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가 중국 시장 공략을 위한 브랜드 전략을 수행할 전용 전기차 모델 3종을 공개한다. 특히 현지 생산이 예정된 'EV5' 콘셉트카를 세계 최초로 선보인다는 계획을 밝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 중국 합작사인 기아기차유한공사(起亚汽车有限公司)는 오는 20일 '2023 기아 차이나 신에너지 전략 컨퍼런스'를 통해 현지 시장 공략을 위한 브랜드 전략을 발표하고 EV5·9 콘셉트카와 EV6 GT 등 전기차 3종을 공개할 예정이다. 앞서 기아는 오는 2027년까지 E-GMP 플랫폼 기반 전기차 모델 최대 6개를 중국 전기차 포트폴리오에 추가하겠다는 계획과 함께 중국 1호 전기차로 EV6를 연내 출시한다고 밝힌 바 있다. 특히 EV5의 경우 이번 컨퍼런스에서 세계 최초로 공개된다. EV5는 기아가 최근 현지 생산·출시를 알린 모델이다. 옌청공장에서 생산될 예정으로 기아는 이곳을 글로벌 EV 수출기지로 삼아 오는 2026년 10만대 수출한다는 목표를 밝힌 바 있다. <본보 2023년 3월 3일 참고 [단독] 기아, 전기차 ‘EV5' 中 옌청공장 생산…중국 EV 수출 기지 추진> 기아는 이들 전기차 모델을 앞세워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의 미국 자동차 재고 효율성이 업계 최고'로 평가됐다. 현대자동차도 8위를 기록, 증가하는 현지 수요를 기반으로 안정적인 공급이 이어질 것으로 분석된다. 12일 미국 조사업체 '클라우드 띠어리'(Cloud Theory)에 따르면 기아는 재고 효율성 지수(Inventory Efficiency Index, 이하 IEI) 조사에서 155.6점을 획득, 1위를 달리고 있다. 올들어 2월까지 자동차 브랜드별 재고 관리 현황을 토대로 점수를 매긴 결과다. IEI는 클라우드 띠어리가 브랜드 마케팅 효율성 재고를 위해 특허 출원한 조사 방식이다. 재고 현황과 판매량, 시장 점유율 등을 토대로 이뤄진다. 100점을 기준으로 재고 효율성을 판단한다. 점수가 높을 수록 재고 효율성이 뛰어나다는 것을 나타내며 미만일 경우 공급보다는 수요 확보에 집중해야 하는 상태임을 나타낸다. 2위는 렉서스가 차지했다. 총 154.4점을 획득했다. 토요타는 145.4점으로 3위, 랜드로버는 142.1점으로 4위에 올랐고 혼다는 140.2점으로 5위에 이름을 올렸다. 스바루와 BMW는 각각 126.1점과 123.8점으로 6위와 7위를 기록했다. 현대차의 경우 총 115.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가 전용 플랫폼 기반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EV9'에 '디지털 사이드 뷰 미러' 등 첨단 기능을 대거 장착해 출시한다. 상품성을 대폭 강화한 만큼 높은 인기를 누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는 EV9에 디지털 사이드 뷰 미러를 장착해 출시한다. 이는 상반기 출시를 앞두고 진행한 최종 테스트에 투입한 차량의 스파이샷이 포착되면서 알려졌다. 보안을 위해 위장막으로 차량 전체를 덮었으나 사이드 미러는 여과 없이 노출됐다. 디지털 사이드 뷰 미러는 카메라를 통해 차량 내부로 외부 상황을 보여주는 장치다. 우천 시나 야간 주행에도 선명하고 넓은 각도의 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특히 일반 사이드 미러를 장착했을 때보다 공기 저항이 줄어 약 1~2%의 연비 상승효과를 누릴 수 있다. EV9의 특별한 기능은 디지털 사이드 뷰 미러뿐 아니다. 계기판과 별도로 안전 운행을 돕는 ‘로우 프로파일 스크린’이 탑재된다. 운전석 좌측면에 별도 스크린을 장착해 보조 모니터처럼 사용할 수 있다. EV9는 지난 2021년 출시한 EV6에 이은 두번째 전용 플랫폼(E-GMP) 기반 모델이다. 지난 2일 기아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가 지난달 일본 토요타를 제치고 페루 자동차 시장 정상을 차지했다. 또한 현대차 역시 2위로 올라서면서 토요타와 더불어 '3강' 구도로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10일 페루 자동차협회(AAP)에 따르면 기아는 올들어 2월 말 누적 페루 시장에서 총 1548대를 판매, 1위를 차지했다. 이는 전년 대비 45.2% 두 자릿수 수직성장한 수치이다. 점유율은 24.9%로 집계됐다. 특히 세단 시장에서만 총 1022대를 판매하는 등 강세를 나타냈다. 현대차는 같은 기간 전년 대비 15.7% 감소한 1259대를 판매, 점유율 20.3%로 2위에 올랐다. 이어 토요타가 전년 대비 29% 하락한 1227대로 3위, 쉐보레가 전년 대비 15.2% 증가한 699대로 4위를 기록했다. 닛산은 전년 대비 24.2% 감소한 388대로 5위에 이름을 올렸다. 6위부터 10위는 △스즈키(267대) △폭스바겐(258대) △체리차(115대) △장안차(58대) △르노(56대) 순이었다. 