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넥슨의 지주회사 NXC가 소유한 유럽의 암호화폐(가상화폐, 가상자산) 거래소 비트스탬프가 영국으로 시장을 확대한다. 비트스탬프는 글로벌 시장에서 가장 안전한 암호화폐 거래소로 자리매김해간다는 목표다. 비트스탬프는 13일(현지시간) 영국 금융감독청(Financial Conduct Authority, 이하 FCA)에 승인을 받아 등록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비트스탬프는 FCA 승인에 따라 영국에서 정식으로 디지털 자산 거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FCA가 디지털 자산 기업 승인을 내준 것은 지난해 12월에 이어 6개월만이다. 영국에서는 FCA 등록이 완료된 업체만이 암호화폐 거래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FCA는 지난해 12월 히든 로드 파트너스와 문페이를 디지털 자산 기업 명단에 추가했으며 이번에 비트스탬프와 함께 인터랙티브 브로커스를 추가했다. 비트스탬프의 합류로 FCA가 승인한 디지털 자산 기업은 42개사로 늘게됐다. FCA 승인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자금 세탁 방지(AML), 테러 자금 조달 방지(CTF) 등 전통적인 금융 기관이 준수하는 것과 동일한 금융 표준, 고객 보호 정책이 운영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해야 한다. 비
[더구루=홍성일 기자] 사우디아라비아 공공투자기금 PIF(Public Investment Fund)가 2023년 1분기 닌텐도 외에도 미국의 게임사 일렉트로닉 아츠(EA) 지분도 대량으로 매수한 것으로 확인됐다. PIF는 EA 외에도 모바일 게임사 가레나의 모회사 SEA의 지분도 확대했다. 미국증권거래위원회(SEC)는 15일(현지시간) PIF가 제출한 13-F 문서를 공개했다. 13-F은 1억 달러 이상의 지분 자산을 관리하는 기관 투자자가 제출하는 분기 보고서로 주식, 옵션 등 공개적으로 거래되는 증권의 소유 정보를 공개한다. 공개된 문서에서 가장 큰 폭의 변화는 EA의 보유 주식수 변동이다. 지난 2월 14일 공개된 2022년 4분기 13-F 문서에서 PIF는 EA의 주식을 1601만 1844주 보유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이번에 공개된 문서에서는 보유 주식수를 2480만 7932주로 보고, 약 880만 주를 추가 매수한 것으로 확인됐다. 보유한 지분의 가치도 19억5632만 달러(약 2조6230억원)에서 29억8811만 달러(약 4조원)로 10억 달러 이상 증가했다. 또한 가레나 프리파이어 등으로 글로벌 모바일 게임 시장을 공략하고 있는 가레나의 모회사인
[더구루=홍성일 기자] 사우디 국부펀드가 전액 출자한 게임회사 '새비 게임즈 그룹(Savvy Games Group)'이 미국의 모바일 게임 개발사 '스코플리(Scopely)'를 인수했다. 새비 게임즈 그룹이 지난해 9월 공언했던 게임사 인수가 본격화되는 모양새다. 새비 게임즈 그룹은 5일(현지시간) 49억 달러(약 6조4600억원)를 투입해 스코플리를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새비 게임즈 그룹은 이번 스코플리 인수를 통해 글로벌 게임 커뮤니티에 게임을 공급할 수 있는 능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새비 게임즈 그룹의 스코플리 인수 작업은 향후 규제 기관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인수가 완료되면 스코플리는 새비 게임즈 그룹 산하 게임사로 자율적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새비 게임즈 그룹은 스코플리에 대한 장기적인 재정 지원을 통해 회사 규모를 성장시킨다는 계획이다. 스코플리는 2011년 설립됐으며 다양한 모바일 게임의 개발, 퍼블리싱한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스코플리 라인업에는 스타트랙 플렛 커맨드, 스텀블 가이즈, 스크러블 GO, 야츠 위드 버디스 등이 있다. 국내에서는 국내 게임사인 버드레터에 전략적 지분 투자를 하며 알려진 바 있다. 새비 게임즈
