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등용 기자] KB국민은행의 인도네시아 자회사 KB부코핀은행이 만기 채권 상환을 위한 자금 마련에 성공했다. 재정 건전성 개선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KB부코핀은행은 12일(현지시간) 이번달 만기가 도래하는 채권 상환을 위해 1조4400억 루피아(약 1230억원)의 자금을 확보했다고 공시했다. 앞서 KB부코핀은행은 지난 2017년 7년간 연 7%의 고정금리로 ‘후순위 선반 등록 채권 II’를 발행한 바 있다. 총 발행 규모는 1조4000억 루피아(약 1200억원)에 이른다. KB부코핀은행은 “채권 보유자에게 채권의 원금과 이자를 상환하기 위한 자금을 제공했다”고 설명했다. KB부코핀은행은 채권 발행 외에 신주 발행에도 적극적으로 나서며 자본을 강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11조9900억 루피아의 추가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신주 발행 형태의 제한공모(PUT) VII를 진행했다. 이로써 KB부코핀은행의 재정 건전성 개선 작업에도 한층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KB부코핀은행은 지난해 안정적인 재무 성과를 보였다. 자본적정성비율(CAR)은 33.16%로 업계 평균인 27.33%보다 높았으며, 고정이하여신비율(LAR)도 53.50%에
[더구루=김은비 기자] 우리은행이 인도네시아군에 대한 금융 서비스 지원을 확대한다. 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우리은행 인도네시아 법인인 우리소다라은행은 최근 인도네시아군(TNI)과 금융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압두라흐만 하디 우리소다라은행 소비자본부장과 에드윈 술라만 우리소다라은행 사업 지원 이사 등이 참석했다. 우리소다라은행은 이번 업무협약 체결로 인도네시아 국군에 보다 다양한 금융 상품과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하디 우리소다라은행 소비자본부장은 “인도네시아 국군과 전략적 파트너가 된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며 “58만5345명의 인도네시아 군인들에게 다양한 은행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우리은행은 지난 2014년 우리은행 인도네시아법인과 현지 은행인 소다라은행을 합병해 우리소다라은행을 출범 시켰다. 현재는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한국계 은행 가운데 가장 많은 점포를 보유하고 있다. 우리은행은 디지털 인프라 고도화와 영업기반 확대를 통해 현지 상위 10위 은행으로 발돋움하겠다는 목표다. 구체적으로 오는 2030년까지 ‘글로벌 당기순이익 비중 25% 확대’라는 목표를 내걸었다. 이를 위해 올해 상반
[더구루=홍성환 기자] KDB산업은행이 달러화 채권 발행 채비에 나섰다. 연초부터 외화채 조달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산업은행은 이달 초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달러화 채권 발행을 위한 예비 투자설명서를 제출했다. 발행 금액과 금리 등은 확정하지 않았다. 수요예측을 진행한 이후 결정할 예정이다. KB증권과 KDB아시아, 씨티그룹, HSBC, ING, MUFG, 소시에테제네랄 등이 공동으로 주관한다. 산업은행은 앞서 작년에도 2월 20억 달러(약 2조6800억원) 규모로 글로벌 본드를 발행한 것을 시작으로 해외 시장에서 적극적으로 자금을 조달했다. 작년 5월 유럽 지역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총 7억5000만 유로 규모의 5년 만기 유로화 채권을 발행했다. 이어 7월에는 2억 스위스프랑 규모 채권과 3억 달러 포모사 채권을 선보였다. 10월에도 20억 달러 규모 달러채를 발행했다. <본보 2023년 10월 18일자 참고 : KDB산업은행, '2.7조 규모' 달러화 채권 발행> 산업은행의 국제신용등급은 AA급이다. 무디스와 S&P, 피치는 각각 'Aa2', 'AA', 'AA-' 등급을 부여하고 있다. 한편, 한국
[더구루=정등용 기자] 베트남투자개발은행(BIDV)이 상장 이후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의 투자 선구안도 재조명 받고 있다. 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BIDV는 지난해 총 27조6500억 동(약 1조5200억원)의 세전이익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19.4% 증가한 수치다. 세후이익도 220억2700만 동(약 12억원)으로 증가했는데 BIDV 상장 이후 최고치다. 지난해 4분기에는 전년 동기 대비 3.1% 증가한 14조8690억 동(약 8177억원)의 순이자이익을 기록했다. 비이자이익도 대부분 증가했는데 서비스 이익이 16% 증가한 6조5720억 동(약 3610억원), 외환거래 이익이 50% 증가한 4조7070억 동(약 2600억원)을 각각 나타냈다. 전년도 손실을 기록했던 기업용 증권 거래 활동도 3050억 동(약 167억원)의 이익을 냈다. 2580억 동(약 140억원)에 그쳤던 투자증권 매매이익도 2조8710억 동(약 1580억원)으로 급증했다. 반면 기업증권 거래활동 수익은 116억 동(약 6억원)을 기록, 전년 대비 61.6% 감소했다. 지난해 4분기 서비스 운영비용은 전년 동기 대비 11.2% 증가한 1조6180억 동(약
