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한아름 기자] 이스라엘 바이오벤처 바이옴엑스(BiomX)가 낭포성섬유증 치료제 'BX004'의 1b/2a상 파트2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확인했다고 5일 밝혔다. 바이옴엑스는 미국 식품의약국(FDA) 등 규제 당국에 이번 임상 결과를 제출해 피드백을 받고, 추가 임상을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추가 자금을 확보해 임상 2b/3상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2018년 바이옴엑스에 투자한 종근당과 한독이 성과를 거둘 것으로 관측된다. 앞서 BX004는 지난 8월 FDA로부터 신속 심사 대상(Fast Track designation)을 획득하며 업계의 기대를 모은 바 있다.
[더구루=한아름 기자] 중국계 생명공학회사인 에베레스트 메디신(Everest Medicines)이 면역글로불린A 신장병증(IgAN) 치료제 '네페콘'(Nefecon)의 한국 신약 허가 신청서(NDA)를 접수했다. 네페콘은 미국에서 '타르페요', 유럽에서 '킨페이고'라는 제품명으로 승인을 취득한 최초의 IgAN 치료제이다. 전 세계 원발성 사구체질환 발병률이 가장 높은 중국에서 승인을 취득함에 따라 사용이 크게 확대될 전망이다.
[더구루=이연춘 기자] 셀트리온이 '유럽망막영상학회(FLORetina–ICOOR 2023)' 학술대회를 통해 안과질환 치료제 '아일리아(EYLEA, 성분명: 애플리버셉트)' 바이오시밀러 'CT-P42'의 글로벌 임상 3상 결과를 발표했다. 유럽망막영상학회는 망막질환과 관련한 연구와 치료법 등 최신 지견을 공유하는 국제학회로 현지시간 기준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3일까지 나흘간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렸다. 4일 셀트리온에 따르면 학술대회 셋째 날 '당뇨병성 황반부종(DME)에서 대조 애플리버셉트와 비교한 CT-P42의 효능 및 안전성'을 주제로 스페인, 헝가리, 체코 등 총 13개국의 환자 348명 대상 24주 글로벌 3상 결과를 구두 발표했다. 임상에서 셀트리온은 CT-P42 투여군과 오리지널 의약품 투여군을 무작위 배정, 1차 평가지표에서 최대 교정시력(BCVA)[1]의 8주차 변화가 동등성 범위(±3 글자, letter) 내에 있는 것을 확인했다. 그 외 24주차까지의 다른 2차 유효성 평가변수 뿐 아니라 안전성, 면역원성에서도 오리지널 의약품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 같은 임상 3상 결과를 바탕으로 셀트리온은 CT-P42의 글로벌 시장 진출에 속도를
[더구루=한아름 기자] LG화학 손자회사 아베오 온콜로지(AVEO Oncology·이하 아베오)가 '미국 매사추세츠주에서 일하기 좋은 기업'에 2년 연속 선정됐다. △기업 비전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등에서 호평받았다. 아베오에 대한 호감도가 오르면서 미국에서 LG화학의 브랜드 가치 상승 효과를 톡톡히 누릴 것으로 보인다. 미국 3대 일간지 중 하나인 보스턴 글로브(Boston Globe)는 1일 아베오를 미국 매사추세츠주에서 가장 일하기 좋은 기업으로 선정했다. 이는 보스턴 글로브가 380개 기업에서 근무 중인 임직원 10만명을 대상으로 △리더십 △기업 비전 △사회적 책임 등을 설문 조사한 결과다. 보스턴 글로브는 아베오에 대해 "지역사회 취약계층을 위해 꾸준히 사회적 책임을 이행하고 있다"며 "윤리 경영 실천에 앞장서고 있는 만큼 임직원의 자부심이 높아져 성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평가했다. 앞서 아베오는 지난해 LG화학과 함께 허리케인 '이언'과 '니콜'로 피해를 당한 플로리다 주민들에게 응급 처치 키트를 증정했다. 미국프로야구(MLB)팀 보스턴 레드삭스와 손잡고 2년 연속 암 환자를 위한 모금 운동 '스트라이크 아웃 캔서'(Strike
[더구루=홍성환 기자] 인콘의 미국 자회사인 자이버사테라퓨틱스(ZyVerSa Therapeutics)가 주식 병합(역분할)을 추진한다. 주가를 높여 나스닥 상장 요건을 준수하기 위한 조치다.
