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손재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사장이 영국에서 앤마리 트리벨리안(Anne-Marie Trevelyan) 외무부 인도·태평양담당 부장관과 회동했다. 손 사장은 앤마리 부장관과의 만남을 통해 한국의 방위산업 역량을 설명하는 한편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강점과 영국과의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손 사장은 12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에서 열리는 글로벌 방산전시회(DSEI)에서 앤마리 부장관을 만났다. 이날 만남은 앤마리 부장관이 직접 자신의 소셜미디어(SNS)에 손 사장과 찍은 사진을 올리면서 공개됐다. 현직 보수당 베릭 어폰 트위드(Berwick-upon-Tweed) 하원의원이기도 한 앤마리 부장관은 지난해 10월 외무부 부장관에 임명돼 인도·태평양 업무를 총괄하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현재 영국 차세대 자주포 MFP(Mobile Fires Platform) 획득 사업을 진행 중이다. 이날 만남에서 손 사장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강점을 적극 어필하는 한편 영국 방위산업에 있어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역할을 피력했을 것으로 보인다. MFP 사업은 1조2000억원 규모로 진행된다. 영국 주력 자주포 AS90을 대체할 차세대 자주포 1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MFP(Mobile Fires Platform) 획득 사업 수주를 위해 영국에 지사(Hanwha Aerospace UK)를 설립했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영국지사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육상방어시스템 사업부 소속돼 MFP 사업에 대한 영국군 수요에 대응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영국지사 설립은 K9의 폴란드 수출을 확정한 뒤부터 거론됐다. 영국도 폴란드처럼 현지법인을 설립할 가능성이 높았으나 아직 수주 전이라 사무소 개념인 지사를 개설했다. 사이먼 험프리 한화에어로스페이스 UK 사업담당임원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UK의 설립은 이제 완료됐다"며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영국 박람회 'DSEI 2023'에 참석해 영국과 새로운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기존 관계를 발전시키고자 한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7월부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UK의 사업담당임원으로 합류해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영국은 보유 자주포인 'AS90' 교체 프로그램인 MFP 획득 사업을 추진 중이다. 116문의 최신 자주포를 도입해 2027년 전력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독일 방산업체 크라우스 마페이 베그만(KMW)이 유력 후보
[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로템이 오세아니아 시장에서 전동차 유지·보수 사업을 이어간다. 강력한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철도차량 유지·보수 사업에 가속을 붙인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뉴질랜드 그레이터 웰링턴 지역 위원회는 11일(현지시간) 현대로템과 프랑스 트란스데브(Transdev)와 2031년까지 철도차량 유지·보수 계약을 갱신했다. 티에리 말레(Thierry Mallet) 트랜스데브그룹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계약은 트랜스데브의 철도 운영 능력을 인정받은 동시에 강력한 파트너십의 새로운 장을 여는 것"이라며 "트랜스데브는 뉴질랜드의 탈탄소화 여정에 동행한다"고 밝혔다. 현대로템은 2016년 1870억원 규모로 트란스데브와 전동차 객차 유지·보수 사업 계약을 체결했다. 현대로템은 기본 9년과 추가 옵션 6년을 합해 총 15년간 웰링턴 전동차 166량, 객차 25량에 대한 유지·보수를 맡기로 했다. 이번 계약은 옵션 6년의 발효로 오는 2031년까지 계약 연장을 확정했다. 현대로템은 웰링턴 시에 전동차를 납품한 데 이어 이 열차의 유지·보수까지 책임지고 있다. 현대로템은 지난 2007년 1억 1000만 달러 규모로 뉴질랜드 웰링턴시정부(GWRC
