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플러그파워'가 테네시주 수소 공장 가동을 재개한다. 탄탄한 수소 생산능력을 확보해 주요 공급원으로서 입지를 공고히 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포윈이 포르투갈 최대 에너지 기업 갈프(Galp)와 태양광 연계 에너지저장장치(ESS)를 성공적으로 설치했다. 유럽에서의 첫 ESS 사업이다. 추가 사업 기회를 노리며 2030년 90GWh 규모로 커질 유럽 ESS 시장을 공략한다. 11일 포윈에 따르면 이 회사는 갈프와 포르투갈 최남단 지역인 알가르브에 5㎿ 규모 태양광 발전소와 연동된 20MWh ESS를 설치했다. 이는 포윈이 유럽에 구축한 첫 ESS다. 갈프가 이베리아 반도에서 운영 중인 1.5GW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 중에서 ESS와 연동한 사례도 이번이 처음이다. 제프 워터스 포윈 최고경영자(CEO)는 "마드리드에 사무소를 개설한 후 유럽에서의 첫 프로젝트"라며 "유럽은 2030년까지 90GWh 이상의 유틸리티급 ESS 프로젝트를 전개할 것으로 예상되며 우리는 이를 지원할 좋은 위치에 있다"고 강조했다. 유럽은 2050년 탄소중립 달성과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에너지 안보를 강화하면서 재생에너지 보급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친환경 에너지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불안정한 전력 수급을 해소하기 위해 ESS 설치도 늘고 있다. 코트라에 따르면 가정·기업용 ESS는 2015년
[더구루=길소연 기자] 캐나다 광산회사 사우스스타 배터리 메탈스(SouthStar Battery Metals, 이하 사우스스타)'가 브라질 흑연광산을 확장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북미 최대 폐배터리 재활용 회사 라이사이클이 독일 물류 기업으로부터 폐배터리를 공급받는다. 독일 거점을 활용해 재활용을 추진하고 유럽 시장을 본격 공략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희토류 가격이 올해 하반기부터 상승세로 돌아설 것으로 보인다. 전기차와 풍력 터빈 수요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중국은 생산 증가가 더뎌서다. 네오디뮴-프라세오디뮴(NdPr) 산화물은 공급 부족이 예상된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캐나다 '나노원 머티리얼즈(Nano One Materials, 이하 나노원)'가 양극재 상용화 로드맵을 차질없이 이행하고 있다고 자신했다. 일정대로 상업 생산을 개시, 북미 배터리 공급망 핵심 기업으로 자리 잡는다는 포부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EVE에너지가 인도 그린풀에너지(Greenfuel Energy)와 배터리 사업에 협력한다. 배터리셀을 공급해 팩으로 만들고 인도 고객사에 납품한다. 성장성이 높은 인도 시장을 잡아 중국을 넘어 세계적인 배터리 회사로 거듭난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피드몬트리튬이 전체 임직원의 약 3분의 1을 해고하는 대규모 구조조정을 단행했다. 전기차 산업 부진이 리튬 가격 하락으로 이어지자 비상경영 체제에 돌입한 것이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삼성SDI가 캐나다니켈(Canada Nickel Co) 지분을 성공적으로 인수했다. 세계 2위 니켈 매장지인 온타리오주 광산에서 채굴한 니켈을 확보해 배터리 광물 수급을 안정화한다. 캐나다니켈은 삼성SDI가 지분 투자를 완료하며 1850만 달러(약 250억원)를 조달했다고 6일(현지시간) 밝혔다. 삼성SDI는 주당 1.57캐나다달러(약 1500원)에 총 1660만주를 취득했다. 보유 지분은 8.7%다. 삼성SDI는 올해 초 캐나다니켈과 지분 투자 계약을 체결했다. 캐나다 증권거래소의 허가를 거쳐 지분 인수를 완료하며 니켈 공급망을 강화했다. 캐나다니켈은 2019년 설립됐다. 온타리오주 티민스에서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니켈 매장지를 개발하는 크로포드 프로젝트 지분을 100% 보유하고 있다. 광산 개발 과정에서 환경 영향을 최소화해 탄소 중립 니켈(NetZero Nickel™) 생산을 추진하고 있다. 삼성SDI는 지분 투자를 통해 크로포드에서 생산한 니켈의 10%를 1억50만 달러(약 1300억원)에 확보할 권리를 갖게 됐다. 필요시 가격 협의를 거쳐 15년간 크로포드 니켈 생산량의 20%를 추가로 받을 수 있다. 니켈은 배터리 에너지밀