기아는 브랜드 세단 모델을 앞세워 지속해서 현지 판매량을 확대, 연말까지 1위 자리를 유지하겠다는 각오다. 업계 관계자는 "페루는 현대차·기아가 지배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국가 중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스포티지'가 BMW와 토요타 등을 제치고 '모로코 올해의 차'로 선정됐다. 6일 모로코 자동차수입협회(AIVAM)에 따르면 스포티지는 지난 2일 모로코 카사블랑카에서 진행된 '모로코 2023 올해의 차' 시상식에서 최종 우승했다. 함께 결선에 진출한 BMW X1과 혼다 HR-V, 토요타 야리스 등 15개 경쟁 모델을 모두 제쳤다. 올해로 4년째를 맞이하는 모로코 올해의 차 시상식은 현지 언론인과 자동차 전문가 11명으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의 평가를 토대로 이뤄진다. 디자인과 가격, 성능, 실용성, 친환경성 등 항목을 나눠 평가를 진행한 뒤 결과를 종합하는 방식이다. 2023 올해의 차의 경우 지난해 모로코 시장에 출시된 모델들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기아는 이번 수상을 토대로 현지 마케팅을 강화, 판매량 증대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현지에서 최고 권위로 여겨지는 상인 만큼 모로코 시장 내 브랜드 이미지와 인지도 제고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모로코를 주 무대로 아프리카 시장에서 입지를 지속해서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모로코는 자동차를 주요 수출품목으로 지정하고 자동차 산업에 투자를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가 콜롬비아 시장에서 고속질주하고 있다. 현지 시장 규모가 급격하게 쪼그라드는 가운데 현지 조립공장 설립에 따른 생산 확대를 토대로 수요를 확보, '톱5'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5일 콜롬비아 국가 교통등록청(Runt)에 따르면 기아는 지난달 콜롬비아 시장에서 총 1215대를 판매, 4위에 올랐다. 시장 점유율은 7.7%를 기록했다. 지난 2021년 쿤디나마르카(Cundinamarca) 코타(Cota) 지역에 설립한 1만4000㎡ 규모의 자동차 조립공장을 토대로 생산을 확대, 현지 수요 확보에 총력을 기울인 결과다. 콜롬비아 정부가 법인세 감면과 같은 조세를 비롯해 비조세 측면까지 전방위적인 혜택을 제공하면서 수익성도 크게 오른 것으로 전해진다. 특히 현지 시장 규모가 축소하는 가운데 존재감을 나타냈다. 올들어 콜롬비아 시장 규모는 2만9613대로 지난 1월 전년 대비 20.3% 쪼그라든 데 이어 2월 18% 두 자릿수 하락하는 등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1위는 르노가 차지했다. 같은 달 총 2721대를 판매했다. 쉐보레는 1975대로 2위, 토요타는 1936대로 3위에 올랐다. 기아에 이어 마쯔다가 1141대로 5위를 기록했다.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독일 , 영국 , 프랑스, 이탈리아과 함께 5대 유럽 시장으로 불리는 스페인 시장에서 '톱10' 지위를 이어가고 있다. 5일 스페인자동차제조협회(ANFAC)에 따르면 현대차·기아는 지난달 스페인 시장에서 총 9425대를 판매했다. 단일 브랜드 기준 기아가 5230대로 4위, 현대차는 4195대로 7위를 기록했다. 1위는 토요타가 차지했다. 같은달 총 6035대를 판매했다. 세아트는 6025대로 2위, 푸조는 5741대로 3위에 올랐고 기아에 이어 폭스바겐과 르노가 각각 4858대와 4447대로 5위와 6위에 이름을 올렸다. 8위부터 10위는 △다시아(3721대) △시트로엥(3421대) △아우디(3258대) 순으로 나타났다. 월간 베스트셀링카는 타이틀은 다시아 산데로가 거머쥐었다. 같은 달 총 2427대가 판매됐다. 세아트 아로나는 2385대로 2위, 푸조 2008은 1906대로 3위에 올랐다. 토요타 C-HR과 세아트 아테카는 1713대 동일한 판매량을 나타내며 공동 4위를 기록했다. 올들어 누적 판매량 기준(1~2월) 현대차·기아는 총 1만7588대를 판매했다. 기아는 9929대로 3위, 현대차는 7659대로 8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가 중국 시장 공략을 위한 전기차 모델로 'EV5'를 낙점하고 현지 생산을 추진한다. 중국 내 전기차 브랜드로 거듭나기 위한 새로운 채널 구축도 병행해 장기간 이어진 중국 부진을 끊어낸다는 방침이다. 3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 중국 합작사인 기아기차유한공사(起亚汽车有限公司)는 올해 중국 신에너지차량(ZEV) 시장에 소형 전기차 모델 'EV5'를 현지 생산·출시한다. 이는 기아가 추진하고 있는 중국 ZEV 시장 전략의 일환이다. 