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등용 기자] 미래에셋증권 베트남법인이 상반기 성장 모멘텀을 유지했다. 대출이자와 증권 중개 수익이 늘어난 결과다. 31일 미래에셋증권 베트남법인의 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올 상반기 영업이익은 1조2920억 동(약 700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약 1.4% 증가한 수치다. 이 중 대출이자 관련 수익이 8287억7000만 동(약 440억원)으로 전체 영업이익의 64.1%를 차지했다. 전년 동기 7366억5000만 동(약 390억원) 대비 약 12.8% 증가한 수준이다. 증권 중개 수익도 전년 동기 대비 37% 증가한 2367억3000만 동(약 125억원)을 기록했다. 시장 유동성 회복과 신규 투자자 계좌 개설 증가가 요인이 됐다는 분석이다. 상반기 총 운영 비용은 7497억 동(약 400억원)을 기록, 전년 동기 7805억 동(약 410억원) 대비 소폭 감소했다. 이 중 이자비용과 대출 손실은 4311억6000만 동(약 230억원)으로 여전히 높은 수준을 보였다. 중개 수수료는 2308억3000만 동(약 120억원)으로 전년 동기 3150억 동(약 170억원)보다 감소했다. 미래에셋증권 베트남법인의 총 자산은 22조5440억 동(약 1조19
[더구루=홍성환 기자] 싱가포르계 부동산 리츠 메이플트리 로지스틱스 트러스트(MLT)가 경기 여주 물류센터를 매각했다. MLT는 31일 제3자와 여주 물류센터를 80억원에 매각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구체적인 인수자는 공개되지 않았다. 이 부동산은 2층 창고와 3층 사무실 건물로 구성됐다. 전체 면적은 약 1만1000㎡ 규모로, 준공된지 18년이 지났다. MLT는 "우리의 전략에 부합하지 않는 자산을 선별적으로 매각해 포트폴리오를 활성화하려는 전략의 일환"이라며 "자산 매각으로 확보한 자금은 높은 성장 잠재력을 갖춘 현대식 물류센터에 대한 투자 기회를 모색할 수 있는 더 큰 재정적 유연성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MLT는 싱가포르 국부펀드 테마섹의 자회사인 메이플트리가 운용하는 부동산 리츠로, 싱가포르 증시에 상장돼 있다. 싱가포르와 한국, 중국, 홍콩, 중국, 일본, 호주, 베트남 등에 178개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다. 운용자산(AUM)은 130억 싱가포르달러(약 13조9700억원) 규모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KB국민은행 캄보디아 자회사인 KB프라삭이 현지 교육시설 건설에 자금 지원을 이어가고 있다. 30일 캄보디아 국립은행(NBC)에 따르면, KB프라삭은 지난 3일 캄퐁톰 주 프라사트 삼보르 마을에서 착공한 유치원 건설에 자금을 지원했다. 삼보르 유치원은 캄보디아 국립은행이 발주했다. 공사는 수 개월 내에 완공될 예정이다. KB프라삭은 캄보디아 교육 분야에 대한 지원을 강조하고 있다. 미래 세대가 취업이나 생계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지식을 제공하기 위한 차원에서다. 삼보르 유치원 외에도 현재까지 캄보디아 15개 주에 48개의 학교 및 도서관 건설을 지원했다. 이 시설은 모두 캄보디아 교육부가 정한 도서 기준과 시설을 갖추고 있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국 대형 자산운용사 피델리티가 금 가격 상승에 무게를 실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이유로 들었다. 이안 샘슨 피델리티 펀드 매니저는 29일(이하 현지시간)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연준이 기준금리 인하를 시작하고 미국 달러 하락세를 보이면 금 가격은 올 연말까지 온스당 4000달러를 돌파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 같은 전망은 글로벌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의 분석과도 일치한다. 