일본 등에서 12세 이상 인구 2387명을 대상으로 글로벌 3상을 시행했다. 코로나19 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