앞서 기아는 오는 2027년까지 E-GMP 플랫폼 기반 전기차 모델 최대 6개를 중국 전기차 포트폴리오에 추가하겠다는 계획과 함께 중국 1호 전기차로 EV6를 연내 출시한다고 밝힌 바 있다. 무엇보다 주목을 끌고 있는 것은 EV5에 대한 현지 생산이다. EV5 생산은 옌청공장에서 맡는다. 특히 기아는 EV5 등 생산을 토대로 옌청공장을 글로벌 EV 수출기지로 삼아 오는 2026년 10만대 수출한다는 목표다. EV5는 전장 4250~4350mm 사이 크기를 갖출 전망이다. 현대차그룹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을 기반으로 실내 공간을 최대화하는 것은 물론 최대 350㎾의 속도로 충전할 수 있는 800볼트(V)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가 가상 플래그십 딜러숍에 오픈AI사가 개발한 언어기반 인공지능(AI) 챗 GPT(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를 도입했다. 자동차 구매를 원하는 고객들의 편의가 크게 증진될 것으로 기대된다. 3일 기아 독일판매법인에 따르면 기아는 최근 메타버스 플래그십 대리점 '인터랙티브 기아 월드'에 챗 GPT를 도입했다. 고객들의 합리적인 자동차 구매를 돕기 위해서다. 원하는 모델에 대한 모든 질문에 답변을 제공하는 대화형 가상 도우미 역할을 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만큼 편의성이 크게 증진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차마 챗 GPT가 답변하지 못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영업 컨설턴트 직접 나선다. 인터랙티브 기아 월드는 지난달 23일 기아가 아일랜드 메타버스 솔루션 업체 인게이지 XR 홀딩스(ENGAGE XR Holdings·이하 인게이지)와 함께 선보인 가상 딜러숍이다. 제품 홍보는 물론 미래기술 선도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기 위한 투트랙 전략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고객들은 휴대폰과 컴퓨터를 이용해 인터랙티브 기아 월드에 접속할 수 있다. 아바타를 이용해 가상 쇼룸에서 차량을 살펴보고 공정 과정을 체험할 수 있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기아 브랜드 전용 전기차 '아이오닉5'와 'EV6'가 미국 시장조사기관 J.D. 파워가 실시한 전기차 만족도 조사 '톱5'에 올랐다. 현지 브랜드 이미지와 인지도 제고 효과에 따른 현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영향 완화가 기대된다. 2일 J.D. 파워에 따르면 기아 EV6와 현대차 아이오닉5는 'JD 파워 2023 US EVX(Electric Vehicle Experience) 만족도 조사' 일반 전기차 부문에서 1000점 만점 기준 762점과 738점을 획득, 각각 2위와 4위를 기록했다. JD파워가 올해로 3년째 진행하고 있는 US EVX 만족도 조사는 매년 미국 운전자를 대상으로 △주행거리 정확도 △충전 편의성 △유지 비용 △주행 만족도 등 10가지 항목을 토대로 이뤄진다. 이번 순위는 지난해 8~12월 2022~23년형 전기차 소유자 7073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1위는 미니 쿠퍼 일렉트릭이 차지했다. 총 782점을 받았다. EV6에 이어 포드 머스탱 마하-E가 742점으로 3위, 아이오닉5 다음으로 폭스바겐 ID.4가 735점으로 5위에 이름을 올렸다. 지난해 일반 전기차 부문 1위였던 기아 니로EV는 733점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2개월 연속 미국 시장에서 최다 판매 실적을 기록한 반면 전기차는 주춤하고 있다.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이 전기차 판매에 발목을 잡고 있다. 2일 현대차 미국판매법인(KMA)에 따르면 현대차는 지난달 미국 전기차 시장에서 아이오닉5 2074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2555대) 대비 19% 하락한 수치이다. 전월 실적에 힘입어 올들어 누적 판매량은 3622대로 전년(3544대) 대비 2% 다소 증가했으나 감소세로 전환됐다. 앞서 현대차는 지난 1월 미국 시장에서 아이오닉5를 전년 대비 57% 두 자릿수 증가한 1548대 판매했다. 당시 2023년형 아이오닉5가 기존 모델보다 1500달러가량 비싸게 책정됐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라는 평가가 나왔었다. 기아 전기차 판매도 비슷한 상황이다. 기아 미국판매법인(KMA)에 따르면 기아는 지난달 미국 시장에서 EV6 1294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2125대) 대비 39.2% 급감한 수치이다. 