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모토로라가 개발한 세계에서 가장 얇은 군용 스마트폰의 티저가 공개됐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모토로라는 티저를 공개하고 MIL-STD-810 스펙을 갖춘 스마트폰을 출시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유료기사코드] 밀스펙은 군용으로 사용할 수 있을만큼의 내구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으로 갑작스럽 추락, 흔들림, 극심한 더위와 추위, 습기에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해당 스마트폰은 인도에서 출시될 예정으로 모델의 이름은 정확하게 공개되지 않았다. 업계에서는 지난해 9월 출시된 엣지 40 네오의 후속 모델인 '엣지 50 네오'일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는 미디어텍 디멘시티 7300이 탑재되며 8GB 램, 256GB 스토리지 또는 12GB 램, 512GB 스토리지가 장착될 예정이다. 두께는 8.1mm로 무게는 171g이다. 색상은 뉴티컬 블루, 라테, 그리자이유, 포인시아나 등 4가지 색상이 제공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모토로라가 세계에서 가장 얇은 밀스펙 스마트폰을 출시한다고 나선 가운데 알려진 사양보다 더 얇은 밀스펙 스마트폰의 출시도 예고되고 있다.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 오포는 오는 2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테슬라의 자체 인공지능(AI) 가속기 '도조 D1(Dojo D1)'을 적용한 슈퍼컴퓨터 클러스터의 모습을 공개했다. 테슬라는 도조 기반 슈퍼컴퓨터로 자율주행차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낸다. [유료기사코드] 머스크 CEO는 24일(현지시간) 자신의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도조 슈퍼컴퓨터 클러스터 사진을 공개했다. 해당 사진에는 도조 슈퍼컴퓨터의 전면부와 후면부의 모습이 담겨있다. 테슬라의 자체 AI 가속기인 도조 트레이닝 타일(Tesla Dojo Training Tile)은 대만 TSMC에서 생산됐다. 도조 트레이닝 타일은 총 25개의 칩이 단일 프로세서처럼 작동하도록 설계됐다. 25개의 칩이 탑재된 만큼 전력 소모량이 매우 커 정교한 냉각 시스템과 결합됐다. 테슬라는 도조 트레이닝 타일이 장착된 슈퍼컴퓨터를 올해 말부터 가동할 예정이다. 도조 슈퍼컴퓨터는 테슬라 자동차에서 수집된 비디오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율주행차 기술인 FSD(Full Self-Driving) 기술에 대한 훈련을 진행한다. 도조는 AI 머신러닝, 비디오 훈련 등에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테슬라가 도조 슈퍼컴퓨터를 가
[더구루=홍성일 기자] 프랑스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미스트랄AI(이하 미스트랄)가 플래그십 거대언어모델(LLM) 라지의 신규 버전을 공개했다. 미스트랄은 새로운 AI모델이 오픈AI, 메타의 최신 AI모델과 동등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유료기사코드] 미스트랄은 24일(현지시간) 새로운 플래그십 LLM '라지2'를 출시했다. 라지의 첫모델을 출시한지 5개월여만의 성과다. 라지2의 매개변수(파라미터)는 1230억개다. 미스트랄은 라지2가 이전모델보다 코드 생성, 수학 및 추론 기능이 강화됐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해당 부분의 능력은 오픈AI GPT-4o, 메타 라마 3.1 405B와 동등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일부 벤치마크에서는 라마 3.1 405B, 앤트로픽 클로드3 오퍼스보다 우수한 수치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미스트랄은 라지2가 함수 호출 및 검색 기능을 제공, 병렬 및 순차 함수 호출도 실행할 수 잇어 개발자들의 비즈니스 AI 애플리케이션 구축을 지원할 수 있게됐다고도 전했다. 여기에 AI모델의 가장 큰 문제 중 하나인 '환각' 문제도 최소화해 분별력도 향상시켰다고 밝혔다. 라지2는 한국어를 비롯해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
