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진유진 기자] 호주 정부가 에너지 전환을 가속하고 관련 산업 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해 재생 가능한 수소와 핵심 광물 생산에 대한 세제 인센티브 법안 도입을 추진한다. 새 법안은 청정에너지 프로젝트와 전기차, 반도체 제조 등에 필요한 핵심 자원을 전략적으로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호주 정부는 25일(현지시간) 에너지 전환 계획에 주요 역할을 할 수 있는 재생 가능한 수소와 핵심 광물에 대한 생산 세제 인센티브를 시행하는 법안을 도입해 투자를 촉진하겠다고 발표했다. 정부는 오는 2028년 6월로 끝나는 회계연도부터 2039/40 회계연도까지 31개 핵심 광물 가공·정제 비용의 10%에 해당하는 세금 인센티브를 제공할 계획이다. 프로젝트당 최대 10년간 지원되며, 재생 가능한 수소 생산의 경우 킬로그램(kg)당 2호주달러(약 1815원) 상당의 세금 혜택도 신설된다. 세제 혜택은 프로젝트가 본격 가동돼 수소 생산이 이루어지거나 풍력 터빈과 태양광 패널, 전기차 등에 사용되는 핵심 광물이 처리될 경우 적용될 예정이다. 최근 주요 경제국들은 청정에너지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국가 안보와 번영을 위한 핵심 산업인 전기차와 반도체 제조 분야에서 중
[더구루=진유진 기자] 이스라엘과 레바논 무장정파 헤즈볼라의 휴전 협상 관련 소식에 금 가격이 하락했다. 닷새 연속 랠리를 이어가던 국제 금 가격은 상승 피로감이 누적된 가운데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까지 더해지며 3% 넘게 하락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금 선물 12월물은 25일(현지시간) 트로이 온스(1ozt=31.10g)당 전 거래일 대비 3.5% 하락한 2618.5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금 가격은 지난주 랠리에 따른 매수 피로감이 쌓이며 매도 압박도 커졌다. 여기에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인이 스콧 베센트를 재무장관으로 지명하면서 미국발 리스크 프리미엄이 일부 해소됐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나아가 이스라엘과 레바논 휴전이 임박했다는 보도가 나온 점도 금 가격을 추가로 끌어내린 요인으로 작용했다. 지오바니 스타우노보 UBS 그룹 원자재 애널리스트는 "스콧 베센트 지명은 지난주 랠리에 따른 차익 실현을 자극하며 금값 하락의 주요 요인이 될 수 있다"며 "베센트의 관세 부과를 위한 단계적 접근법 발언으로 무역전쟁과 관련된 우려가 줄어든 점도 시장 심리를 완화시켰다"고 설명했다. 미국의 기업 활동이 지난 2
[더구루=진유진 기자] 호세 라울 물리노 파나마 대통령이 코브레 파나마(Cobre Panamá) 구리광산 셧다운 사태에 대해 강하게 비판하며 정치적 해결책 마련을 강조했다. 캐나다 광산기업 퍼스트퀀텀미네랄(First Quantum Minerals·FQM)과 한국광해광업공단(KOMIR)이 소유한 코브레 파나마 광산이 1년간 방치된 가운데 파나마 정부의 대응에 이목이 쏠린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물리노 대통령은 코브레 파나마 구리광산이 폐쇄된 원인을 전임 로렌티노 코르티소 행정부의 부실한 관리로 돌렸다. 그는 "이 광산은 전임 정부를 향한 누적된 국민적 불만의 대가를 치르고 있다"며 당시 정부가 중대한 문제를 적절히 관리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물리노 대통령은 광산 문제 해결을 위한 종합 감사와 투명한 접근을 약속했다. 그는 "우리는 신뢰와 국민적 수용성을 갖춘 정부로, 2025년 초부터 광산 문제 해결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코브레 파나마 프로젝트보다 사회보장 개혁 등 다른 사안이 우선순위라고 덧붙이며 구체적인 일정은 밝히지 않았다. 코브레 파나마 구리광산은 전 세계 구리 생산량의 약 1.5%, 파나마 국내총생산(GDP)의 약 4%를 차지하