[더구루=이연춘 기자] 대웅제약이 36호 국산 신약 '엔블로'를 러시아와 독립국가연합(CIS)에 수출한다. 대웅제약은 러시아 및 독립국가연합 지역 총 6개국에 대한 엔블로(성분명 이나보글리플로진) 수출 계약을, 러시아 제약기업 파마신테즈(JSC Pharmasyntez)와 맺었다고 1일 밝혔다. 계약 규모는 기술료를 포함해 약 6000만 달러(한화 771억원)다. 대웅제약은 파마신테즈를 통해 현지 임상 3상을 완료하고 빠르게 엔블로를 공급할 계획이다. 파마신테즈는 러시아 외에 독립국가연합의 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벨라루스∙아제르바이잔∙아르메니아 등 5개 나라에 판매한다. 파마신테즈는 러시아에서 다섯 손가락에 꼽히는 제약사로 러시아와 CIS 전역에 유통공급망을 갖고 있다. 국내 최초 SGLT-2 억제제 '엔블로'는 올해 5월 국내 출시 후 반년 만에 글로벌 8개 국가로 빠르게 확장하고 있다. 이번에 진출하는 러시아∙CIS 당뇨의약품 시장은 2021년 약 9000억원(아이큐비아 자료)으로 추산되며 이중에서도 SGLT-2 억제제 계열은 약 1400억원이다. 특히 이 지역의 SGLT-2 억제제 계열은 2019년 이후 연평균 성장률 32%를 기록할 정도로 성장세가 높다
[더구루=이연춘 기자] 셀트리온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미국 식품의약국(이하 FDA)에 골다공증 치료제 '프롤리아-엑스지바(성분명: 데노수맙)'바이오시밀러 'CT-P41'의 품목허가 신청을 완료했다. 셀트리온은 CT-P41의 글로벌 임상 3상 결과를 바탕으로 골다공증, 골소실, 다발성 골수종 및 고형암 골 전이로 인한 골격계 합병증 예방, 골거대세포종 등 오리지널 제품인 프롤리아(Prolia)와 엑스지바(Xgeva)가 미국에서 보유한 전체 적응증(Full Label)에 대해 품목허가를 신청했다. 미국에 이어 유럽 등 글로벌 주요 국가에서도 순차적으로 허가를 신청한다는 계획이다. 셀트리온은 지난 10월 폴란드, 에스토니아 등 총 4개국에서 골다공증이 있는 폐경기 여성 환자 477명을 대상으로 글로벌 임상 3상을 진행해 오리지널 의약품 대비 동등성 및 약력학적 유사성을 확인한 바 있다. 셀트리온은 개발 과정부터 FDA 및 유럽의약품청(EMA)과 지속적으로 협의해 해당 글로벌 임상 3상 결과를 바탕으로 CT-P41이 프롤리아와 엑스지바의 바이오시밀러로 동시에 승인받을 수 있도록 글로벌 개발 프로그램을 설계했다. 미국 내 CT-P41의 허가가 완료되면 상호교환성
[더구루=한아름 기자] 미국 마이크로바이옴(장내미생물) 개발 기업 '베단타 바이오사이언스'(Vedanta Biosciences·이하 베단타)가 유럽에서 네슬레 등을 대상으로 한 특허 방어전에서 승기를 잡았다. 베단타의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관련 기술력과 독창성을 공식 인정받았다는 평가다.
[더구루=한아름 기자] 국내 바이오기업 메타포어가 대만 제약사와 협업해 엑소좀 시장 공략에 나선다. 엑소좀은 줄기세포 배양액에서 분리·정제한 '세포외 소포'(Extracellular Vesicle)로 △피부 재생 △미백 △주름 개선 △염증 억제 △항산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의료 업계에서는 필러 등 미용의료기기에 엑소좀을 넣어 상업화를 진행하고 있다. 대만 제약사 바이오넷(Bionet·訊聯)은 27일(현지시간) 메타포어와 엑소좀 공동 개발 관련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 메타포어·바이오넷은 이번 파트너십으로 엑소좀 원료 생산을 확대하고 엑소좀 기반 스킨케어 제품을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국내를 시작으로 △일본 △인도네시아 △미국 등 시장을 확장할 예정이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메타포어의 경쟁력이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메타포어는 지난 2018년 설립한 바이오기업으로, 엑소좀 필터 'XOSOM'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엑소좀을 정밀한 크기로 분리할 수 있고 물리적 스트레스·생화학적 변성을 최소화해 추출 효율(수득률)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와 함께 지난해 에는 유니스트의 '백혈병 초정밀 바이오 연구단'에 참여하며 백혈병 진단키트·치료제
