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노르웨이 국영 석유회사 에퀴노르(Equinor)가 이산화탄소(CO₂) 운반선을 개발한다. CO₂를 운반선에서 직접 주입해 처리 과정을 단축한다. [유료기사코드] 3일 업계에 따르면 에퀴노르는 선박 설계 디자인 브리즈 쉽 디자인(Breeze Ship Design)과 함께 해상 직접 분사 기능을 갖춘 CO₂ 운반선을 개발하고 있다. 그동안 에퀴노르의 노력은 이산화탄소 배출을 포집해 영구 저장을 위해 지하에 직접 주입하는 대신 처리 공장으로 운반하는 기술 발전에 집중됐다. 그러나 앞으로는 노르웨이 디자인 회사인 브리즈 쉽 디자인과 획기적인 파트너십을 통해 CO₂를 처리 공장으로 가져가는 단계를 건너뛰고 운반선에서 직접 주입할 수 있다. 엘리자베스 버클랜드(Elisabeth Birkeland) 에퀴노르 탄소 포집·저장 솔루션 부사장은 "에퀴노르의 직접 주입 개념은 CO₂ 선박 기반 운송과 주입 솔루션을 구현하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CO₂ 운반선은 4만t의 CO₂를 운반할 수 있으며 북유럽과 스칸디나비아에서 운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CO₂는 초임계(온도와 압력이 임계치를 넘어 액체와 기체를 구분하기 어려운 상태)로 포집해 저장을 하게 되는데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조선해양이 중남미 최대 규모의 해양전시회에 참가, 호위함을 선보이며 중남미 수출 기회를 확대한다. 2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조선해양은 지난달 29일부터 나흘간 칠레 발파라이소 항구 여객 터미널에서 열리는 중남미 최대 해군·방위 산업 회의 '엑스포나발 2022'에 참석해 호위함을 공개했다. 한국조선해양은 엑스포나발 2022에서 대수상전(ASuW), 대잠수함(ASW) 작전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HDF-3000/3100, HDF-3500, HDF-4000 시리즈 다목적 프리깃을 선보였다. 프리깃함은 일종의 호위함으로 해상작전을 수행하는 적의 잠수함을 방어하거나 정찰 등의 임무를 맡고 있으며 유도미사일이 장착된 프리깃도 있다. 한국조선해양이 엑스포나발 2022에 참가한 건 중남미 수출 기회를 얻기 위해서다. 한국조선해양의 함정 제조 기술력은 뛰어나다. 1975년 한국 최초의 국산 전투함 울산함 개발을 시작으로 40여 년 동안 이지스 구축함, 호위함, 초계함, 잠수함 등 수많은 함정을 자체 기술로 개발·건조해 해군에 공급했다. 광개토-Ⅲ Batch-Ⅱ 1·2번함 수주에 성공하며 국내 수상함 분야에서 입지를 강화했다. 지난 2016년에는 필리핀
[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제철이 기존 내진용 건축 강재에서 프리미엄 건설용 강재로 한 단계 도약했다. 현대제철은 지난 9월 사용 범위와 대상 품목을 확대해 H CORE를 '프리미엄 건설용 강재'로 재론칭했다고 1일 밝혔다. H CORE는 이제 건축 분야 뿐만 아니라 도로, 교량, 댐, 항만 등과 같이 사회 기반시설을 건설하는 토목분야, 반도체/화학 제품을 생산하는 시설인 플랜트, 전기를 생산하는 에너지 시설 등 건설산업의 전 분야를 대상으로 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형강, 철근, 후판, 강관, 열연냉연 제품으로 그 범위를 확대했다. 이는 현대제철이 H CORE를 통해 단순히 제품의 성능과 품질을 관리하는 것을 넘어 설계 단계부터 제작과 시공 단계까지 전 제작의 과정에 안전을 강화하겠다는 의미를 갖는다. 현대제철은 H CORE가 안전을 바탕으로 가장 안심하고 선택할 수 있는 최고급 강재라는 의미에서 "안전을 심은 철, 안심 H CORE"라는 슬로건을 전면에 내세웠다. 새로운 H CORE의 대표적 성능은 고강도, 내충격성, 내식성, 친환경성, 다양성을 들 수 있다. 고강도 제품은 범용 강재 대비 약 20~30% 높은 강도를 보유해 합리적인 강재량으로 구조적 안정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우조선해양이 러시아 선주 소브콤플로트와 쇄빙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공급계약을 해지한 가운데 자체 비용으로 선박 건조를 계속한다. 향후에 새 선주사를 찾아 판매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대우조선은 러시아 해운사인 소브콤플로트와 LNG 운반선 1척의 쇄빙LNG 운반선 공급 계약을 취소했다.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러시아가 금융 제재를 받아 선박 키트와 자재를 공급할 수 없자 대우조선이 선박 건조 취소를 통보한 것이다. 앞서 대우조선은 지난 2020년 10월 9일에 쇄빙 LNG 운반선 3척을 모두 8억5000만달러에 수주했는데 2척은 지난 5월과 6월 각각 계약해지 했다. 이로써 남아 있던 물량 모두 해지하게 됐다. 대우조선은 "서방 제재로 잔금을 받을 여지가 원천 봉쇄가 계약해지를 통보했다"며 "건조 중인 선박을 멈출수 없으니 자체 비용으로 건조한 뒤 선박을 필요로 하는 새 선주사를 물색한다"고 말했다. 한편 대우조선은 일본 미쓰이 OSK 라인(MOL)이 발주한 쇄빙 LNG 운반선 3척의 주문은 유지한다. 소브콤플로트와 동시에 주문한 물량으로 러시아 아크틱 LNG 2 프로젝트에 투입한다. 30년 정기 용선한다. M
