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대한조선이 그리스 선사 아틀라스 마리타임으로부터 유조선 2척을 수주했다. 이번 수주는 지난 7월 같은 선사에서 수주했던 유조선 2척의 옵션을 발효한 계약이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조선은 최근 아틀라스 마리타임에서 15만7000DWT급 수에즈막스 원유운반선 2척의 건조를 주문받았다. 선박은 2025년 9월부터 2026년 1월 사이에 인도될 예정이다. 수에즈막스 유조선은 화물을 만재한 상태에서 수에즈 운하를 통과할 수 있는 유조선을 말한다. 통상 13만~15만t 범위의 크기를 가진다. 배의 밑바닥이 수에즈 운하의 밑바닥처럼 뾰족하게 건조한 것이 특징이다. 신조선은 지난 7월 아틀라스가 대한조선에 주문한 자매선으로 건조된다. 스크러버가 장착되고 기존 연료를 사용한다. <본보 2023년 7월 21일 참고 대한조선, 그리스서 '2100억원' 규모 유조선 수주> 선가는 척당 8500만 달러(약 1099억원)로 수주가는 1억 7000만 달러(약 2189억원) 수준이다. 대한조선의 단골 선사인 아틀라스는 이번에 주문한 신조선으로 대형 유조선 부문 진출한다. 아틀라스는 지난 2020년 대한조선에 2척 선박을 각각 4500만 달러(약 6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한조선이 방글라데시에서 처음으로 중대형급 유조선(LR2)을 수주했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조선은 지난 20일 MJL 방글라데시와 11만5000DWT급 LR2탱커 건조 계약을 체결했다. LR2탱커는 액체화물운반선의 크기별 분류 기준으로, 순수화물 적재량 8만DWT 이상~16만DWT 미만의 액체화물운반선을 가리킨다. 선가는 7500만 달러(약 959억원) 수준으로, 선박 인도는 2026년 1분기이다. 아잠 제이 초두리(Azam J Chowdhury) MJL 방글라데시 전무이사는 "새로운 유조선은 LNG를 적재할 수 있으며, 방글라데시 국기를 단 가장 큰 선박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방글라데시 원양선주협회(Bangladesh Ocean Going Ship Owners Association)에 따르면 현재 방글라데시 국적 원양 선박이 60척 이상 있지만, 그 중 11만5000DWT의 용량을 가진 선박은 없다. MJL 방글라데시는 방글라데시 다카의 투자은행 EC 시큐리티즈 리미티드(Securities Limited)와 방글라데시 석유 공사의 자회사 자무나 오일 컴퍼니(Jamuna Oil Company)의 합작회사다. 방글라데시 최초의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한조선이 그리스에서 수에즈막스급 유조선을 수주했다. 21일 선박 중개업체인 얼라이드(Allied)에 따르면 대한조선은 그리스 아틀라스 마리타임(이하 아틀라스)으로부터 15만8000DWT급 수에즈막스 유조선 4척을 수주했다. 확정물량 2척에 옵션 2척이 포함됐다. 신조선에는 스크러버가 장착된다. 선가는 척당 8400만 달러로 2척의 수주가는 1억6800만 달러(약 2147억원)이다. 신조선은 2025년과 2026년에 인도될 예정이다. 수에즈막스 유조선은 화물을 만재한 상태에서 수에즈 운하를 통과할 수 있는 유조선을 말한다. 통상 13만~15만t 범위의 크기를 가진다. 배의 밑바닥이 수에즈 운하의 밑바닥처럼 뾰족하게 건조한 것이 특징이다. 이번 주문은 아틀라스의 대형 유조선 부문 진출을 의미한다. 아틀라스는 대한조선의 단골 선사이다. 아틀라스는 2020년 후반에 2척 선박을 각각 4500만 달러(약 629억원)에 주문한 바 있다. 지난해에는 대한조선에 11만5000DWT급 아프라막스 원유운반선 2척을 발주했다. <본보 2022년 10월 6일 참고 대한조선, 1800억원 규모 원유운반선 2척 수주> 대한조선은 수에즈막스급 유조선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한조선이 스위스 선사로부터 수에즈막스급 원유운반선 1척을 수주한다. 5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조선은 스위스 선사인 어드밴티지탱커스(Advantage Tanker)로부터 15만8000DWT급 원유운반선 1척의 건조를 주문받았다. 선박은 액화천연가스(LNG) 이중 연료를 사용하고 스크러버가 장착된다. 신조선가는 7900만 달러(약 1000억원)이다. 오는 2025년 9월 인도할 예정이다. 대한조선은 지난 2월 동급 선사와 15만8000DWT급 원유 탱커 3척의 건조의향서(LOI)를 체결한 바 있다. <본보 2023년 2월 15일 참고 대한조선, 스위스 어드밴티지탱커스와 유조선 3척 건조의향서 체결> 이번 주문은 당시 계약에서 남은 1척의 옵션을 발행한 것이다. 