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캐나다 넥스트소스 머티리얼즈(이하 넥스트소스)가 드비어스와 BHP 등 세계적인 광산 회사에서 30년 이상 경력을 쌓은 전문가를 임시 최고운영책임자(COO)로 임명했다. 경영진을 교체하고 마다가스카르 흑연 사업에 힘을 쏟는다. 27일 넥스트소스에 따르면 이 회사는 조니 벨로자(Johnny Velloza)를 임시 COO로 선임했다. 이전 COO인 로빈 볼리(Robin Borley)는 사임했다. 조니 신임 COO는 광업 분야에만 30년 이상 종사했다. 요하네스버그 대학교에서 광산 공학, 남아프리카 대학교에서 경영학을 전공해 두 개의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조니 COO는 세계적인 다이아몬드 업체 드비어스에서 2001년부터 2009년까지 근무했고, 이어 세계 5대 금 생산자 중 하나인 앵글로골드 아샨티에서 1년 동안 경력을 쌓았다. 2011년 호주 BHP에 영입돼 2년 동안 잠비아와 칠레 사업을 담당했고, 2013년부터 서호주에 위치한 철광석 광산 '마이닝 에어리어 C'를 총괄했다. 이후 영국계 젬다이아몬드에서 COO, 콩고 코발트·구리 광산을 운영하는 셰마프에서 최고경영자(CEO)를 역임했다. 조니 COO는 풍부한 경험을 활용해 넥스트소스의
[더구루=오소영 기자] 포스코인터내셔널이 마다가스카르에서 흑연 광산을 개발 중인 캐나다 넥스트소스 머티리얼즈(NextSource Materials, 이하 넥스트소스)와 손잡았다. 탄자니아에 이어 마다가스카르산 흑연 수급을 살피고 배터리 원재료 공급망을 강화한다. 31일 마다가스카르 경제개발위원회(EDBM)에 따르면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지난 28일(현지시간) 마다가스카르 수도 안타나나리보 노보텔에서 넥스트소스와 광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식을 열었다. 유삼 포스코인터내셔널 강건재후판사업실장과 크레이그 셰르바 넥스트소스 최고경영자(CEO) 등 양사 관계자가 참여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윤상직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위원회 사무총장이 이끄는 한국 대표단에 포함돼 마다가스카라를 방문했다. <본보 2023년 8월 30일 참고 [단독] SK·LG·포스코 등 韓기업, '배터리 핵심' 흑연 구하러 마다가스카르 총출동> 대표단 방문 기간 중 MOU를 맺고 넥스트소스와 마다가스카르에서 사업 기회를 엿본다. 넥스트소스는 마다가스카르 남부 톨리아라주에 위치한 몰로 흑연 광산을 보유하고 있다. 1단계로 연간 1만7000t의 흑연정광을 생산하고 2단계에서 1
[더구루=길소연 기자] 세계 1위 배터리 기업인 중국 CATL(寧德時代·닝더스다이)가 중국 리튬 배터리 소재 공급업체 캔맥스 테크놀로지스(Canmax Technologies, 이하 캔맥스)의 지분에 투자하며 리튬 배터리 소재 확보를 늘린다. 원재료·소재·셀·팩·재활용까지 수직 계열화된 밸류체인(생산부터 유통까지 산업 전반의 구성) 구조에 집중하고 있는 CATL은 배터리 소재 확보로 공급망 구축과 원가 경쟁력을 강화한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수소연료전지 기업 블룸에너지(Bloom Energy)가 약 3조6000억원 규모의 자금 조달에 성공했다. 강화된 자본을 기반으로 연료전지 발전용량 확대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