[더구루=길소연 기자] 두산밥캣이 중동·아프리카(MEA)와 독립국가연합(CIS) 지역 시장을 위해 새로운 B730 M시리즈 백호로더(Backhoe loader)를 출시한다. 인도 첸나이 공장에서 생산해 중동과 아프리카, CIS 등 신흥 시장으로 백호로더 판매를 확대한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두산밥캣은 인도 첸나이에 위치한 두산밥캣 제조 공장에서 B730 M시리즈를 생산해 MEA와 CIS에 공급한다. 백호로더는 로더(전방)와 굴착기(후방)를 장착한 다목적 건설장비이다. B730 M시리즈는 건설, 임대, 도로 공사, 철거, 굴착, 조경 및 기타 여러 산업 분야에 적합하다. 동급 최고의 돌파력과 도달·굴착 깊이 기능, 다기능 굴착기 작동 기능을 갖추고 있다. 강력한 유압 시스템과 견고한 구조, 직관적인 작동과 결합돼 도랑 파기, 레벨링, 적재 작업에 탁월한 생산성을 제공한다. 존 채터웨이(John Chattaway) 두산밥캣 로더 제품관리자는 "고객과 숙련된 딜러 네트워크와 함께 혼합 계약업체, 임대 차량에 이상적인 장비를 백호로더를 개발했다"고 말했다. 두산밥캣은 내년까지 인도 전역에 판매망을 200개로 확대해 인도 소형 건설기계 시장을 적극 공략할 계획이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루마니아가 미국 M1A2 에이브람스(Abrams) 전차 54대를 주문한 후 K2 전차와 K9 장갑차 구입을 위해 한국과 협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현대인프라코어의 엔진이 네덜란드 시장에 진출한다. 두산인프라코어 시절 공식 딜러였던 '드 마스(De Maas)'를 통해 HD현대인프라코어의 엔진을 연안과 해상 운송은 물론 내륙 운송용으로 공급한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HD현대인프라코어는 네덜란드에 국제해사기구(IMO)의 유해물질 배출 규제(Tier III)와 유럽 배기가스 규제(EU STAGE-V) 기준을 모두 충족한 운송용 엔진을 내년 초 공식 출시한다. 드 마스가 취급하는 엔진은 △추진 엔진(내륙운송용, 51kW~883kW)△선박 보조 엔진(해상보조용, 32kW~530kW) △발전기 세트 엔진(진동 없는 작동과 낮은 소음 보장) △파워 유닛 모터 (워터 펌프나 유압 펌프 구동을 위한 가변 속도 버전) △가스 엔진(희박연소엔진) 등이다. HD현대인프라코어는 두산인프라코어에서 사명을 교체한 후 네덜란드 시장에 처음 엔진을 출시하는 것이다. 네덜란드를 포함해 유럽 엔진 시장의 재공략에 나선다. 드 마스는 "HD현대인프라코어는 네덜란드에서 알려지지 않은 기업"이라며 "최근에는 선박이나 펌프 세트 등에서 HD현대인프라코어 엔진을 사용하는 고객이 많다"고 말했다. 드 마스는 1922년부
[더구루=홍성환 기자] 중국 로봇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특히 거대언어모델(LLM) 기술을 기반으로 로봇이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할 전망이다. 10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달 말 중국 베이징에서 2023 세계로봇컨퍼런스가 열렸다. 천잉 중국전자학회 부이사장 겸 비서장은 이번 컨퍼런스에서 '중국 로봇 기술 및 산업 발전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를 보면 중국 로봇 우수 기업은 주로 △징진지(베이징·톈진·허베이) △장강삼각주 △ 주강상각주 지역에 분포돼 있었다. 또 △베이징 △선전 △상하이 △둥관 △항저우 등에 산업 클러스터가 형성돼 로봇 세부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춘 신생 기업의 발전을 견인하고 있었다. 또 보고서는 전자·기계·바이오·소재 등 과학과 기술이 상호 융합되면서 혁신을 촉진하고 있다며, 첨단화·스마트화 생태계 구축이 중국 로봇 산업 발전에 키워드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거대언어모델(LLM)이 로봇 스마트화에서 대뇌 역할을 할 것이며, 로봇이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류롄칭 중국과학원 선양자동화연구소 부소장은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노동력 관련 구조적인 취약점이 나타나고 있다"면서 "따라서 서비스 로봇
[더구루=길소연 기자] 페루 육군이 6000만 달러(약 800억원)를 투자해 획득 예정인 8x8 장갑차 30대의 획득 사업의 최종 사업자 선정이 연기됐다. 방산매체 디펜스닷컴(defensa.com)은 7일(현지시간)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튀르키예 방산업체 FNSS, 중국병기공업그룹(NORINCO GROUP) 등이 페루 기술운영연구위원회(CETO)에 서한을 보내 기한 만료 후 45일 이상이 지난 시점에서 페루군의 8x8 장갑차 30대에 대한 인수 프로그램 입찰 결과가 나온 것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고 보도했다. 