[더구루=진유진 기자] 라오스가 풍부한 광물자원과 점진적인 제도 개선을 통해 글로벌 공급망 내 대체 공급처로 주목받고 있다. 라오스는 자원 부가가치를 극대화하고 투명한 제도 운용을 제고해 글로벌 투자자와의 협력을 강화하며 대체 공급망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23일 코트라(Kotra)에 따르면 라오스 총 광물 매장량은 146억t(톤)에 이르며, 이 중 칼륨 매장량은 100억t 이상으로 세계 10위권에 속한다. 광물 수출은 국가 총 수출액의 약 30%를 차지하며 주요 외화 수입원으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푸캄(Phu Kham) 광산은 약 8만t의 구리와 6만 온스 이상의 금, 은을 생산하며 국가 경제에 핵심 역할을 하고 있다. 라오스는 △금 △구리 △철 △은 △알루미늄 △주석 △납-아연 △희토류 등 주요 금속 광물과 △석탄 △갈탄 △칼륨 △석고 △석회석 △바리트 △보크사이트 등 비금속 광물을 다량 보유하고 있다. 구리와 금, 아연, 납은 전체 광물 매장량의 47%를 차지해 개발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올해 상반기 라오스에서는 총 2억3000만 달러(약 3200억원) 규모의 26개 광산 프로젝트가 승인됐으며, 지난해에는 77개 프로젝트가 허가돼 15억
[더구루=진유진 기자] 캐나다 정부가 호주 우라늄 기업 팔라딘 에너지(Paladin Energy)의 캐나다 우라늄 기업 피션 우라늄(Fission Uranium) 인수 거래에 대한 국가 안보 검토를 연장하며 다시 제동을 걸었다. 당초 이번 거래는 지난 6월 제안돼 9월에 마무리될 예정이었으나, 검토 과정이 길어지며 성사 여부가 불투명해지고 있다. 팔라딘 에너지는 지난 19일(현지시간) 캐나다 산업부로부터 검토 기간을 오는 12월 30일까지 연장한다는 통보를 받았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팔라딘은 "해당 거래가 국가 안보 검토로 인해 캐나다투자법(Investment Canada Act) 승인을 제때 또는 전혀 받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며 "승인이 불발되면 거래가 성사되지 못할 것"이라고 우려를 나타냈다. 앞서 팔라딘 에너지는 지난 6월 피션 우라늄을 11억4000만 캐나다달러(약 1조1410억원) 규모 주식으로 인수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원자력발전이 주목받으면서 우라늄 가격이 상승한 가운데 성사된 거래로, 팔라딘은 이번 인수를 통해 세계 3위 상장 우라늄 생산업체로 도약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거래 과정은 여러 난관에 부딪혔다. 지난 8월 주주 투표
[더구루=진유진 기자] 미국이 중국의 갈륨·게르마늄 수출 금지 조치로 대규모 경제적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첨단 반도체 제조에 사용되는 핵심 광물을 둘러싼 미·중 간 전쟁이 격화하는 모양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중국이 갈륨과 게르마늄 수출을 전면 금지할 경우, 미국 경제가 34억 달러(약 4조7600억원) 규모의 피해를 볼 수 있다고 경고했다. USGS는 주로 반도체 장치 제조업이 전체 손실의 40% 이상을 차지하며 가장 큰 피해를 당할 것으로 예상했다. 반도체에 의존하는 다운스트림 생산업체에도 추가적인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반도체 제조에 필수적인 갈륨과 게르마늄을 포함한 핵심 광물 수출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지난해 8월 1일부터 8개 갈륨 제품과 6개 게르마늄 제품에 대한 수출 제한 조치를 시행했으며, 지난해 말부터는 전기차 배터리 음극재를 만드는 데 쓰이는 흑연과 중국이 사실상 독점 중인 희토류 가공 기술 등도 수출 규제 대상에 포함했다. 특히 최근에는 외국 반도체 기업이 중국산 희토류와 기타 광물을 구매하기 어렵게 만들었으며, 희토류 채굴·생산 기업들에 대한 소
[더구루=정등용 기자] 아랍에미리트(UAE) 시가총액 1위 기업 IHC(International Holding Company)가 세계 최대 주석 광산에 지분 투자를 추진한다. 올해만 광업 부문에 총 10억 달러(약 1조3600억원)를 투자하겠다고 밝힌 만큼 그 연장선 상에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IHC의 자회사인 IRH(International Resources Holding)는 사모펀드 기업인 덴햄 캐피탈이 소유한 알파민 리소스 지분 일부를 간접 매입하는 방식을 논의 중이다. 덴햄 캐피탈은 콩고민주공화국 동부에 있는 비시에 주석 광산을 운영하는 알파민 리소스 지분 57%를 보유 중이다. IRH는 덴햄 캐피탈이 해당 지분을 보유하기 위해 설립을 고려하고 있는 신규 법인에 대한 투자를 추진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관계자들에 따르면 IRH 대표단은 최근 비시에 주석 광산 현장을 방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거래가 임박한 것은 아니며 논의가 실제 투자로 이어질지는 불확실하다는 전언이다. 덴햄 캐피탈의 신규 법인에 투자할 경우 세계 최고 등급의 주석 광산 두 곳에서 일부 수익을 얻을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 가치가 15억 달러(약 2조8
