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 자산관리 부터 리스크 관리까지, AI가 바꾼 은행

은행·인터넷전문은행 AI 도입 가속화
고객 맞춤형 서비스와 금융 안정성 동시에 추구

 

[더구루=김나윤 기자] 국내 금융권이 AI를 중심으로 혁신 행보를 본격화하고 있다.

 

단순 업무 자동화를 넘어 고객 경험과 금융 안정성을 동시에 강화하는 전략으로 비대면 서비스 고도화, 리스크 관리, 맞춤형 자산관리 등 금융 전 영역에서 AI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은행은 제2데이터센터 구축을 추진 중이다. 데이터 처리 능력 향상과 재해복구센터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액티브-액티브’ 방식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콜센터 혁신도 이어지고 있다.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미래 콘택트센터(FCC) 시스템을 통해 고객 상담 품질을 높이고 상담사 업무 부담을 줄이고 있다. 국민은행은 2023년부터 생성형 AI GPT를 도입했으며, 농협은행은 상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텍스트 분석 기반 상담 품질 평가를 시행 중이다.

 

자산관리 부문에서는 AI 기반 '초개인화' 서비스가 강화되고 있다. 고객 거래 패턴과 투자 성향을 분석해 개인별로 맞춤형 포트폴리오를 제공한다. 

 

신한은행은 ‘AI 투자메이트’를 통해 실시간 시장 동향과 뉴스, 시각화 자료를 카드 형태로 제공한다. GPT 기반 대화형 투자메이트 2.0으로 고도화해 개인 맞춤형 투자 전략까지 제시할 계획이다. 하나금융 융합기술원은 데이터 사이언스, AI 퀀트, 자연어 처리 등 핵심 영역 연구에 집중하고 있고 우리은행은 11월 ‘AI 청약상담원’을 출시할 예정이다.

 

리스크 관리에서도 AI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불완전판매 탐지, 자금세탁 방지(AML), 이상거래 모니터링 등 준법경영에 AI 솔루션이 도입되면서 규제 대응을 강화하고 있다.

 

인터넷전문은행 3사(카카오·케이·토스)도 AI 기반 본인인증, 광학문자 인식(OCR), 위변조 탐지 등 디지털 금융 혁신을 선도하고 있다. 보안 분야에서는 AI 기반 위협 탐지와 자동화된 침해사고 대응 체계 구축이 진행 중이다.

 

다만 개인정보 보호, 해킹 방지, 알고리즘 투명성 확보 등의 해결 과제도 존재한다. 전문가들은 “AI는 금융 산업 패러다임을 바꾸는 변곡점”이라며 "기술 도입과 함께 윤리·제도적 장치를 병행해야 지속 가능한 혁신이 가능하다"고 강조한다.










테크열전

더보기




더구루인사이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