[더구루=홍성일 기자] 사우디국부펀드(Public Investment Fund, 이하 PIF)가 슬램덩크, 원피스, 드래곤볼, 세일러문 등의 애니메이션을 제작한 도에이(Toei Company, Ltd.)의 지분을 추가매수했다. PIF의 일본 엔터테인먼트 업계에 대한 투자가 확대되는 모양새다. PIF가 3일 도쿄 증권거래소에 제출한 변경보고서에 따르면 PIF는 도에이의 지분을 추가 매수해 지분율을 6.03%로 끌어올렸다. PIF는 지난해 4월 도에이의 지분 5%를 매수했다고 공개한 바 있다. 변경보고서에 따르면 PIF는 1월 6일부터 2월 22일까지 28차례에 걸쳐 지분을 매수했다. 이번 추가 매수에 따라 PIF는 도에이의 주식 89만1300주를 확보하게 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까지 PIF는 도에이 지분 매수에만 168억613만엔(약 1615억원)을 투입했다. 지난해 PIF가 5% 지분을 인수할 때 투입한 자본이 141억4345만엔(약 1360억원)이었기 때문에 이번 추가 매수에만 26억5268억엔(약 256억원)을 투입한 것으로 추산된다. PIF가 도에이에 투자한 것은 소셜미디어와 스트리밍 플랫폼 시장의 성장 등으로 애니메이션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기
[더구루=홍성일 기자] 넥슨이 개발하고 있는 메이플스토리M 중국 현지화 버전 서비스에 텐센트가 공동으로 참여한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넥슨은 메이플스토리M의 중국 현지화 버전인 '메이플스토리: 더 레전드 오브 메이플(MapleStory: The Legends of Maple)'을 개발 중이다. 넥슨의 메이플스토리M은 지난해 12월 중국 정부의 판호 발급을 완료하기도 했다. 넥슨은 '메이플스토리: 더 레전드 오브 메이플'의 중국 내 퍼블리싱은 관계사인 '세기천성(世紀天成, Tiancity)'가 맡고 텐센트게임즈가 공동 운영자로 참여한다고 밝혔다. '메이플스토리: 더 레전드 오브 메이플'은 기존 메이플스토리M의 세계관과 특징적인 캐릭터를 기반으로 현지화된 게임을 만들고 있다. 넥슨 측은 "플레이어에게 친숙하면서도 신선하고 뛰어난 모바일 경험을 만들기 위해 신중하게 최적화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넥슨은 '메이플스토리: 더 레전드 오브 메이플'의 정확한 출시 일정 등은 추후에 공개할 계획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故 김정주 넥슨 창업자가 투자했던 이륜 전기차 기업 '릿 모터스(Lit Mortors)'가 오랜 공백기를 깨고 다시 사업을 재개했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릿모터스는 C-1 이륜 전기차 모델의 사전예약을 재개했다. 2015년 사전 주문 이후 2년간 출시를 못해 계약금을 반환한 이후 약 5년여만에 C-1의 사전예약이 재개된 것이다. 이번에 공개된 C-1의 가격은 3만2000달러로 2015년에 비해 8000달러 인상됐다. C-1 사전예약에 참여하고자 하는 사람은 250달러의 계약금만 지불하면 된다. C-1은 2011년 공개된 콘셉트로 이중 자이로스코프를 활용해 넘어지지 않는 이륜차로 알려졌다. 릿 모터스는 2015년 2만4000만 달러에 사전 예약을 시작했지만 2년간 출시를 하지 못했다. 이후 홈페이지 등에도 별도의 정보가 올라오지 않는 등 별다른 활동을 보여주지 않았다. 그러던 지난해 4월 중간에 회사를 떠났던 창업자 대니얼 킴이 5년만에 회사에 복귀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활동이 재개됐다. 릿모터스는 2026년까지 C-1 모델을 1만 대 생산하고 2027년부터 2031년까지는 생산량을 극적으로 늘려 10만 대를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더구루=홍성일 기자] 넥슨의 지주회사 NXC가 소유하고 있는 암호화폐(가상화폐, 가상자산) 거래소 비트스탬프의 CEO 장 밥티스트 그라프티오(Jean-Baptiste Graftieaux)가 암호화폐 산업에 명확한 규제가 필요하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장 밥티스트 그라프티오 CEO는 22일(현지시간) 보도된 비즈니스 인사이더 스페인과의 인터뷰에서 "보다 명확한 규제가 필요하다. 투자자들이 마음의 평화와 더 큰 확신을 가지고 시장으로 돌아오기 바란다"고 밝혔다. 장 밥티스트 그라프티오 CEO는 2023년 가상자산 산업이 다양한 사건, 사고을 겪은 이후 매우 큰 도전에 직면해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투자자 신뢰 회복이 가장 우선 순위가 돼야한다고 전했다. 장 밥티스트 그라프티오 CEO는 "암호화폐 업계는 소수의 나쁜 행위자들로 인해 잃어버린 투자자의 믿음과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두 배로 노력해야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유럽연합이 준비하고 있는 암호화 자산시장 규제안인 MiCA(Markets in Crypto Assets, 미카)에 대한 의견도 밝혔다. 장 밥티스트 그라프티오 CEO는 "EU의 규제가 소비자 보호, 투명성, 거버넌스 표준을 개선해 유럽 투자자들을