[더구루=진유진 기자] 캐나다 광물업체 일렉트라 배터리 머티리얼즈(Electra Battery Materials)가 미국 아이다호(Idaho)주 구리·코발트에 대한 10년 장기 탐사 허가권을 획득했다. 이번 허가를 통해 북미 배터리 공급망 내 입지를 더욱 강화할 전망이다. 일렉트라는 19일(현지시간) 아이다호 자산에 대한 미국 산림청 승인 아래 탐사 허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장기 허가는 91개의 지정된 시추 패드와 수백 개의 잠재적 시추 목표 지점을 포함하며, 아이언 크릭(Iron Creek) 광산과 루비(Ruby) 프로젝트, CAS, 레드캐슬(Redcastle) 옵션 계약지 등을 아우르는 탐사를 가능하게 한다. 기존 연간 갱신 허가보다 프로젝트 확실성을 높이고 계획 수립 유연성을 강화하며 행정 절차 부담을 크게 줄일 것으로 예상된다. 일렉트라의 아이다호 자산은 73㎢ 이상 면적에 걸쳐 채굴 특허와 탐사권으로 구성돼 있다. 표면 노출과 시추를 통해 발견된 광맥 7곳이 존재하며, 주요 광맥은 아이언 크릭 프로젝트에 위치한다. 아이언 크릭은 미국 최대 구리·1차 코발트 자원이 포함된 아이다호 코발트 벨트 내에서도 핵심 지역으로 평가된다. 일렉트라는 지난해
[더구루=진유진 기자] 일본 무역회사 미쓰이물산(Mitsui & Co.)이 캐나다 광산기업 퍼스트 퀀텀 미네랄(First Quantum Minerals·FQM)의 잠비아 구리광산 지분 인수를 위한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구리 가치가 높아지면서 글로벌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는 가운데 미쓰이의 이번 인수 추진은 안정적인 원자재 확보를 위한 전략으로 분석된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미쓰이는 FQM이 잠비아에서 운영 중인 센티널(Sentinel)·칸산시(Kansanshi) 구리광산 지분 약 20%를 20억 달러(약 2조7840억원)에 매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번 협상에서 미쓰이는 사우디아라비아 마나라 미네랄(Manara Mineral)을 제치고 최고 입찰자로 부상했다. 미쓰이는 현재 FQM과 거래 조건을 협상 중이지만, 최종 거래 성사 여부는 미지수다. FQM은 다른 기업과의 협상을 모색하거나 거래를 철회할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다. FQM은 최근 재정난 해소를 위해 잠비아 자산 일부 지분 매각을 추진해 왔다. 특히 지난해 파나마 정부가 코브레 파나마(Cobre Panama) 광산 폐쇄 명령을 내린 이후 급증한 부채를 해결하기 위해 이번 매각이
[더구루=진유진 기자] 호주 리튬 개발업체 사요나 마이닝(Sayona Mining)이 미국 리튬 개발업체 피드몬트 리튬(Piedmont Lithium)을 인수하며 북미 최대 리튬 기업으로 거듭났다. 이번 합병은 청정에너지 전환에 따른 리튬 수요 급증에 대응하기 위한 양사의 전략적 결정으로 풀이된다. 사요나 마이닝은 최근 피드몬트 리튬을 인수하고 북미 리튬 사업을 통합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북미에서 가장 큰 리튬 생산업체로 탄생한다는 설명이다. 양사 이사회는 이번 거래를 만장일치로 승인했으며, 내년 상반기 중 합병을 완료할 계획이다. 리튬 생산 효율성을 높이고, 북미 시장에서의 입지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거래는 피드몬트 주식 가치에 6% 프리미엄을 더해 전량 주식 교환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합병 후 예상 시가총액은 6억2300만 달러(약 8670억원)로 평가된다. 합병 후 설립될 리튬 회사는 호주에 본사를 두고 호주 증권거래소(ASX)에 상장되며, 미국 나스닥에는 예탁 주식 형태로 2차 상장을 추진한다. 모회사는 사요나로, 양사 주주는 합병 회사 지분을 거의 동일하게 나눠 보유하게 된다. 양사는 지난 2016년 합작사 '사요나 퀘벡(Sayona