[더구루=한아름 기자] 베트남 제약사 이멕스팜(Imexpharm)이 일하기 좋은 기업으로 선정됐다. 연봉·복지·사내문화 등 에서 호평을 받았다. 이멕스팜은 SK그룹이 최대 주주로 있는 기업인 만큼 SK의 브랜드 인지도 역시 제고될 것으로 기대된다. 28일 베트남 기업 컨설팅 기업 '안파베'(Anphabe)에 따르면 이멕스팜이 베트남 최고의 직장 제약·의료기기·헬스케어 부문 기업에 선정됐다. 이는 안파베가 사업 규모나 영역 등 외부 조건 없이 기업 임직원 6만3000명을 대상으로 △연봉 △복지 △사내 문화 45개 항목을 설문 조사한 결과다. 이멕스팜은 올해 베트남 일하기 좋은 기업 톱 100중 54위를 기록했다. 지난해보다 5계단 상승했다. 이멕스팜의 브랜드 인지도는 81.5%로, 업계 평균(76.5%)을 훌쩍 넘었다. 이멕스팜에서 일하고 싶다고 응답한 비율 역시 업계 평균보다 10% 높았다. 안바페는 대해 "이멕스팜은 임직원들을 깊이 배려하고 소속감을 느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실제 이멕스팜은 임직원 복지·교육 부문에서 독보적인 성과를 이뤄내고 있다. 올해에만 약 외부 교육 100건, 내부 교육 3000건 이상을 진행하며
[더구루=이연춘 기자] JW홀딩스가 몽골 아시아파마(AsiaPharma LLC)에 3체임버 종합영양수액제 '위너프 센트럴 736·1085㎖(이하 위너프)'를 본격 수출한다. JW그룹의 글로벌 사업을 담당하는 JW홀딩스는 2021년 12월 아시아파마와 위너프에 대한 몽골 시장에서의 독점 공급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28일 JW홀딩스에 따르면 지난 2002년 설립된 아시아파마는 21년간 다양한 의약품과 의료기기를 수입해 유통하고 있으며 현지 종합영양수액제 유통 경험도 보유한 상위 제약사다. 아시아파마는 지난해 12월 몽골 식약처(Ministry of Health)로부터 위너프의 품목 허가를 받고 이달부터 현지 판매에 공식 돌입했다. 위너프는 JW생명과학이 개발한 종합영양수액제로, 하나의 용기를 3개의 체임버로 구분해 정제 어유(Fish oil)를 비롯한 지질 4종, 아미노산, 포도당 등 영양소를 간편하게 혼합해 사용하는 제품이다. 기존 종합영양수액제보다 환자의 면역력 향상과 회복을 촉진하는 오메가3와 오메가6 지방산 함유량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국내에서는 JW중외제약이 판매를 담당하고 있다. 2013년 국내 출시 이후 종합영양수액제 시장에서 1위 자리를 유지
[더구루=한아름 기자] 셀템제약이 코스메틱 브랜드 '퍼센트 사이언스'의 일본 공략에 고삐를 죈다. 먼저 온라인 유통 플랫폼에 입점해 브랜드 인지도를 쌓고 내년부터 오프라인 사업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퍼센트 사이언스는 지난해 11월 국내 론칭한 고효능 코스메틱 브랜드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셀템제약 퍼센트 사이언스가 일본 전자상거래 업계 점유율 1위인 아마존재팬에 입점한다. 앞서 큐텐 재팬에 입점한 이후 재구매율이 높고 호평이 이어지면서 판매 채널을 확대했다는 설명이다. 내년 상반기에는 오프라인 시장에 진출한다는 계획이다. 고객이 직접 써볼 수 있는 체험 공간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다만 오프라인 매장에 입점할 라인업은 온라인 제품과 차별화를 둘 예정이다. 셀템제약은 퍼센트 사이언스의 '덱시놀-16.3' 제품력을 알려 마케팅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덱시놀-16.3 라인업은 △저자극 피지각질 제거 부스터 △펩타이드 세럼 △크림 등으로 구성돼 있다. 여드름성 피부 트러블을 개선하는 데 효과적이다. 악성 피지와 붉은 여드름 자국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어 퍼센트 사이언스가 피부과·성형외과뿐 아니라 백화점·면세점에도 공급되는 고효능 코스메틱 브랜드라는 점도 강조
[더구루=홍성일 기자] 테슬라가 주요 신제품 양산을 앞두고 대규모 채용에 나섰다. 테슬라는 내년에 완전자율주행 로보택시 제품을 출시하며,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는다는 목표다. 일각에서는 규제에 의해 일부 계획이 변경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인공지능(AI) 기업 실드AI(Shield AI)가 차세대 AI 기반 무인 스텔스 전투기를 한국 판매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 실드AI는 유사시 한반도 연안 도서를 방어하는데 차세대 무인 수직이착륙(VTOL) 스텔스 전투기 'X-뱃(X-BAT)'의 탁월한 능력이 발휘될 것이라고 소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