골드만삭스도 "금값이 온스당 4000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주장을 제기한 바 있다. 금 가격은 올해 들어서만 27% 이상 상승하며 투자 자산 중 가장 우수한 성과를 보였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부과 등 무역 재편 시도가 있었고 이에 따라 경제적·지정학적 불확실성을 자극하면서 안전자산인 금값이 상승했다. 다만 최근 금값은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의 무역 협상이 일부 국가들과 진전을 보이면서 최악의 시나리오에 대한 우려가 사라지자, 수요도 줄어든 영향이다. 샘슨 매니저는 30일 예정된 연준 회의에 주목했다. 그는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은 낮지만 동결시 연준 내 분열을 더욱 심화시킬 수 있다"고 내다봤
[더구루=김나윤 기자] 미래에셋자산운용의 미국 자회사 글로벌X가 호주 시장에서 입지 확대에 나섰다. 연말까지 운용자산(AUM) 120억 달러(약 16조6700억원) 달성을 목표로 '호주 내 최대 ETF(상장지수펀드) 발행사'로 자리매김하겠다는 포부다. 29일(현지시간 ) 글로벌X는 "지난달 호주 AUM이 100억 달러(약 13조8900억원)를 돌파한데 이어 최근에는 110억 달러(약 15조2800억원)까지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글로벌X는 연말까지 AUM를 120억 달러(약 16조6700억원)로 끌어올리고 2027년까지 두 배 규모로 성장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다음 달 6일 새로운 저비용 호주 주식 ETF를 출시할 예정이다. 이 상품은 국내 투자자들이 저렴한 비용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될 예정이다. 글로벌X는 "호주 투자자들의 ETF에 대한 꾸준한 수요, 자국 시장 중심의 상품 선호도, 변동성이 큰 미국 시장을 회피하려는 움직임 등을 고려해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호주 주식 ETF 상품군은 올해 들어 39억 달러(약 5조4200억원)의 자금이 유입되며 총 430억 달러(약 59조7300억원)의 AUM을 기록했다. 알렉스 자이카(Al
[더구루=홍성환 기자] 삼성전자 벤처투자펀드 삼성카탈리스트펀드가 실리콘 포토닉스 광연결 기술 스타트업 '테라마운트(Teramount)'에 투자했다. 테라마운트는 5000만 달러(약 700억원) 규모 시리즈A 자금조달 라운드를 완료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투자는 미국 벤처캐피털(VC) 코흐 디스럽티브 테크놀로지스(KDT)가 주선했다. 삼성카탈리스트펀드와 △AMD벤처스 △히타치벤처스 △위스트론 △글로브벤처스 등이 참여했다. 테라마운트의 헤샴 타하 CEO는 "이번 투자는 AI 인프라 및 고성능 응용프로그램 분야에서 우리 기술의 잠재력을 입증받은 것"이라고 전했다. 이스라엘의 테라마운트는 AI·데이터센터·고성능 컴퓨팅·통신 네트워크·센서 등을 위한 실리콘 포토닉스 광연결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특히 이 회사의 특허 기술 '포토닉스 플러그(PhotonicPlug)'와 '포토닉스 범프(PhotonicBump)'는 원활한 광섬유·반도체(fiber-to-chip) 통합을 지원한다. 실리콘 포토닉스는 광학 소자 기술이라고 불린다. 전기 신호를 구리 선을 통해 전달하는 일반적인 반도체와 달리 빛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이다. 더 빠르고, 효율적이며, 저렴하게 데이터