[더구루=홍성일 기자] 메타가 자사 혼합현실(XR) 헤드셋 '퀘스트'에 메타 AI를 출시한다. 애플이 비전프로에 '애플 인텔리전스'를 올해가 지나서 적용하겠다고 밝힌 상황에서 메타가 한 발 앞서가게 됐다는 평가다. [유료기사코드] 메타는 24일(현지시간) 메타 AI를 다음달 퀘스트 VR에 탑재한다고 발표했다. 이번에 출시되는 AI기능은 미국과 캐나다에서만 업데이트된다. 메타 AI는 지난해 공개된 이후 레이벤과 컬래버레이션한 메타 스마트 안경에 처음 탑재됐다. 이에 퀘스트 VR 헤드셋에도 메타 AI 적용은 시간 문제라는 분석이 많았다. 이번에 적용된 AI모델은 레이벤 스마트 안경에 적용된 '메타 AI 어시스턴트'를 기반으로 비전 기능인 '메타 AI 위드 비전'이 통합된 버전이다. 이에따라 퀘스트 VR 이용자는 카메라에서 보이는 물체에 대해서 AI에 질문할 수 있게 된다. 메타가 공개한 영상에 따르면 메타 AI는 테스터가 화면 밖에서 달려오는 개를 보고 "앞에 있는 물체가 뭐냐"고 질문하자 "개로 보인다. 또한 라운지 의자, 우산 등이 당신 앞에 있다"고 대답했다. 테스트는 이어서 "근처에 농구를 할 곳이 있냐"고 물었고 인접한 공원을 안내했다. 이외에도 하얀
[더구루=홍성일 기자] 애플이 혼합현실(MR) 디바이스 비전프로(Vision Pro)의 사용성을 강화하기 위한 신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애플은 저조한 비전프로 판매량을 반전시키기 위해 생태계 확장에 주력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미국특허청(USPTO)은 23일(현지시간) 애플이 출원한 '사용자 지정 손동작을 정의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defining custom hand gestures)' 특허를 공개했다. 해당 특허는 지난 2021년 7월 19일에 출원됐다. 이번에 공개된 특허에는 비전프로 이용자의 손짓을 인식, 저장해 다양한 기능과 동기화 시키는 기술이 담겼다. 이용자는 손짓만으로 통화 음소거, 특정 앱 열기 등 다양한 기능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해당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용자가 헤드셋에 기능 사용을 요청해야한다. 이용자가 비전프로에 해당 기능을 사용하겠다고 요청하면 헤드셋은 이용자에게 제스처 생성을 요청하고 이를 저장한다. 그리고 저장된 손짓을 이용자가 원하는 특정 기능과 연동하는 형태로 이용이 가능하다. 애플은 새로운 특허를 앞세워 저조한 비전프로 판매량 반전을 노린다. 비전프로는 높은 관심도와는 다르게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디어파사드 기업 캡티비전이 차입금 일부를 출자전환했다. 재무구조를 대폭 개편해 대차대조표를 강화하기 위한 차원에서다. 캡티비전은 23일(현지시간) 420만 달러(약 60억원) 규모의 미결제 부채를 자본으로 전환했으며 사모채권 발행을 통해 220만 달러(약 30억원)를 조달했다고 발표했다. 캡티비전은 이 과정에서 전액 출자 자회사인 캡티비전 코리아의 특정 채권자들과 미결제 채무를 보통주와 교환하는 대가로 출자하는 데 합의했다. 그 결과 캡티비전은 총 141만4895주를 주당 3.00달러의 전환가액으로 발행했다. 캡티비전 코리아는 주식 전환과 더불어 여러 투자자들과 채권 청약 계약을 체결해 총 220만 달러의 미등록 사모사채를 발행했다. 개리 개라브란트 캡티비전 회장은 “투자자들의 지속적인 지원에 감사를 표한다”며 “이러한 재무적 움직임이 회사의 미래 성공을 위한 발판이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캡티비전은 투명 유리에 영상 등 미디어를 재생하는 ‘G-글라스’ 기술을 보유한 미디어파사드 기업이다. 유리 사이에 발광다이오드(LED)를 삽입해 건물 외벽에서 직접 영상이 재생될 수 있도록 만든다. 독자적 아이디어로 제품화에 성공하며 국내외 시장
[더구루=홍성일 기자] NHN의 일본 클라우드 자회사인 'NHN테코라스'가 아마존 웹 서비스(AWS) 보안 인증을 획득했다. NHN테코라스는 생성형 인공지능(AI) 부문 보안 기술 지원도 강화, 서비스 확대에 속도를 낸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NHN테코라스는 최근 'AWS 보안 역량' 인증을 획득했다. NHN테코라스는 이번 인증이 AWS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한 일본 기업 중 최초라고 설명했다. NHN테코라스는 이번 인증을 통해 AWS로부터 보안 기술에 대한 전문성, 보안 솔루션 실적 등을 인정받았다. NHN테코라스는 기업들의 생성형 AI,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이용이 증가하고 있는 만큼 이들 분야에 대한 보안 기술 지원을 강화해 시장을 확대할 계획이다. NHN테코라스 측은 "생성형 AI 활용과 독립 소프트웨어 제공기업(ISV)의 사이버 보안 강화가 중요해지고 있다"며 "보안 지원을 위해 서비스를 더욱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NHN테코라스는 2000년부터 데이터센터·매니지드 호스팅 서비스 등을 전개해왔다. 2021년 11월에는 AWS 파트너 프로그램 'AWS 파트너 네트워크(APN)'의 최상위 레벨인 'AWS 프리미어 컨설팅 파트너'로 인증