[더구루=정등용 기자] KB국민은행이 일본 도쿄지점장을 교체했다. 현지 금융 시장 공략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민은행은 지난달 김인열 도쿄지점장을 김지호 도쿄지점장으로 바꿨다. 지난 1992년 11월에 문을 연 도쿄지점은 주로 우량 중견기업을 대상으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신디케이션론 등 IB(투자은행) 비즈니스가 강점이다. 지난 2014년부터는 리테일 중심이었던 사업 전략을 CIB(기업투자금융) 비즈니스로 변경했다. 지난 2017년 말 기준 1억1800만 달러(약 1570억원)였던 대출 자산은 지난 2022년 9억900만 달러(약 1조2100억원)로 5년 만에 8배 급증했다. 같은 기간 순이익은 220만 달러(약 30억원)에서 790만 달러(약 105억원)로 3.6배 늘었다. KB금융그룹은 도쿄지점을 필두로 일본 IB 사업과 요양산업 관련 금융서비스 등을 확대하고 있다. 지난해 6월엔 도쿄 보험그룹인 솜포홀딩스와 요양서비스 산업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고 IoT(사물 인터넷) 기반 데이터를 수집해 고객들에게 맞춤형 요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안 등을 논의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베트남 민간 상업은행인 호찌민개발상업은행(HD은행)이 한국 사무소를 설립할 방침이다. 현지에 진출한 한국계 기업에 대한 영업을 확대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31일 베트남 호찌민증권거래소에 따르면 HD은행은 최근 이사회를 열고 서울 사무소 설립 안건을 승인했다. 이에 따라 HD은행은 서울 사무로 설립 절차를 본격화할 계획이다. 앞서 HD은행은 작년 6월 코리아 데스크를 설치하면서 한국 기업에 대한 영업 확대를 공식화한 바 있다. 한국 기업에 계좌 서비스·유동성 관리·기업 대출·프로젝트 투자·수출입 금융·투자자문·세금 등 다양한 금융 상품·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본보 2023년 6월 27일자 참고 : 베트남 HD은행, 코리아 데스크 설치…韓기업 영업 강화> HD은행은 베트남 최대 민영 항공사 비엣젯항공을 운영하는 소비코그룹의 계열사로, 베트남 5대 민간 상업은행 가운데 하나다. 김병호 전 하나금융지주 부회장이 지난 2022년 5월 이 은행의 회장으로 취임해 회사를 이끌고 있다. 김 전 부회장은 명지고와 서울대 영문과를 졸업했으며 1987년 한국투자금융에 입사했다. 중간에 시카고은행에 잠시 다니다가 1991년 하나은행으로 옮
[더구루=정등용 기자] 황효구 하나은행 글로벌그룹장이 중국 지역 사업을 진두지휘 한다. 이승열 하나은행장의 글로벌 사업 강화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향후 어떤 성과를 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3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하나은행 중국법인은 최근 황효구 하나은행 글로벌그룹장을 이사회 의장으로 선임했다. 황효구 그룹장은 은행원 생활 30년 중 20년을 글로벌 관련 업무를 담당했다. 특히 하나금융의 글로벌 핵심 거점인 중국에서 오랜 경험을 쌓은 중국 전문가로 통한다. 최근 4년 동안은 본사에서 글로벌 전략 업무도 수행한 만큼 중국 외 전체적인 사업 구상과 기획 능력도 뛰어난 것으로 평가 받는다. 황 그룹장은 지난 1994년 옛 외환은행에 입행 후 국내 영업점 업무와 글로벌 심사 업무 등을 하다 2006년 중국 상해지점에 발령되며 본격적으로 글로벌 사업을 시작했다. 이후 외환은행이 하나금융에 인수되면서 외환은행 중국법인도 하나은행 중국법인에 합병됐는데, 이 과정에서 황 그룹장이 주도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 그룹장은 그동안 중국법인 안정화에 심혈을 기울여왔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중국 내 경제활동 축소와 부동산 경기 침체 등으로 인해 중국법인의 실적 부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국 초대형 은행들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를 상대로 소송 준비에 돌입했다. 은행들에 대한 연준의 보유 현금량 추가 요구가 부당하다는 이유에서다. [유료기사코드] 2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JP모건 체이스와 씨티은행, 골드만삭스 등 미국 초대형 은행들은 안토닌 스칼리아 전 대법관의 아들인 유진 스칼리아를 재판 변호사로 선임하고 연준을 상대로 한 소송 초안을 작성하기 시작했다. 