[더구루=홍성일 기자] 사우디 국부펀드(Public Investment Fund·PIF)가 일본 게임회사 닌텐도 지분을 추가 확보했다. PIF는 12월부터 닌텐도 지분을 2% 이상 확보하기 위해 1조원 이상을 투입했다. PIF가 15일 도쿄 증권거래소에 제출한 변경보고서에 따르면 PIF는 닌텐도 지분을 추가 매수해 7.08%(9196만7400주)를 확보했다. 이는 지난달 12일 신고한 6.07%에 비해 1.01% 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변경보고서에 따르면 PIF는 1월 5일부터 2월 8일까지 13차례에 걸쳐 1.01% 지분을 인수했다. PIF는 지난달 12일 변경보고서를 통해 지분 확대를 알린 이후에도 추가 지분 매수를 이어왔다. 지난달 공개된 변경보고서에서는 2022년 12월 19일부터 2023년 1월 4일까지 11차례에 걸쳐 매수했다고 밝혔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까지 PIF가 닌텐도 지분 매수에만 5583억1615만엔(약 5조3444억원)을 투입했다. 지난 1개월간 닌텐도 추가 주식확보에 PIF가 716억7374만엔(약 6860억원)가량을 투입한 것으로 추산된다. 지난해 12월로 확장하면 2월까지 PIF가 닌텐도 지분 확보에만 1477억916만엔(약
[더구루=홍성일 기자] 넥슨의 지주회사 NXC가 소유하고 있는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스탬프가 프랑스로 사업을 확장했다. 비트스탬프는 암호화폐 겨울 속 다음 강세장을 준비하고 있다. 비트스탬프는 지난 7일(현지시간) 프랑스 금융시장청(AMF) 디지털 자산 서비스 제공업체(DASP)에 등록됐다. 비트스탬프 이전에 DASP 등록을 마친 거래소는 비트판다, 바이낸스, 영플랫폼 등이 있다. 비트스탬프는 DASP 등록에 따라 프랑스에서 합법적으로 디지털 자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향후 비트스탬프는 프랑스에서 디지털 자산 보관, 법정화폐 디지털 자산 매매 등 디지털 자산 거래 플랫폼을 운영할 수 있다. 비트스탬프는 암호화폐 겨울이 이어지는 가운데 라이선스 획득 지역을 확대해 다음 강세장에 대비할 계획이다. 이번 프랑스 DASP 등록도 이 과정에서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비트스탬프는 DASP 등록으로 프랑스 사업의 원동력을 강화하는 것은 물론 향후 이뤄질 규제 강화에도 대응력을 높이게 됐다. 현재 프랑스 금융당국 등에서는 암호화폐 기업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특히 지난달 24일(현지시간) DASP 라이선스 획득을 2024년 의무화하는 법안이 프랑스 의회를
[더구루=홍성일 기자] 넥슨이 26일 에이스톰이 개발한 신작 액션 MORPG '나이트 워커(Night Walker)'를 국내 정식 출시했다. '나이트 워커'는 액션성을 앞세운 PC 플랫폼 MORPG로 강렬한 타격감과 세련된 조작감을 통해 호쾌한 플레이를 경험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직업으로는 △검사 'B' △격투가 '마리' △마법사 '갈가마귀' △총술사 '맥' △중화기 딜러 '오드리' △액션 서포터 '아라' 등 6개의 기본 캐릭터와 각 전직 캐릭터 2종을 선보여 육성의 재미를 더했으며 동화, 무협, 빙하 등 다양한 세계관이 어우러진 200개의 독특한 스테이지를 구성했다. 박주형 나이트 워커 총괄 디렉터는 "나이트 워커만의 스타일리시한 액션, 호쾌한 타격감을 구현하기 위해 오랜 시간 개발에 매진해왔다"며 "유저분들이 '나이트 워커' 플레이를 통해 액션 영화 속 주인공이 된 듯한 느낌을 경험하길 기대하며 앞으로도 게임의 재미를 우선시해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넥슨은 나이트 워커 출시를 기념해 내달 23일까지 다양한 이벤트를 실시한다. 게임의 튜토리얼을 완료한 유저에게는 추첨을 통해 치킨 기프티콘을 제공하고
[더구루=홍성일 기자] 넥슨의 지주회사 NXC가 소유하고 있는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스탬프의 CEO 장 밥티스트 그라프티오(Jean-Baptiste Graftieaux)가 암호화폐 시장에 대해서 전망했다. 장 밥티스트 그라프티오 CEO는 12일(현지시간) 미국의 경제전문매체 CNBC와의 인터뷰에서 "2023년이 생태계에 더 나은 해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현재는 시장에 "긍정적인 징후는 거의 없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장 밥티스트 그라프티오 CEO는 2년 내에 상승장이 올 것이라고 예고하며 "인플레이션,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와 같은 상황이 통제되면 비트코인이 상승 그래프를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장 밥티스트 그라프티오 CEO는 비트스탬프의 안정성에 대해서도 밝혔다. 장 밥티스트 그라프티오 CEO는 "비트스탬프는 고객의 자금을 충당할 수 있는 충분한 자금을 보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비트스탬프는 부동산이나 다른 어떤 자산을 구매하기 위해 고객의 돈을 건드리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장 밥티스트 그라프티오 CEO는 이전에도 암호화폐 겨울에 대해서 미래를 준비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지난해 9월 비즈니스 정보 네트워크