[더구루=오소영 기자] 귀금속 회수·정제 전문업체인 희성피엠텍이 아랍에미리트(UAE)에 투자금을 쏟아 신공장을 열었다. 북미와 유럽, 아시아 등에서 인정받은 기술력을 토대로 중동 시장에 진출하고 희귀금속 공급에 나선다. 5일(현지시간) 샤르자 국제공항 자유무역지대(SAIF Zone)에 따르면 희성피엠텍은 이날 UAE 샤르자 소재 SAIF Zone에서 귀금속 회수정제 공장 개소식을 열었다. LG전자 사장 출신인 정도현 희성그룹 부회장과 정경오 희성피엠텍 대표이사, 사우드 살림 알 마즈루 SAIF Zone 디렉터 등이 참석했다. 신공장 오픈을 기념해 리본 커팅식을 갖고 내부 시설을 둘러봤다. 희성피엠텍은 1단계로 약 400만 디르함(약 14억원)을 투자해 6500ft² 규모의 부지에 공장을 지었다. 신공장을 활용해 중동으로 사업 영토를 넓힐 계획이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케미칼앤머티리얼스는 세계 폐촉매 재활용 시장은 2027년까지 연평균 4.53%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희성피엠텍의 주력 품목인 백금 계통의 희귀금속 로듐은 자동차 환경 규제로 배기가스 저감장치 수요가 늘며 몸값이 비싸지고 있다. 가솔린 차량 한 대에 1g 정도 들어가는 로듐은 동일한 중량
[더구루=정예린 기자] 캐나다 넥스트소스 머티리얼즈(NextSource Materials, 이하 넥스트소스)가 조만간 마다가스카르 흑연 광산 상업 생산을 개시한다. 2단계 증설도 순항하며 파트너사인 포스코인터내셔널의 글로벌 흑연 공급망이 탄탄해질 전망이다. 넥스트소스는 5일(현지시간) 오는 6월부터 장기구매계약(오프테이크)을 체결한 고객에 마다가스카르 남부 톨리아라주에 위치한 몰로 광산에서 확보한 흑연정광을 첫 인도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작년 6월 시범 생산에 돌입한지 1년여 만이다. 넥스트소스는 오는 7월 흑연 처리 공장 1단계 연간 생산능력 1만7000톤(t)을 갖추고 풀가동 체제에 돌입한다. 4월 내 장비 교체를 마치고 6월까지 생산량 목표 달성을 위해 램프업에 박차를 가한다. 지난해 12월 흑연정광 연간 생산능력을 2단계 12만t까지 확장하기 위한 타당성 조사도 마쳤다. <본보 2023년 12월 13일 참고 넥스트소스, 마다가스카르 2단계 흑연 생산 기반 마련...포스코인터 공급망 '청신호'> 넥스트소스의 흑연 광산 개발 계획이 순항하면서 포스코인터내셔널의 원재료 공급망 구축 전략에도 청신호가 켜졌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작년 8월 넥스트소스
[더구루=오소영 기자] SK온이 미국 음극재 파트너사 웨스트워터 리소스(Westwater Resources, 이하 웨스트워터)로부터 천연흑연을 공급받는다. 미국산 흑연을 확보해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대응한다. 웨스트워터는 5일(현지시간) SK온과 천연흑연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앨라배마주 켈린턴 소재 정제 공장에서 생산한 천연흑연을 공급한다. 공급 물량과 기간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최소 구매 수량은 정해졌다. 계약 마지막 해 SK온이 공급받을 물량은 1만톤(t)으로 예상된다. 이번 협력은 작년 5월 체결한 음극재 공동 개발 파트너십의 연장선이다. SK온은 웨스트워터에서 정제한 흑연으로 음극재를 개발하고 SK온의 배터리에 적용하기로 했었다. 음극재에 이어 음극재 원재료인 천연흑연 구매에 나서며 협력을 강화한다. 1977년 설립된 웨스트워터는 미국 앨라배마주에 1억7000만㎡에 달하는 쿠사 흑연 매장 지대의 탐사·채굴권을 보유하고 있다. 인근에 7500t 규모의 흑연 정제 공장도 운영하며 배터리 광물 시장에 본격 진출했다. 첫 고객사로 SK온과 계약을 맺으며 수익을 본격적으로 창출하게 됐다. 흑연은 음극재에 필요한 핵심 원재료다. 현재 음극재 비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