스칼리아 변호사는 JP모건과 씨티은행, 골드만삭스 등을 대표하는 무역 단체인 은행 정책 연구소를 대신해 제안된 규칙을 막기 위한 소송을 비밀리에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은행들은 연준이 현금 보유량 확대를 강제하고 있는 데 반발하고 있다. 실제로 연준은 은행들이 대차대조표상 현금을 20% 추가로 보유하길 원하고 있다. 은행들이 유동성 우려를 견딜 수 있게끔 충분한 자본을 확보하라는 차원에서다. 또한 1년 전 미국 은행권을 강타했던 뱅크런(대규모 예금 인출)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이기도 하다.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은 지난해 초 뱅크런 사태를 겪은 후 파산에 이르렀다. 이후 미국 금융규제 당국인 통화감독청(OCC)은 중대형 금융기관이 급격한 뱅크런을
[더구루=정등용 기자] KB국민은행이 캄보디아에서 뱅킹 앱을 출시했다. 캄보디아 핀테크 사업 강화에 속도를 내는 모양새다. 2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민은행 캄보디아 자회사인 KB 프라삭 은행은 최근 모바일 뱅킹 앱 ‘KB 프라삭 뱅크(KB PRASAC Bank)’를 공개했다. KB 프라삭 뱅크는 고객이 기업 뱅킹에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한다. 이동 중에도 업무 승인과 관련한 활동을 할 수 있어 고객 편의성 제고에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 받고 있다. 국민은행은 이번 모바일 뱅킹 앱 출시를 통해 캄보디아 핀테크 사업 확대에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캄보디아는 최근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금융 산업 육성에 나서고 있다. 특히 핀테크와 디지털은 캄보디아 정부가 큰 관심을 보이고 있는 분야다. 국민은행의 이 같은 기조 속에 KB 프라삭 은행도 디지털 뱅킹 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전귀상 KB 프라삭 은행 이사회 의장은 “차별화된 상품과 서비스 개발을 통해 더 많은 가치를 창출할 것”이라며 “프라삭은 정보 기술 인프라와 비즈니스, 인력, 브랜딩에 지속적으로 투자해 사업을 강화하고 디지털 리더십을 확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KB 프라
[더구루=정등용 기자] KB국민은행의 인도네시아 자회사 KB부코핀은행이 최고재무책임자(CFO)를 교체했다. KB부코핀은행은 24일 임시주주총회를 열고 임장혁 신임 CFO에 대한 임명안을 의결했다. 임 CFO는 지난 2001년 12월부터 2011년 3월까지 현대증권 전략기획실 부사장을 지냈다. 이후 현대그룹 본사 전략기획실로 자리를 옮겨 금융 계열사 관리와 기업 재무에 관한 업무를 수행했다. 현대증권과 KB증권이 합병된 이후엔 2016년 6월부터 2021년 1월까지 KB금융그룹 재무기획부 팀장을 역임했다. 당시 임 CFO는 KB금융그룹의 증권·투자·보험 계열사 관리와 성과측정 및 보상, 기업금융 관련 업무를 맡았다. 이후 임 CFO는 지난해 말까지 KB증권 투자은행그룹 이사를 역임하며 프로젝트 파이낸싱과 밸류에이션, 투자 등 다양한 IB 딜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기존 신승협 전 KB부코핀은행 CFO는 국민은행 글로벌성장지원본부 상무로 자리를 옮겼다. 신 전 CFO는 지난 1997년부터 2014년까지 국민은행에서 재무 관리 팀장을 역임했다. 이후 KB금융그룹으로 자리를 옮겨 재무 기획·관리 팀장, 재무 기획 담당 수석부사장, 재무 기획 총괄 책임자를 맡았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KB금융그룹이 영국 브랜드 평가 컨설팅 기업 브랜드 파이낸스(Brand Finance)가 선정한 글로벌 500대 기업에 포함됐다. 국내 금융사 중 유일하다. 2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브랜드 파이낸스는 최근 발표한 ‘2024년 글로벌 500대 브랜드(Global 500 2024)’에서 KB금융을 440위로 평가했다. KB금융은 지속가능한 금융 확대와 온실가스 배출량·에너지 사용량 감축, 다양성 확대 등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보인다. 특히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취약계층 등을 대상으로 한 상생금융 지원도 평가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실제 KB금융은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의 경영난 위기 극복을 위해 2023년부터 3년 간 총 60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KB국민은행은 은행권 민생금융 지원방안 참여은행 가운데 가장 큰 규모인 3721억원 규모의 ‘이자 캐시백 지원 및 자율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국토교통부, 주택도시보증공사 등과 함께 전세사기 피해자에 대한 법률 지원 및 전문 금융상담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KB금융은 이 같은 활동을 인정 받아 지난 19일 글로벌 ESG(환경·사회적책무·기업지배구조 개선)
