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캐나다 넥스트소스 머티리얼즈(이하 넥스트소스)가 드비어스와 BHP 등 세계적인 광산 회사에서 30년 이상 경력을 쌓은 전문가를 임시 최고운영책임자(COO)로 임명했다. 경영진을 교체하고 마다가스카르 흑연 사업에 힘을 쏟는다. 27일 넥스트소스에 따르면 이 회사는 조니 벨로자(Johnny Velloza)를 임시 COO로 선임했다. 이전 COO인 로빈 볼리(Robin Borley)는 사임했다. 조니 신임 COO는 광업 분야에만 30년 이상 종사했다. 요하네스버그 대학교에서 광산 공학, 남아프리카 대학교에서 경영학을 전공해 두 개의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조니 COO는 세계적인 다이아몬드 업체 드비어스에서 2001년부터 2009년까지 근무했고, 이어 세계 5대 금 생산자 중 하나인 앵글로골드 아샨티에서 1년 동안 경력을 쌓았다. 2011년 호주 BHP에 영입돼 2년 동안 잠비아와 칠레 사업을 담당했고, 2013년부터 서호주에 위치한 철광석 광산 '마이닝 에어리어 C'를 총괄했다. 이후 영국계 젬다이아몬드에서 COO, 콩고 코발트·구리 광산을 운영하는 셰마프에서 최고경영자(CEO)를 역임했다. 조니 COO는 풍부한 경험을 활용해 넥스트소스의
[더구루=오소영 기자] 포스코인터내셔널이 마다가스카르에서 흑연 광산을 개발 중인 캐나다 넥스트소스 머티리얼즈(NextSource Materials, 이하 넥스트소스)와 손잡았다. 탄자니아에 이어 마다가스카르산 흑연 수급을 살피고 배터리 원재료 공급망을 강화한다. 31일 마다가스카르 경제개발위원회(EDBM)에 따르면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지난 28일(현지시간) 마다가스카르 수도 안타나나리보 노보텔에서 넥스트소스와 광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식을 열었다. 유삼 포스코인터내셔널 강건재후판사업실장과 크레이그 셰르바 넥스트소스 최고경영자(CEO) 등 양사 관계자가 참여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윤상직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위원회 사무총장이 이끄는 한국 대표단에 포함돼 마다가스카라를 방문했다. <본보 2023년 8월 30일 참고 [단독] SK·LG·포스코 등 韓기업, '배터리 핵심' 흑연 구하러 마다가스카르 총출동> 대표단 방문 기간 중 MOU를 맺고 넥스트소스와 마다가스카르에서 사업 기회를 엿본다. 넥스트소스는 마다가스카르 남부 톨리아라주에 위치한 몰로 흑연 광산을 보유하고 있다. 1단계로 연간 1만7000t의 흑연정광을 생산하고 2단계에서 1
[더구루=홍성일 기자] 엔비디아가 미국 자율주행차 스타트업 누로(Nuro)에 투자했다. 엔비디아는 투자와 함께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개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누로는 신규 투자를 기반으로 자율주행차 기술의 상용화에 박차를 가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누로는 21일(현지시간) 시리즈 E 투자 라운드를 통해 총 2억300만 달러(약 2845억원)를 조달했다고 발표했다. 누로는 이번 펀딩을 통해 60억 달러(약 8조4100억원) 가치를 인정받았다. 누로는 2021년 진행된 시리즈 D 투자 라운드에서 86억 달러(약 12조원)로 평가받았었다. 누로의 시리즈 E 투자 라운드는 1차와 2차로 나눠 진행됐다. 지난 4월 완료된 1차 펀딩에는 △티 로우 프라이스 어소시에이트 △피델리티 매니지먼트&리서치 컴퍼니 △타이거글로벌 △그레이록 파트너스 △XN LP 자문 펀드 등이 참여했다. 총 투자 규모는 1억600만 달러(약 1485억원)였다. 이번에 완료된 2차 펀딩에는 엔비디아를 비롯해 △우버 △아이스하우스 벤처스 △킨드레드 벤처스 △플레지 벤처스 △베일리 기포드 등이 참가자로 이름을 올렸다. 2차 펀딩에서는 9700만 달러(약 1360억원)가 모였다. 누로는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전력회사 엔터지 루이지애나(Entergy Louisiana)가 당국으로부터 메타 AI 데이터센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신규 발전소 건설을 승인받았다. [유료기사코드] 엔터지는 22일 루이지애나 공공서비스위원회(LPSC)로부터 메타의 신규 데이터센터와 관련된 대규모 인프라 투자 계약을 허가받았다. 이에 따라 엔터지는 신규 복합화력 발전소 3기를 건설할 예정이다. 2기는 리치랜드 패리시에 들어서고, 나머지 1기는 세인트 찰스 패리시에 건설된다. 2028~2029년 가동이 목표다. 엔터지는 메타 데이터센터에 전력을 공급하고 서비스 지역 전체의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해 새로운 송전 시설도 구축할 계획이다. 메타는 루이지애나 북동부에 역대 최대 규모인 2GW(기가와트)급 AI 데이터센터를 개발하고 있다. 2030년 준공을 목표로 한다. 총투자액은 100억 달러(약 14조원)에 이른다. 이는 루이지애나 역사상 최대 규모의 민간 투자다. 메타는 엔터지와 협력해 데이터센터 운영에 필요한 전력을 100% 청정 에너지로 조달할 계획이다. 이를 충당하기 위해 엔터지는 1500㎿(메가와트) 규모의 신규 재생에너지를 전력망에 공급할 예정이다. 필립 메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