[더구루=길소연 기자] 포스코가 인도네시아 정부의 국가 전력 생태계 강화 사업에 참여한다. 2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전력청(PLN)은 최근 국영 철강기업인 크라카타우스틸과 변압기용 규소강 생산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크라카타우스틸과 합작사를 운영하고 있는 포스코도 사업에 힘을 보탤 예정이다. 규소강은 철-실리콘 합금으로 다른 유형의 강철 합금보다 우수한 자기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전력 및 배전 변압기에서 전기 모터에 이르는 다양한 전기 기계에 최적화되어 있다. 변압기용 철심으로 널리 이용된다. 인도네시아는 최근 제조업 육성 등으로 전력 수요가 크게 늘면서 국가 전력망 확대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따라 변압기 등 관련 기자재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특히 인도네시아 변압기는 현지 부품이 26%에 불과할 정도로 해외 의존도가 높다. 새 변압기 부품 공급망 구축이 필요한 실정이다. 다르마완 프라소조 PLN 대표는 "해외 부품에 대한 의존도를 다루는 전력 생태계의 문제를 부인하지 않는다"며 "이를 위해 지난 2년 동안 제조 역량 개발을 강화했다"고 말했다. 그는 크라카타우스틸과 맺은 MOU를 바탕으로 규소강판 생산
[더구루=길소연 기자] 아프리카 첫 심해용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FLNG)를 성공적으로 건조한 삼성중공업이 또 다시 모잠비크에서 대형 계약 수주를 예고하고 있다. FLNG는 해상에서 천연가스를 채굴하고 액화·저장·하역까지 가능해 '바다 위 LNG플랜트'로 불린다. 육상플랜트에 비해 투자비가 적고 친환경적이며 이동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 2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모잠비크 제4해상광구 가스전 개발 사업권을 보유한 엑손모빌이 이곳에 추가로 투입할 FLNG 발주를 위해 건조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협상 대상자는 제4해상광구에 첫 번째로 배치된 FLNG인 '코랄 술'(Coral Sul)를 수주한 삼성중공업·테크닙·JGC 컨소시엄이다. 코랄 술 FLNG는 이들 3개 업체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지난 2017년 6월 이탈리아 에너지기업 에니(ENI)로부터 수주한 해양플랜트다. 삼성중공업은 선체 설계에서 시운전까지 전 공정과 톱사이드 생산 설계, 제작을 담당했으며, 자체 수행한 금액만 25억달러에 달하는 초대형 공사다. 코랄 가스전을 포함한 제4해상광구는 ENI와 미국 엑손모빌, CNPC의 합작사인 로부마 벤처가 지분 70%를, 한국가스공사·포르투갈 갈프 에네르지아·모
[더구루=길소연 기자] 인도네시아발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이 몰려온다. 인도네시아가 한국과 에너지 협력을 추진하고 있는 만큼 국내 조선소들의 수주가 기대된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국영 에너지기업 페르타미나는 30억 달러(약 4조원)를 투자, 선단 확충과 현대화를 추진한다. 페르타미나는 LNG 운반선을 확보하고 유조선과 액화석유가스(LPG) 운반선의 선령을 낮춘다는 계획이다. 위스누 산토소(Wisnu Santoso) 페르타미나 이사는 "선박을 교체하는 데 큰 투자를 할 것"이라며 "우리 함대의 평균 선령을 20년 정도에서 향후 5년~15년으로 줄이고 싶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오염이 적은 연료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해 LNG 운송을 검토하고 있다. 그는 또 "조선소가 최대 용량에 있으며 높은 수요로 인해 새 선박을 건조하는 데 비용이 많이 들 수 있음을 인정한다"며 "경제적 가치가 있는 한 중고 제품을 구매할 수 있다"고 전했다. 당초 페르타미나는 23척의 선박을 교체하기 위해 7년에 걸쳐 40억 달러를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그러다 30억 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당시에는 LNG 운반선의 야망이 없었다. 페르타마나가 LNG 운반선 시