매체는 후보 경쟁에서 탈락한 이들이 페루 장갑차 공공 조달 입찰 과정에서 투명성을 지적하며 기술·경제적 평가 결과를 요구했다고 전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서한에서 "공공 조달 과정을 통제해야 하는 투명성 원칙을 위해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입찰에 초청된 참가자들 모두의 기술적, 경제적 평가 결과를 보내주시면 감사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야간 시각 및 관측의 '위라코차(Wiracocha)' 합동 지휘·통제 시스템에 통합된 복합화기 원격사격통제체계(RCWS)의 통합이 추가 비용 없이 포함됐다"고 언급하며 탈락 이유를 따졌다. FNSS는 "비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시스템이 이탈리아 관성항법장치 제조업체와 손을 잡는다. '신개념 관성항법센서'를 전자광학장비에 적용해 세계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8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시스템은 최근 시비타나비 시스템즈(Civitanavi Systems Spa)와 '차세대 관성항법센서 개발 협력' 관련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력은 시비타나비의 위성측위시스템(GNSS) 전문 지식과 관성 항법 시스템을 한화시스템의 제품과 통합해 최첨단 제품 개발을 목표로 한다. 관성항법장치(Inertial Navigation System, INS)는 가속도계·자이로스코프의 두 가지의 센서 측정값을 결합해 물체의 자세와 이동을 계산하는 핵심부품으로 △물체의 위치 △방향성 △진동 강도 등의 정보를 정확히 알려준다. 한화시스템은 기존 전자광학장비 기술력에 치비타나비의 신기술을 융합해 세계 최고 성능의 장비공급자로서 입지를 공고히 한다. 기술 우위와 경쟁력을 모두 확보한 '신개념 관성항법센서'를 전자광학장비에 적용해 세계 시장에도 본격 진출할 계획이다. 치비타나비는 항공·해상·지상의 관성항법센서 분야에서 절대적인 입지를 확보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안드레아 피자룰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과 폴란드가 폴란드형 K2 전차(K2PL) 공동 생산에 본격 나선다. 8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과 폴란드는 5일부터 8일(현지시간)까지 4일간 폴란드 타르기 키엘체(Targi Kielce)에서 열린 'MSPO 2023'에서 열린 토론회에 참석해 K2PL 프로그램의 기술 이전 필요성과 공동생산에 입을 모았다. 이번 토론회는 폴란드 군사 전문지 디펜스24(Defence24)의 주최로 마련됐다. 한국 측에서는 성일 국방부 전력자원관리실장, 이의성 현대로템 디펜스해외사업담당 자문이 참석했고, 폴란드에서는 아르투르 쿠프텔(Artur Kuptel) 국방부 구매국장, 피터 보이치에쇼프스키(Piotr Wojciechowski) WB그룹 최고경영자(CEO)가 참석했다. 성일 전력자원관리실장은 "한국 장비를 폴란드 군대에 도입함으로써 폴란드가 자체 솔루션을 개발할 것"이라며 "한국은 이를 적응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 정부가 해결책을 제공하기로 결정했다"며 "폴란드가 더욱 발전된 장비를 확보하기 위해 자체 역량을 개발할 것이며 한국도 폴란드의 솔루션을 채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성일 전력자원관리실장은 양국간 협력은 일방향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현대인프라코어와 SNT다이내믹스의 협력 결과물인 'K-파워팩'(엔진+변속기)이 폴란드에서 공개됐다. 7일 업계에 따르면 HD현대인프라코어와 SNT다이내믹스는 5일(현지시간)부터 8일까지 4일간 폴란드 타르기 키엘체(Targi Kielce)에서 열린 '폴란드 국제 방위산업 전시회(MSPO 2023)'에 참가해 전차용 파워팩을 전시했다. 파워팩은 엔진과 변속기의 결합체로 전차를 움직이는 '심장'에 비유된다. 전차는 포장도로뿐만 아니라 산지 등 험로의 주파능력까지 갖춰야 하고 극한의 환경에서도 가동능력이 보장돼야 하는 만큼 파워팩이 중요하다. 국산 전차용 파워팩은 HD현대인프라코어의 DV27K 디젤 엔진과 SNT다이내믹스의 EST15K 변속기로 구성됐다. DV27K는 국방과학연구소와 HD현대두산인프라코어가 개발한 전자제어식 커먼레일 직분사장치(Common Rail Direct Injection)를 적용한 12기통 1500마력 디젤엔진이다. 엔진 크기는 길이 1828mm, 너비 1060mm, 높이 1126mm이며, 2578kg이다. K2 전차 2차 양산사업부터 탑재되고 있다. EST15K 자동 변속기는 국방과학연구소와 SNT중공업에서 개발
[더구루=길소연 기자] 국내 최대 탄약 제조업체 풍산이 한국 방위산업의 최대 수출국 폴란드에 다구경 탄약을 공급한다. 올해 초 부터 논의됐던 현지에 연간 10만발씩 생산 가능한 탄약공장 건설도 속도를 내 현지 시장 공략을 위한 거점도 마련한다는 전략이다. 한국과 폴란드 양국 간 군사·방산 협력은 더욱 긴밀해지는 상황에서 새로운 방산 수출의 성과가 속속 나오고 있다. 7일 업계에 따르면 풍산은 폴란드 국영 방산그룹 PGZ(Polska Grupa Zbrojeniowa)와 다구경 탄약 공급과 기타 프로그램 분야에 대한 포괄적인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협약은 폴란드 국제 방위산업 전시회(MSPO 2023)에서 체결됐다. 풍산은 5일부터 8일(현지시간)까지 4일간 폴란드 타르기 키엘체(Targi Kielce)에서 열린 'MSPO 2023'에 참가했다. <본보 2023년 7월 19일 참고 한화·KAI·현대로템, 폴란드 최대 방산 전시회 통해 유럽 공략 가속화> 풍산은 전시회에서 곡사포탄과 전차탄을 중심으로 각종 소·중·대 구경탄을 전시했다. 120mm 전차탄은 다양한 무기 체계에 적용 가능해 호환성이 크다. 최근 개발에 성공한 155mm 곡사포탄과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