[더구루=진유진 기자] 미국 광물 생산업체 컴파스 미네랄(Compass Minerals)이 사모펀드에 매각될 가능성이 제기됐다. 대규모 탄산리튬 프로젝트가 중단된 데 따른 경영난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컴파스 미네랄은 한 사모펀드사와 매각 협상을 진행 중이다. 리튬 채굴 프로젝트가 중단되면서 컴파스 미네랄 주가가 폭락한 것이 매각을 추진하는 주된 배경으로 꼽힌다. 회사 가치는 부채를 포함해 약 15억 달러로 평가받고 있다. 컴파스 미네랄은 최근 몇 주간 투자은행과 협력해 사모펀드로부터의 인수 제안을 검토해 왔다. 현재 협상은 진행 중으로, 몇 주 내에 계약이 체결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다만 거래 성사가 확정된 것은 아니며, 구체적인 세부 사항 역시 공개되지 않았다. 컴파스 미네랄의 위기는 리튬 사업 중단에서 비롯됐다. 앞서 컴파스 미네랄은 미국 유타주 그레이트솔트 호수(Great Salt Lake)에서 대규모 리튬 채굴 프로젝트를 계획했으나, 환경 규제 강화로 인해 사업을 포기했다. 지난해 유타주 하원이 통과시킨 법안 'H.B. 513(일명 그레이트 솔트레이크 수정안)'과 후속 규칙이 제정된 데 이어 유타 산림·화재·국토부(F
[더구루=진유진 기자] 미국 하원이 '2024년 핵심광물일관성법(Critical Mineral Consistency Act of 2024)'을 통과시켰다. 미국이 자국 핵심광물 관리 강화를 위한 법적 기반을 마련하는 데 박차를 가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하원은 지난 14일(현지시간) '2024년 핵심광물일관성법'을 초당적 지지 속에 승인했다. 이번 법안은 '2020년 에너지법(Energy Act of 2020)'을 개정해 미국 에너지부(DOE)가 지정한 '핵심 소재(Critical Material)'를 포함하도록 '핵심 광물(Critical Mineral)' 정의를 확대하는 것이 골자다. 현재 DOE와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각각 별도의 목록을 유지하고 있다. DOE은 에너지 장관이 지정한 에너지 관련 공급망에서 중요한 핵심 소재를, USGS은 내무부 장관이 지정한 국가 경제·안보에 필수적인 핵심 광물을 다루고 있다. 기존 '2020년 에너지법'에서 정의된 핵심 소재는 DOE 핵심 소재 목록과 USGS 핵심 광물 목록을 모두 포함한다. 하지만 이번 법안은 두 기관의 목록을 통합적으로 확대해 USGS 핵심 광물 목록에 DOE가 지
[더구루=홍성일 기자] 애플의 핵심 공급망 업체인 중국의 럭스쉐어(Luxshare Precision Industry)가 홍콩 증권거래소(HKEX)에 2차 상장을 신청했다. 럭스쉐어는 이번 상장을 통해 고객사 다변화와 기술 경쟁력 강화에 필요한 자본을 확보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20일 홍콩 증권거래소에 따르면 럭스쉐어는 18일(현지시간) HKEX에 상장 신청 서류를 제출했다. 럭스쉐어는 현재 중국 선전거래소에 상장돼 있으며, 이번에 HKEX에서는 2차 상장을 진행하게 됐다. 2차 상장은 기존에 상장된 거래소 외 새로운 거래소에 상장하는 것으로 자금조달, 시장 평가, 거래량 등 다양한 이유로 추진되고 있다. 2차 사장은 이미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1차 상장에 비해 심사가 상대적으로 덜 엄격해, 빠른 상장이 가능하다. 럭스쉐어는 중국 본토 기업 중 유일한 아이폰 조립 업체로, 에어팟과 비전프로 헤드셋 등 애플 제품을 다수 생산하고 있다. 럭스쉐어는 대만 위스트론(Wistron) 중국 쿤산 공장을 인수하며 아이폰 생산을 시작했다. 2024년 기준 아이폰 70% 가량은 폭스콘이 생산하고 있으며, 2대 생산업체인 럭스쉐어는 25%를 생산하고 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전자건강기록(Electronic Health Records, EHR) 솔루션 기업 에픽시스템즈가 마이크로소프트(MS)의 자회사와 손잡고 인공지능(AI) 기반 자동 문서 작성 도구를 출시한다. 에픽시스템즈가 뒤늦게 AI 기능을 추가하지만, EHR 시장 지배력을 앞세워 점유율을 빠르게 끌어올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20일 업계에 따르면 에픽시스템즈는 MS의 의료솔루션 자회사 뉘앙스(Nuance), 의료용 음성 인식 AI 솔루션 기업 에이브릿지(Abridge)와 손잡고 새로운 의료용 AI 자동 무선 작성 도구를 개발하고 있다. 의료용 AI 자동 무선 작성 도구는 AI스크라이브라고 불린다. 에픽시스템즈의 AI스크라이브는 기존 EHR 솔루션에 뉘앙스와 에이브릿지의 기능을 탑재하는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구체적인 작동 방식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에이브릿지의 AI 음성 필사 기능을 바탕으로, 자동으로 의료기록을 작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의료 전 과정에서 작성되는 문서를 자동으로 작성해주는 형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에픽시스템즈는 이미 일반적인 AI스크라이브 시장이 포화 상태에 있는만큼 더욱 강력한 자동화 솔루션이 필요하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