[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미포조선 베트남 자회사 현대베트남조선이 1144억원 규모의 석유화학제품선(PC선) 2척을 수주한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베트남조선은 싱가포르 선사의 EPS(East Pacific Shipping)로부터 8600만 달러 규모의 5만DWT급 PC선 2척을 수주했다. 신조선은 2025년 인도할 예정이다. 현대베트남조선의 수주로 EPS가 주문한 PC선은 총 6척으로 늘어났다. 나머지 4척은 중국의 뉴타임즈쉽빌딩(New Times Shipbuilding)에서 건조되고 있다. 이들 4척은 2025년 인도될 예정이다. EPS는 유조선, 건화물선, 컨테이너선 부문에서 큰 입지를 확보하고 있다. 200척 이상의 선박을 통제하며 이중 연료 선박은 74척이다. PC선은 16척 있다. PC선은 정제유, 원료 등 운송 및 산업공정에 필요한 필수 화물을 운송하는 선박이다. EPS는 최근 친환경 연료 선박 건조로 탈탄소화를 앞당기 위해 암모니아 추진선을 발주하기로 했다. 현대중공업에 암모니아 이중 연료 가스 운반선을 발주하기 위해 싱가포르 해양항만청(MPA), 미국해운국(ABS) 등과 암모니아 이중 연료 가스 탱커에 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의 신조선 외 중고선 구매 가격도 오르고 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LNG 수요가 크게 늘면서 중고선 매입이 크게 증가한 탓이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러시아 선주인 소브콤플로트(Sovcomflot, SCF 그룹)는 관리하는 2년 된 LNG 운반선에 대한 판매 협상이 진행 중이다. 구매자가 17만4100CBM급 SCF 라 페루즈(La Perouse, 2020년 건조)를 확보하기 위해 2억8000만 달러(약 3750억원)에서 2억8200만 달러(약 3770억원) 가격 협상을 진행중이다. 구매자는 레바논, 리비아, 터키, 그리스에 기반을 둔다. 라 페루즈는 프랑스 에너지 대기업인 토탈 에너지에 대한 7년 전세 계약에 따라 하루에 6만 달러 미만의 요금으로 건조됐다. 글로벌 선사들은 주로 선대 확충을 위해 중고선을 매입한다. 스위스 메디터레이니언 쉬핑(Mediterranean Shipping Company, MSC)이 선복량 증대를 위해 새로운 지역 서비스를 업그레이드하거나 시작하기 위해 중고선 구매를 하고 있다. <본보 2022년 10월 15일 참고 '해운공룡' MSC, 선대 확충…중고선 구매&g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선급(KR)이 프랑스 인증기관인 뷰로베리타스(Bureau Veritas, 이하 BV)와 협력해 한국 부유식 해상풍력 프로젝트를 인증한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선급은 BV와 협력해 울산에 있는 바다에너지의 귀신고래 3 부유식 해상 풍력 발전 단지의 프로젝트 인증을 이끈다. 이번 인증에는 기본설계(FEED) 검토를 포함해 전체 부유식 해상 풍력 발전 단지의 적합성 평가와 설계, 제조, 운송, 설치 및 운영과 관련된 적합성 평가가 포함한다. 울산 앞바다에 조성되는 부유식 해상풍력단지 중 세계 최대 규모가 될 1.5GW 규모의 '귀신고래 프로젝트'는 환경을 되찾고 귀신고래가 한국을 되찾아 오도록 하자는 취지가 담겨 있다. 이중 울산 귀신고래 3호는 온산항으로부터 60~70km 떨어진 해상에 약 504MW 규모의 풍력발전 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해상풍력으로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온실가스를 감축한다. 그린인베스트먼트그룹(GIG)의 글로벌 해상풍력 전문회사인 코리오 제너레이션(Corio)과 글로벌 종합에너지기업 토탈에너지스(TotalEnergies)가 울산에서 추진 중인 3개의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사업 중 하나이다. 1년 전 코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상무부는 자국 산업 경쟁력을 위해 한국산 대구경(LD) 용접 파이프에 대한 관세를 물린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와 산하 미국 국제무역청(ITA)은 지난 2020년 5월 1일부터 2021년 4월 30일까지의 검토 기간 동안 한국산 용접 파이프 수입에 대한 최종 결과를 발표했다. 상무부는 한국산 대상 품목이 검토기간 동안 정상가 이하로 판매했다고 판단하면서도 현대RB만 정상가 이하로 판매하지 않았다며 관세를 부과한다. 이에 상무부는 현대RB는 비심사 업체와 마찬가지로 2.67%의 가중평균덤핑마진을 내렸다. 현대제철은 0.00%로 부과했다. 각 부서에서 예선을 변경하지 않았기 때문에 공개할 수정된 마진이 없다. 최종 반덤핑 관세는 지난 16일부터 적용됐다. 