[더구루=홍성일 기자] 넥슨 지주사 NXC 산하 가상자산거래소 비트스탬프가 2014년 파산한 마운트곡스 상환 프로세스에 앞서 테스트에 나섰다. 마운트곡스의 10년만의 상환에 비트코인 시세에 영향이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마운트곡스 트러스티(Mt. Gox Trustee)는 비트스탬프 내 4개 월렛에 1달러씩 입금했다. 이 사실을 처음 전한 블록체인 플랫폼 기업 '아캄 인텔리전스(Arkham Intelligence)'는 "이번 거래는 테스트 거래일 가능성이 높다"며 "비트스탬프는 마운트곡스 상환에 협력하는 5개 수탁 기관 중 한 곳"이라고 설명했다. 마운트곡스 트러스티는 테스트 이후 5000 비트코인을 비트스탬프로 이전했다. 마운트곡스는 일본의 암호화폐 거래소로 한 때 글로벌 비트코인 거래의 75%를 담당했던 곳이다. 하지만 2014년 2월 고객들이 맡겨둔 비트코인 75만개, 마운트곡스가 보유하고 있던 비트코인 10만 개 등 최대 95만개 비트코인이 해킹으로 도난당하며 파산 신청을 했다. 이로인해 마운트곡스에는 14만 여개의 비트코인이 묶여, 고객들에게 돌아가지 못하고 있었다. 이번에 마운트곡스 트러스티가 상환하려고 하는 비트코인은 10년
[더구루=정등용 기자] 구글이 인도 잠금화면 플랫폼 스타트업 글랜스(Glance)에 추가 투자를 추진한다. 지난 2020년 인도 디지털화 기금을 통한 투자에 이어 두 번째다. [유료기사코드] 2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글랜스는 기존 투자자인 구글이 주도하는 2억5000만 달러(약 3500억원) 규모의 펀딩 라운드에서 자본을 조달하기 위한 협상을 진행 중이다. 글랜스는 향후 수주 안에 자금을 조달한다는 계획이다. 다만 자금 조달 여부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며 협상 결렬 가능성도 여전히 배제할 수 없다. 글랜스는 인도의 거대 애드테크(Adtech·광고기술) 기업 인모비 그룹(InMobi Group)의 자회사로 지난 2019년 설립됐다. 글랜스 잠금 화면과 글랜스 홈 화면, 글랜스 폴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인도, 미국, 일본, 인도네시아 등 국가에 3억 명 이상의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다. 글랜스는 잠금화면에서 맞춤형 미디어 콘텐츠와 뉴스, 캐주얼 게임을 지원한다. 사용자는 스마트폰에서 글랜스가 제공하는 다양한 잠금화면 배경 화면을 이용할 수 있고 잠금화면을 소셜 플랫폼처럼 이용할 수 있다. 단순히 사진이나 링크만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동영상, 라이브 스
[더구루=홍성일 기자] 엔지니어링 부문 '40년 베테랑'인 빅터 펭(Victor Peng) AMD 사장이 일선에서 물러난다. AMD는 포스트 빅터 펭 시대를 준비하며 후임자를 발표했다. [유료기사코드] AMD는 23일(현지시간) 빅터 펭 사장이 내달 30일 은퇴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빅터 펭 사장은 남은 기간 자문 역할을 맡으며 후임자들에 인수인계를 진행할 예정이다. 빅터 펭 사장은 1982년 지금의 휴렛패커드(HP) 엔터프라이즈가 된 디지털 이퀴브먼트에 컨설팅 엔지니어로 입사하며 커리어를 시작했다. 디지털 이퀴브먼트에서 14년간 근무한 빅터 펭은 1997년 SGI의 수석 엔지니어로 합류한 후 1년만에 MIPS 테크놀로지로 이직했다. 2004년까지 MIPS 테크놀로지에 몸담았던 빅터 펭은 티제로 테크놀로지를 거쳐 2005년 AMD의 반도체 엔지니어링 부문 부사장으로 합류했다. 빅터 펭은 2008년까지 AMD에서 근무했으며 자일링스로 이직, 2018년에는 최고경영자(CEO) 자리에 올랐다. 빅터 펭은 2022년 AMD가 자일링스를 인수하며 14년만에 AMD로 복귀, 사장으로 인공지능(AI) 전략을 이끌어왔다. AMD는 빅터 펭의 지휘하에 프로그래머블 반도체(f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에 인수된 게임 스튜디오 베데스다 직원들이 노조를 만들었다. 베데스다 노조는 직원들의 직무 안정성, 공정한 보상 등을 위해 활동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23일 업계에 따르면 베데스다 소속 직원 241명이 노조를 만들었다. 이번 노조 결성은 엔지니어, 프로그래머, 디자이너 등 개발자들을 중심으로 이뤄졌다. MS는 베데스다 노조를 인정했다. 베데스다 노조는 6월 말 퀘벡 노동관계위원회에 노조 승인을 요청했으며 통신노동자조합(CWA) 산하에서 활동하게 됐다. 이번 노조 결성은 베데스다가 MS로 인수되면서 직원들의 목소리를 대변할 조직의 필요성이 부각되면서 진행됐다. 기존 모회사인 제니맥스에 비해 월등히 큰 규모를 가진 MS인 만큼 직원들의 뜻을 모아 대표성을 갖는 것이 협상 과정에서 필요할 것이라고 판단한 것이다. 특히 최근 MS가 제니멕스 산하 4개 스튜디오를 폐쇄하기로 결정하면서 노조 구성 움직임이 빨라졌다. 