[더구루=홍성일 기자] 넥슨과 갤럭시인터랙티브가 일본의 게임 프로젝트 '오아시스'에 베팅했다. 오아시스는 공개 토큰 판매도 12시간만에 성료하며 업계와 관심을 증명했다. 오아시스는 지난 6일 전략적 자금 조달 라운드를 통해 신규 자본 유치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오아시스는 자금 조달 규모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이번 펀딩에는 갤럭시인터랙티브, 넥슨, 프레스토 랩스, MZ 웹3 펀드, 하이퍼리즘, 제츠 캐피탈, 제이스퀘어, AAG, YJM 게임즈, 체인가디언즈 등이 참여했다. 오아시스는 전략적 자금 조달 라운드에 이어 진행한 공개 토큰 판매에서도 상당한 자금을 조달했다. 11월 30일부터 12월 4일까지 5일간 진행된 토큰 판매에는 60개국의 투자자들이 참여했으며 12시간만에 목표한 금액을 달성했다. 이번 토큰 판매는 일반 투자자가 오아시스에 처음으로 투자할 수 있는 기회였다. 오아시스는 이번에 확보한 자금을 기반으로 유효성 검사기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게임 파트너 풀도 확장한다. 이를 통해 오아시스 생태계 전반을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오아시스 관계자는 "최고의 게임 개발자, 웹3 최대 기관 투자자, 전세계 개인 투자자들의 지원과 귀중한 전문지식을 통해 커뮤니
[더구루=김은비 기자] 미국 최대 희토류 및 우라늄 생산 기업 에너지퓨얼스(Energy Fuels)가 미국 콜로라도주에서 채굴된 고농도 우라늄 확보에 나선다. 원자력 발전의 핵심 연료인 우라늄을 현지에서 확보해 자국 내 공급망을 강화하는 한편, 에너지 안보 확보에도 나서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웨스턴 우라늄 앤드 바나듐(Western Uranium & Vanadium, 이하 웨스턴) 등에 따르면 에너지퓨얼스는 최근 웨스턴과 연간 최대 2만5000톤(t) 규모의 우라늄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구체적인 계약 금액은 밝혀지지 않았으며 우라늄 등급에 따라 납품 단가가 산정될 전망이다. 계약에 따라 웨스턴은 다음달부터 미국 콜로라도 주 썬데이 광산단지에서 채굴한 고농도 우라늄을 유타주에 위치한 에너지퓨얼스의 화이트 메사 제련소에 납품할 예정이다. 화이트 메사 제련소는 현재 미국에서 유일한 전통 우라늄·바나듐 제련소로 꼽힌다. 미국 콜로라도에 본사를 두고 있는 웨스턴은 고등급 우라늄과 바나듐 자원을 보유한 광산 개발 전문 기업이다. 썬데이 광산단지를 비롯해 콜로라도, 유타 등 다수 전통 광산을 운영하고 있다. 에너지퓨얼스는 미국 최대 우라늄과 희토류
[더구루=정예린 기자] 호주 소재기업 '에코그라프(EcoGraf)'가 독자 개발한 'HF프리(HFfree)' 정제 기술의 상용성과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글로벌 배터리 제조업체들과의 협력을 확대하며 중국 의존도를 줄이려는 소재 업계의 새로운 공급망 대안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에코그라프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호주 특허청으로부터 두 번째 HF프리 특허에 대한 승인을 받았다. 이번 특허는 음극재 생산뿐 아니라 △고순도 흑연 제품 제조 △리튬이온배터리에서 회수한 음극재 재활용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HF프리 기술을 적용할 수 있도록 보호 범위를 확대한 것이 특징이다. HF프리는 불화수소(HF)를 쓰지 않고 친환경적으로 흑연을 정제하는 기술이다. 호주 퍼스에 위치한 제품인증시설(PQF)에서 HF프리 기술을 활용해 고순도 구형정제흑연(SPG)을 생산, 99.99%의 순도와 고객이 요구하는 주요 화학적 기준(철·실리콘·황·알루미늄 함량 등)을 충족하는 성능을 입증했다. 에코그라프는 지난 2월에도 PQF에서 배터리 음극재 원료인 고순도 SPG를 연속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를 기반으로 글로벌 화학 기업과 비구속적 계약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