앞서 확정 물량 2척은 3월에 건조계약을 체결했다. 두 척은 2025년 2분기에 인도된다. 이번 계약까지 총 3척의 수주가는 4억7400만 달러(약 6043억원)이다. 대한조선은 지금까지 어드밴티지 탱커스와 수에즈막스를 포함해 총 5척의 신조 계약을 체결했다. 2014년에 설립된 어드밴티지 탱커스는 제네바와 런던에 사무소를 두고 있다. 19척의 원유운반선과 6척의 제품 탱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형 조선소인 대한조선이 스위스 해운회사로부터 수에즈막스(suezmaxes) 유조선을 수주한다. 대한조선의 강점인 중형 선박 건조에 집중해 세계적 경쟁력을 갖는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조선은 스위스 어드밴티즈 탱커즈(이하 어드밴티즈)와 15만8000DWT급 선박 3척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 의향서(LOI)에 서명했다. 선박은 LNG 이중 연료를 사용하고 스크러버가 장착된다. 신조선가는 척당 7900만 달러(약 1006억원)이며 3척은 4억7400만 달러(약 6043억원)이다. 대한조선에서 건조해 오는 2025년 인도할 예정이다. 투그룰 톡고즈(Togrul Togkoz) 어드밴티즈 최고경영자(CEO)는 "15만8000DWT급 선박 3척을 건조하기 위한 의향서(LOI)에 서명했다"며 "관련 조선소와 기술적인 논의를 거쳐 최종 계약이 체결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LOI 소식은 어드밴티즈가 대우조선해양으로부터 29만9600DWT급 신조선 Advantage Vital(2023년 건조)을 인수한 지 불과 며칠 만에 나온 것이다. 이번 거래의 성사 여부는 선수금환급보증(RG) 발급에 달렸다. 선박 발주처는 선수금을 떼일 경우를 대비해 조선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한조선이 수에즈막스 유조선 2척을 수주한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그리스 레스티스는 6년 만에 처음으로 15만8000DWT급 수에즈막스 유조선 2척을 발주했다. 유조선 자회사 골든에너지 매니지먼트가 주문한 것으로 선박 주문량에 확정 물량 1척에 옵션 1척이 포함됐다. 신조선은 오는 2024년 말이나 2025년 초에 선박을 인도할 예정이다. 선가는 수에즈막스가 척당 7700만 달러로 2척의 가격은 1억5400만 달러(약 1900억원)가 된다. 신조선은 전통적으로 연료를 공급받고 스크러버가 장착되지 않을 예정이다. 레스티스는 수에즈막스에 관심을 돌려 제품군을 늘리고 있다. 신조선 부족과 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에너지 불안정으로 탈탄소화 노력이 둔화될 수 있어 기존 유조선을 선호하고 있다. 대한조선 관계자는 "레스티즈 패밀리인 골든에너지와 옵션 포함 2척을 계약했다"며 "옵션 선언은 이달 말 결정된다"고 말했다. 한편 레스티스 자회사 골든에너지는 중고 시장에서 6대의 구형 석유화학제품운반선(MR탱커)과 중대형(LR) 탱커를 오프로드 선박을 늘렸다. 작년 6월부터 꾸준히 가격이 상승하는 환경 때문에1억 달러(약 1234억원) 이상의 총 수익
[더구루=길소연 기자] 글로벌 석유 메이저 토탈에너지(TotalEnergies)가 수에즈막스급 셔틀 탱커 주문을 위해 한국과 중국 조선소를 두고 협상 중이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토탈에너지는 16만DWT급 수에즈막스급 유조선 2척의 입찰을 시작한 후 선박을 건조할 4개의 조선소와 논의한다. 입찰을 놓고 경쟁하는 조선소는 한국 한국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 대한조선, 중국 코스코해운 산하 저우산조선소(Zhoushan Shipyard)로 알려졌다. 셔틀탱커는 수에즈막스급인 15~16만DWT 유조선이다. 수에즈막스급은 순수화물 적재량 12만~20만 DWT의 액체화물운반선으로 수에즈운하를 통과할 수 있는 최대 크기의 선형이다. 선가는 척당 최대 1900억원이 들 전망이다. 한국 조선소들이 재래식 연료 셔틀 탱커에 대해 선박당 1억3000만 달러(약 1840억원) 이상을 요구하고 있다. 액화천연가스(LNG) 이중 연료로 건조되는 경우 선박당 600만~800만 달러의 추가 비용이 든다. 반면 중국 저우산조선소는 한국 조선소보다 선박당 400만 달러 낮은 가격을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상대적으로 낮은 인건비를 경쟁력 삼아 양적인 부분에서 내세우고 있다. 