마찬가지로 전월 실적에 따라 올들어 누적 판매량은 2404대로 전년(2125대) 대비 13.1% 높은 판매고를 유지하고 있으나 향후 판매량 감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IRA는 지난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인도 시장에서 고속질주하고 있다. 현대차는 강력한 판매 모멘텀을 유지하며 지난달 현지 최대 자동차 제조업체 마루티 스즈키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판매량을 나타냈다. 기아 역시 전년 대비 두 자릿수 판매량을 확대해 올해 성장 기대감을 높였다. 최근 들어 전기차 시장 공략을 위한 활동을 강화한 만큼 현지 영향력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2일 현대차 인도판매법인(HMIL)에 따르면 HMIL는 지난달 인도 시장에서 총 5만7851대를 판매, 2위에 올랐다. 내수 판매는 전년(4만4050대) 대비 7% 증가한 4만7001대, 수출은 전년(9019대) 대비 19% 두 자릿수 상승한 1만850대를 기록했다. SUV 모델들을 앞세워 강력한 판매 모멘텀을 유지한 데 따른 결과다. 무엇보다 현대차 인도공장은 아시아·태평양 지역 85개국 수출을 담당하고 있는 글로벌 수출 허브로 수출량이 크게 늘었다. HMIL는 "브랜드 전용 전기차 아이오닉5를 비롯해 투싼과 그랜드 i10 니오스가 인기를 끌고 있다"며 "특히 현지 전략형 SUV 모델인 크레타가 누적 판매 83만대를 기록하는 등 볼륨모델로 떠오르고 있다"고 밝혔다. 1위(내수 판매 기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전기차 스타트업 리비안과 독일 메르세데스-벤츠와의 협업이 지속되고 있다. 합작 투자 계획은 철회했으나 전기 밴 공동 생산을 위한 활동은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유료기사코드] 20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벤츠 독일 아펠터바흐(Affalterbach) AMG 생산 시설에서 리비안 전기 픽업트럭 모델 'R1T'가 포착됐다. 해당 차량에는 특수 라이센스를 획득한 제조업체와 판매자, 수리업체 등에 사용되는 번호판(LB 0698)이 적용됐다. 이 번호판은 식별이 용이하도록 테두리와 앞자리 숫자(06)에 빨간색이 적용된 것이 특징이다. 이는 벤츠와 리비안의 협력이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합작 투자 계획은 철회했으나 전기 밴 공동 생산을 위한 활동은 현재진행형이라는 의미이다. 앞서 벤츠와 리비안은 지난해 9월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유럽에서 전기 승합차를 생산하기 위한 합작 투자 계획을 밝혔으나 같은해 12월 파트너십 체결 3개월 만에 계획을 철회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당시 R.J. 스카린지 리비안 최고경영자(CEO)는 "벤츠와의 논의를 중단하기로 결정했다"며 "기존 상업 및 소비자 비즈니스에 집중하는 것이 리비안 가치를 단기적으로
[더구루=정등용 기자] 데이터 시각화 기업 그라파나(Grafana)가 오픈 소스 연속 분석 플랫폼 파이로스코프(Pyroscope)를 인수했다. 그라파나는 자사 연속 관측 데이터베이스인 플레어(Phlare)와 파이로스코프를 통합할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그라파나는 20일 파이로스코프에 대한 인수 계약을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지난 2020년 설립된 파이로스코프는 와이콤비네이터의 지원을 받아 지난 2021년 초기 투자 라운드를 유치했다. 이후 센서 타워와 컨플루언트, 라인, 플레이드 등을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다. 파이로스코프는 eBPF를 사용해 리눅스 커널에서 기업 인프라 전반에 관한 데이터를 직접 수집할 수 있다. 이 데이터는 배드저DB(BadgerDB)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파이로스코프 서버에 전송된다. 그라파나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시스템의 등장으로 지속적인 프로파일링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서 파이로스코프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특히 파이로스코프는 회사 전체 컴퓨팅 인프라에 대한 정기적인 스냅샷을 생성할 수 있는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어 그라파나의 관심이 높았다. 최근엔 5억4000만 달러(약 7088억 원)의 투자 자금도 유치하면서 파이로스코프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