[더구루=김나윤 기자] 미래에셋베트남이 현지 증권시장 25주년을 맞아 개최된 기념식에서 '국가증권위원회(SSC) 공로상'을 수상했다. 수상 배경에는 KRX(한국거래소) 기술 시스템 도입에 대한 기여, 디지털 전환 가속화, 제품 포트폴리오 확대, 국제 자본 유치 노력 등이 반영됐다. 기념식은 지난 28일(현지시간) 베트남 호치민시에서 열렸고 증권시장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한 단체를 표창했다. 특히 지난 5월 KRX 시스템의 본격 가동이 베트남 증권시장 현대화를 위한 중대한 전환점으로 소개됐다. KRX 시스템은 거래 당일 결제, 공매도, 중앙 거래 상대방 청산(CCP) 메커니즘 등을 가능케 해 시장의 투명성 제고와 운영 효율성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미래에셋베트남은 해당 시스템의 준비와 적용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한 증권사로 평가받으며 금융시장의 디지털 혁신을 견인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응우옌 호앙 옌(Nguyen Hoang Yen) 미래에셋베트남 이사회 의장은 "포괄적인 디지털 혁신, 제품 생태계 확장, 시장 국제화를 회사의 핵심 성장축으로 삼고 있다"며 "기술, 인력, 서비스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베트남 금융시장과 함께 성장해 나가겠다"고
[더구루=김나윤 기자] 업비트와 빗썸이 USDT 대출 서비스를 중단하기로 했다. 미국 투자 정보 매체는 이를 두고 "한국은 엄격한 가상자산 감독을 시행하는 국가”라고 평가했다. 업비트와 빗썸은 각각 공지를 통해 "다음달 27일 USDT 서비스를 완전히 종료한다"고 발표했다. 지난 28일에는 신규·추가 신청 접수를 중단했다. 사용자는 기한 내에 대출금을 상환하고 자산을 인출해야 한다. 두 거래소는 이 같은 결정의 배경으로 “규제 조사와 내부 위험 관리 강화를 위한 조치”임을 밝혔다. USDT 대출은 달러에 연동된 안정성과 접근성을 이유로 많은 투자자에게 인기를 끌었다. 그러나 지난 2022년 셀시우스(Celsius), 블록파이(BlockFi) 등 글로벌 암호화폐 대출 플랫폼이 연쇄적으로 붕괴하면서 신뢰에 타격을 입었다. 이 때문에 지난 25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업비트와 빗썸 등 국내 5개 가상자산거래소 임원들을 소집해 USDT 대출에 대해 "이용자 보호 장치가 미흡하고 건전성에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우려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비트와 빗썸의 대출 중단에 대해 미국 투자 전문 매체 에이인베스트는 "글로벌 거래소들이 규정 준수를
[더구루=홍성환 기자] 인도네시아 KB국민은행 법인이 상반기 흑자를 기록했다. 경영 정상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인니법인 KB뱅크는 올해 상반기 순이익 3730억 루피아(약 310억원)를 기록했다고 30일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 3조1500억 루피아(약 2700억원) 순손실에서 흑자 전환했다. 반기 기준으로 흑자를 기록한 것은 지난 2020년 법인 출범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로비 몬동 KB뱅크 부행장은 "올해 1분기를 기점으로 긍정적인 모멘텀이 지속되고 있다"면서 "긍정적인 실적 배경에는 견조한 대출 성장이 있다"고 설명했다. <본보 2025년 4월 24일자 참고 : 인니 KB국민은행, 설립 후 첫 흑자 성공> 6월 말 기준 대출 잔액은 43조800억 루피아(약 3조6600억원)로 1년 전보다 6.14% 증가했다. 일반 대출이 10.18% 늘었다. 이와 함께 소매 대출 18.65%, 코리안 링크(한국계 기업 대출) 사업이 24.53% 각각 증가했다. 상반기 순이자수입은 4500억 루피아(약 380억원)로 전년 같은 기간 4490억 루피아(약 380억원)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순이자마진(NIM)은 1.33%로 1년 전보다 0.05%p 상승했