[더구루=정등용 기자] IBK기업은행 인도네시아 법인이 신주 발행을 추진한다. 재무 구조 개선과 함께 사업 자금을 확보한다는 차원에서다. 2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기업은행 인도네시아 법인은 최대 117억7000만주의 신주를 발행할 예정이다. 신주 액면가는 주당 100루피아이며, 조달 자금은 운전 자본으로 사용될 계획이다. 기업은행 인도네시아 법인은 신주 발행으로 재무 구조를 개선하는 한편 사업 전략을 실행할 수 있는 충분한 자금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신주 발행으로 지분율은 23.65%까지 감소할 전망이다. 기업은행 인도네시아 법인은 내달 13일 예정된 임시 주주총회에서 신주 발행에 대한 주주 동의를 구할 예정이다. 또한 인도네시아 금융감독청(OJK)으로부터 신주 발행과 관련한 유효성 확인서를 받은 후 남은 단계를 추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앞서 기업은행 인도네시아 법인은 지난해 12월 모기업인 기업은행으로부터 1조 루피아(약 840억원)의 자금을 지원 받았다. 이에 앞서 4차례에 걸친 유상증자를 통해 자본금 규모를 4조1200억 루피아(약 3450억원)까지 확충했으며, 지난 7월엔 1조3800억 루피아(약 12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실시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전기차 제조업체 루시드(Lucid Group)가 약 1조5000억원 규모로 전환사채를 발행한다. 최대 주주인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 공공투자기금(PIF)이 이를 지원할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루시드는 3일 최대 10억 달러(약 1조4600억원) 규모로 2030년 만기 전환선순위채권Convertible Senior Notes)을 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선순위전환채권은 약정 시점이나 투자자 전환권 행사 시점에 주식으로 전환, 원금을 상환받을 수 있는 채권이다. 다만 일반 전환사채(CB)와 달리 전환 가격이 정해져 있지 않다. 루시드의 선순위전환채권 발행과 관련해 PIF 자회사인 '아야르서드 컴퍼니'가 특정 투자자와 선불 선도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이는 미래 보유 주식 매각을 담보로 미리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이다. PIF는 루시드의 지분 60%를 보유한 최대 주주이다. 2022년 12월 15억 달러, 2023년 5월 18억 달러를 지원한 데 이어 작년에도 3월 10억 달러, 8월 15억 달러의 유동성을 공급했다. <본보 2024년 8월 6일자 참고 : 사우디 국부펀드, 루시드에 '2조' 자금 투입> 루시드는 또 작
[더구루=홍성일 기자] 구글이 인공지능(AI) 수요 급증에 따라 엔비디아 AI칩 추가 조달에 나섰다. 구글의 AI칩 추가 조달이 'AI반도체 수요 고점론'을 약화시킬 것이라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3일 경제전문매체 디 인포메이션에 따르면 구글은 AI 데이터센터 임대기업 코어위브(CoreWeave)와 엔비디아 블랙웰(Blackwell) AI칩 임대를 위한 사전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상세한 조달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다. 구글이 코어위브와 협상에 나선 배경에는 AI 수요 급증이 있다는 분석이다. AI관련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는데 맞춰 데이터센터 인프라를 설치하기 위해 서버 임대를 선택했다는 것. 코어위브는 미국 전역에 32개 데이터센터를 구축했으며 탑재된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는 25만 장이 넘는다. 특히 이번 계약으로 AI칩 수요 고점론이 약화될 것으로 보인다. AI칩 수요 고점론은 지난달 28일(현지시간) 코어위브 기업공개(IPO) 결과가 기대에 못미치면서 고개를 들었다. 당초 코어위브는 주당 공모가를 47~55달러로 목표했지만 시장의 미온적 반응에 공모가격을 40달러 낮췄다. 지난해 매출의 62%를 담당한 마이크로소프트(MS)가 미국 내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