현대RB는 1999년 창립 이래 고객의 니즈를 충족해왔다. △롤 벤딩 SAW 파이프 라인 △JCO 프레스 벤딩 SAW 파이프 라인 △코팅 생산 라인 △스파이럴 파이프 라인 등을 생산한다. 연간 18만t의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다양한 대량 생산 주문과 맞춤형 주문 요청을 처리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우조선해양이 노르웨이 해양시추업체 노던드릴링의 자회사 웨스트 아퀼라가 반소한 드릴십(심해용 원유 시추선) 매각에 성공하면서 악재를 해소했다. 재고자산으로 보유 중이던 드릴십 매각이 최종 성사면서 매각 대금 확보는 물론 인수합병 작업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대우조선은 최근 세계 최대 해양 석유탐사기업인 트랜스오션의 합작 투자사 '리퀼라 벤처스'(Liquila Ventures Ltd)과 드릴십 '헐(Hull) 3623'을 2억 달러(약 2673억원)에 판매하는 계약에 합의했다. 헐 3623은 고사양의 1400t급 후크로드 초심해 드릴십이다. 7세대 이중 활동 시추선은 데크 공간이 넓고 적재 용량이 높으며 이중 스택이 준비되어 있다. 내년 3분기에 인도할 예정이다. 드릴십을 산 트랜스오션은 유정과 가스정을 위한 해상 계약 시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세계적인 선도 기업이다. 특히 심해와 열악한 환경 시추 서비스에 중점을 둔 글로벌 해양 시추 사업에서 가장 높은 사양의 해상 시추 선단을 운영한다. 대우조선은 이번에 매각될 드릴십을 제외하고 3척의 드릴십 재고 중 2척은 인도할 선주사가 정해졌고, 대금도 70% 가량 납입이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전기차 제조업체 루시드 모터스(Lucid Motors, 이하 루시드)가 첫 번째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그래비티(Gravity)’ 고객 인도를 실시한다. 지난해 12월 생산을 시작한 지 약 4개월 만이다. [유료기사코드] 5일 업계에 따르면 루시드는 이달 말 그래비티 고객 인도를 시작한다. 이는 마크 윈터호프(Marc Winterhoff) 루시드 임시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밝힌 내용이다. 그는 개인 SNS 계정을 통해 "전시 차량과 시승 차량 제작 마무리 단계를 거치고 있다"며 "4월부터 미국 내 주요 매장에 배치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닉 트워크(Nick Twork) 루시드 대변인 역시 "초기 그래비티 생산은 내부 테스트 등을 목적으로 일부 제한된 고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나 이제 일반 고객 인도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고 설명했다. 앞서 루시드는 지난해 12월 미국 애리조나 공장에서 그래비티 생산을 개시했으며, 같은 달 직원 및 가족, 일부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첫 차량을 인도한 바 있다. 그래비티는 루시드가 지난해 LA 오토쇼에서 처음 공개한 전기 SUV 모델이다. 전기 세단 ‘에어(Air)’에 이어 SUV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샤오미가 신형 증강현실(AR) 스마트 글래스를 출시했다. 샤오미는 신형 AR 스마트 글래스를 30만대 이상 출하해 메타 레이벤 스마트 글래스와 경쟁한다. [유료기사코드] 5일 업계에 따르면 샤오미는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를 공개하고, 크라우드 펀딩을 개시했다. 크라우드 펀딩은 오픈 당일 매진됐다. 정식 출시가(1199위안, 약 24만원)보다 20%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었던 것이 매진 이유라는 분석이다.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는 샤오미에서 자체 개발한 미지아 글래스앱을 통해 관리할 수 있다. 샤오미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은 이전 세대 모델에 비해 프레임이 더 얇아져 템플(안경 다리)의 두께가 5밀리미터(mm)에 불과하다. 무게는 27.6g이다. 샤오미는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에 1년간 개발한 힌지를 적용했다. 샤오미는 해당 힌지가 1만5000번을 굽혔다 펴도 정상적으로 작동했다고 설명했다. 프레임 옵션은 총 5가지 스타일이 제공되며 압력을 분산시키는 디자인을 적용해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에는 지능형 알고리즘이 적용된 4개 마이크가 장착돼 통화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