또한 MS가 액티비전 블리자드 인수과정에서 CWA와 노동 중립 협정을 체결한 것도 배경이 됐다. CWA는 MS가 액티비전 블리자드 인수를 발표하자 직원들의 단체 협상권을 요구하며 MS를 압박하고 나섰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펄어비스가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검은사막의 북미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오프라인 축제를 벌인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펄어비스는 다음달 24일(현지시간) 토론토에서 검은사막 온라인 오프라인 이용자 페스티벌 '어드벤쳐스 오아시스(Adventurer's Oasis)를 개최하기로 했다. 이번 행사는 누구나 참여 신청이 가능하며 선정된 인원은 무료로 행사에 참석할 수 있다. 어드벤처스 오아시스는 펄어비스가 글로벌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며 개최하기 시작했다. 북미 이용자들을 위한 행사로 현지 오피스를 통해 진행된다. 이번 페스티벌은 검은사막 온라인 이용자들의 커뮤니티 활동, 펄어비스 운영팀과 만남, 상품 증정 행사, 저녁 식사 등의 일정으로 구성됐다. 또한 행사 진행 모습은 영상으로 제작돼 유튜브 등을 통해 공개된다. 참가신청은 오는 28일까지 가능하며 등록 양식에서 요구하는 정보를 입력하면 신청이 가능하다. 한편 펄어비스는 지난 5월 검은사막 온라인 북미서버를 서부지역에서 중북부 지역으로 이전하는 등 서비스 강화에 나섰다. 펄어비스가 게임 서버 위치를 이전하는 것은 검은사막 온라인의 이용자가 주로 서부지역보다 동부 해안 지역과 중부 지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전기차 제조업체 루시드 모터스(Lucid Motors, 이하 루시드)가 첫 번째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그래비티(Gravity)’ 고객 인도를 실시한다. 지난해 12월 생산을 시작한 지 약 4개월 만이다. [유료기사코드] 5일 업계에 따르면 루시드는 이달 말 그래비티 고객 인도를 시작한다. 이는 마크 윈터호프(Marc Winterhoff) 루시드 임시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밝힌 내용이다. 그는 개인 SNS 계정을 통해 "전시 차량과 시승 차량 제작 마무리 단계를 거치고 있다"며 "4월부터 미국 내 주요 매장에 배치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닉 트워크(Nick Twork) 루시드 대변인 역시 "초기 그래비티 생산은 내부 테스트 등을 목적으로 일부 제한된 고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나 이제 일반 고객 인도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고 설명했다. 앞서 루시드는 지난해 12월 미국 애리조나 공장에서 그래비티 생산을 개시했으며, 같은 달 직원 및 가족, 일부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첫 차량을 인도한 바 있다. 그래비티는 루시드가 지난해 LA 오토쇼에서 처음 공개한 전기 SUV 모델이다. 전기 세단 ‘에어(Air)’에 이어 SUV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샤오미가 신형 증강현실(AR) 스마트 글래스를 출시했다. 샤오미는 신형 AR 스마트 글래스를 30만대 이상 출하해 메타 레이벤 스마트 글래스와 경쟁한다. [유료기사코드] 5일 업계에 따르면 샤오미는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를 공개하고, 크라우드 펀딩을 개시했다. 크라우드 펀딩은 오픈 당일 매진됐다. 정식 출시가(1199위안, 약 24만원)보다 20%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었던 것이 매진 이유라는 분석이다.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는 샤오미에서 자체 개발한 미지아 글래스앱을 통해 관리할 수 있다. 샤오미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은 이전 세대 모델에 비해 프레임이 더 얇아져 템플(안경 다리)의 두께가 5밀리미터(mm)에 불과하다. 무게는 27.6g이다. 샤오미는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에 1년간 개발한 힌지를 적용했다. 샤오미는 해당 힌지가 1만5000번을 굽혔다 펴도 정상적으로 작동했다고 설명했다. 프레임 옵션은 총 5가지 스타일이 제공되며 압력을 분산시키는 디자인을 적용해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에는 지능형 알고리즘이 적용된 4개 마이크가 장착돼 통화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