건조된 배는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한조선이 인수합병 전문기업 KH인베스트먼트에 소속된 후 첫 번째 건조 계약이 임박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조선은 그리스 아틀라스 마리타임 벨기에 유조선 소유주 유로나브 등과 신조 건조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아틀라스 마리타임은 대한조선에 11만5000DWT급 아프라막스 원유운반선 2척을 주문할 예정이다. 거래가 성사되면 2024년 인도 기준 4개 슬롯을 매진시킨다. 척당 6400만 달러(약 895억원)에 총 2척 거래 규모는 1억2800만 달러(약 1800억원) 수준이다. 아틀라스 마리타임은 대한조선의 단골 선사이다. 아틀라스 마리타임은 2020년 후반에 2척 선박을 각각 4500만 달러(약 629억원)에 주문한 바 있다. 벨기에 유조선 소유자 유로나브도 대한조선과 신조 계약을 맺는다. 유로나브는 15만7000DWT 수에즈맥스 유조선 2척을 주문한다. 신조선에 스크러버를 장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척당 비용은 7500만 달러(약 1049억원)로 추정한다. 총 거래 금액은 2000억원 수준이다. 2024년 인도 예정이다. 대한조선은 KH인베스트먼트가 인수한 두 번째 조선소다. 첫 번째는 케이조선(구 STX조선해양)을 인수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 전자제품 위탁생산(EMS) 기업 위스트론(Wistron)이 엔비디아(NVIDIA)의 인공지능(AI) 서버 생산을 위해 미국 제조 시설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위스트론, 폭스콘 등과 손잡고 미국 AI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제프 린(Jeff Lin) 위스트론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개최된 연례 주주총회에서 "내년 중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 공장을 준공하고 블랙웰(Blackwell) 아키텍처 기반 AI 서버 생산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위스트론 댈러스 공장은 엔비디아의 대대적인 미국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따라 건설된다. 엔비디아는 지난달 최대 5000억 달러(약 690조원)를 미국 AI 인프라 구축에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필요한 슈퍼컴퓨터 등을 미국에서 생산하겠다고 밝히며 폭스콘, 위스트론과 협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폭스콘도 텍사스주 휴스턴에 새로운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폭스콘 휴스턴 공장에서는 반도체 칩 테스트, 모듈 통합 작업 등이 진행된다. 위스트론은 엔비디아 외에 미국 내 추가 고객사 확보에도 나섰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전기차 스타트업 리비안(Rivian)이 차세대 전기 SUV ‘R2’를 통해 본격적인 생산 혁신에 나선다. 핵심은 배선 길이의 획기적인 축소다. 리비안은 기존 R1 모델 대비 R2에서 배선을 대폭 축소하며 차량 경량화와 원가 절감이라는 '두 토끼 잡기'에 나섰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RJ 스캐린지 리비안 최고경영자(CEO)는 자신의 엑스(X, 옛 트위터)에 "전면부 배선 설계도 변경을 통해 R2의 배선 하네스를 R1 대비 약 20kg 경량화 시켰다"고 밝혔다. 리비안은 약 3.2km(2마일) 배선 하네스 경량화 외에도 인라인 커넥터 수는 60% 줄였으며 전자 제어 장치(ECU) 수 역시 기존 17개에서 7개로 감소시켰다. 스캐린지 CEO는 “R2에 적용된 배선 하네스는 네트워크 아키텍처와 존별 ECU를 기반으로 설계돼, 공장 내 설치 편의성을 높이고 전체적인 시스템을 간소화한 것이 특징"이라며 "이를 통해 전선, 클립, 접속 횟수가 크게 줄어들며 생산성과 정비 효율성이 동시에 향상됐다"고 밝혔다. 리비안은 전기 모터 인버터 역시 효율화했다. 기존 R1S, R1T에 쓰이던 ‘엔듀로(Enduro)’ 유닛보다 부품 수를 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