[더구루=홍성환 기자] 홍콩계 투자회사 SC로위가 서울 강남 고급 아파트 개발 사업에 투자했다. SC로위는 30일 "서울 강남 고급 아파트 단지 개발 사업에 대한 2억5000만 달러(약 3500억원) 규모 재고금융 거래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투자처는 공개되지 않았다. 재고금융은 기업이 재고를 담보로 활용해 자금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단기 차입의 한 형태다. SC로위는 1억5000만 달러(약 2100억원)를 직접 투자하고, 나머지 1억 달러(약 1400억원)를 국내 22개 기관에서 조달했다. 이수천 SC로위 공동 창립자 겸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이번 거래는 SC로위의 구조화 및 신디케이트론 역량에 대한 한국 기관 투자자의 신뢰를 보여주는 것"이라며 "아시아 주요 도시 중심지의 우량 자산에 대한 금융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선도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했다. SC로위는 홍콩에 기반을 둔 '스페셜 시츄에이션' 투자 전문 운용사다. '스페셜 시츄에이션' 투자는 자산 본연의 가치나 경쟁력과 별개로 예기치 못한 이벤트로 저평가를 받거나 어려워진 자산에 투자하는 것을 말한다. SC로위 운용자산은 15억 달러(약 2조1000억원) 규모다. SC로위는
[더구루=정등용 기자] 한국투자증권이 인도네시아 최대 미디어 그룹 MNC 계열의 MNC 자산운용과 협력을 추진한다. 한국투자증권 인도네시아법인(KISI)은 28일(현지시간) MNC 자산운용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KISI는 자사 투자 앱 ‘iKISI’를 통해 MNC 자산운용 상품을 판매한다. 주요 상품은 △MNC 다나 랑카(MNC Dana Lancar)와 △MNC 다나 샤리아 바로카(MNC Dana Syariah Barokah) △MNC 다나 리퀴드(MNC Dana Likuid) △MNC 다나 샤리아(MNC Dana Syariah) 등이다. 지난 25일 기준 해당 상품의 연 순수익률을 보면 △MNC 다나 랑카 5.65% △MNC 다나 샤리아 바로카 5.52% △MNC 다나 리퀴드 7.34% △MNC 다나 샤리아 7.07%다. KISI와 MNC 자산운용은 파트너십을 통해 고객의 금융 상품 접근성을 확대하고 협력을 모색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돈나무 언니'라는 별명으로 유명한 캐시 우드가 이끄는 자산운용사 아크인베스트가 솔라나 스테이킹(가상자산 예치) 제공업체로 캐나다 솔스트래티지(SOL Strategies)를 선정했다. 솔스트래티지는 "아크인베스트 디지털에셋 레볼루션 펀드의 새로운 솔라나 스테이킹 제공업체로 선정됐다"고 29일 밝혔다. 2020년 출시된 디지털에셋 레볼루션 펀드는 10~12개 암호화폐에 투자해 4~5년의 전체 시장 주기 동안 수익을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상품이다. 아크인베스트는 이 펀드를 지원하기 위해 자사 솔라나 검증인(밸리데이터) 운영을 솔스트래티지로 전환할 예정이다. 밸리데이터는 블록체인 위에 기록되는 거래 내역을 확인하는 주체로, 모든 거래의 유효성과 정확도를 검증한다. 솔스트래티지는 솔라나 생태계에 특화된, 탈중앙화 인프라를 제공하는 캐나다 기업이다. 솔스트래티지는 "캐시 우드와 아크인베스트는 암호화폐 및 기술 투자 분야에서 널리 인정받고 있다"며 "우리의 검증인 역량에 대한 캐시 우드의 신뢰는, 기관 고객에게 최고의 스테이킹 솔루션을 제공하려는 우리의 노력을 더욱 강화시킨다"고 전했다. 1955년 생인 캐시 우드는 캐피탈그룹 이코노미스트를
[더구루=길소연 기자] 세계 1위 배터리 기업인 중국 CATL(寧德時代·닝더스다이)가 중국 리튬 배터리 소재 공급업체 캔맥스 테크놀로지스(Canmax Technologies, 이하 캔맥스)의 지분에 투자하며 리튬 배터리 소재 확보를 늘린다. 원재료·소재·셀·팩·재활용까지 수직 계열화된 밸류체인(생산부터 유통까지 산업 전반의 구성) 구조에 집중하고 있는 CATL은 배터리 소재 확보로 공급망 구축과 원가 경쟁력을 강화한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수소연료전지 기업 블룸에너지(Bloom Energy)가 약 3조6000억원 규모의 자금 조달에 성공했다. 강화된 자본을 기반으로 연료전지 발전용량 확대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