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리튬아메리카스가 북미·아르헨티나 사업부의 분할에 속도를 낸다. 탄산리튬 개발 사업인 태커 패스 프로젝트를 북미 자산에 포함시켜 별도 법인으로 분리한다. 이를 통해 중국 간펑리튬과 거리를 두고 미·중 갈등의 영향을 최소화한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리튬아메리카스는 지난 15일(현지시간) 이사회에서 북미·아르헨티나 사업부를 분할해 독립하는 안건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오는 7월 31일 주주총회에서 의결할 예정이다. 리튬아메리카스는 리튬 아르헨티나(Lithium Argentina)와 리튬 아메리카스(Lithium Americas(NewCo)를 신설한다. 리튬 아르헨티나는 파스토스 그란데스 프로젝트 지분 44.8%와 살 데 라 푸나 사업 지분 65%를 포함해 아르헨티나 자산을 보유하게 된다. 리튬 아메리카스는 네바다주에서 진행 중인 태커 패스 프로젝트 지분을 100% 소유한다. 미국 폐배터리 재활용 기업 어센드엘리먼츠와 호주 리튬 회사 그린테크놀로지메탈스의 지분도 갖는다. 리튬아메리카스가 사업부 분사를 결정한 배경에는 미·중 갈등이 있다. 미국은 중국을 전기차 배터리 공급망에서 배제하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발효했다. 전기차 인센티브
[더구루=오소영 기자] 테슬라가 리튬 정제시설 건설에 나선 가운데 정제만큼 채굴도 중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리튬을 현지에서 조달하지 못하면 수입에 의존해야 해서다. 조나단 에반스 캐나다 리튬아메리카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20일(현지시간) 현지 경제주간지 배런에서 "(일론) 머스크는 문제를 잘못 풀고 있다"며 "우리는 더 많은 채굴 능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머스크 테슬라 CEO는 그동안 리튬 정제의 중요성을 거듭 설파해왔다. 그는 작년 7월 2022년 2분기 실적발표회에서도 "기업들에 리튬 정제 사업에 뛰어들길 촉구하고 싶다"며 "채광은 비교적 쉽지만 정제는 훨씬 어렵다"고 밝혔었다. 테슬라는 미국 텍사스주에서 리튬 정제소 건설에 돌입했다. 연말 시범 운영을 시작하고 12개월 이내에 배터리에 사용할 수 있는 수준의 리튬을 생산할 계획이다. 테슬라의 행보는 높은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자체 공급망을 갖춰야 한다는 위기 의식에서 비롯된다. 중국은 세계 리튬 정제 시장의 약 60%를 차지하고 있다. 리튬 정제에 중점을 두는 머스크의 선택도 나쁘진 않지만 채굴의 중요성이 결코 적지 않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미국 광산 업체 피드몬트리튬 측은 "정제 능력을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테슬라과 제너럴모터스(GM) 등 주요 완성차 업체들이 리튬 회사에 연이어 투자하고 있다. 리튬 업체들의 생산 실패 우려에도 불구하고 배터리 수요가 증가하며 완성차 회사들의 투자 열기는 식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12일 블룸버그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테슬라는 캐나다 시그마리튬 인수를 검토하고 있다. 인수에 성공할 시 캐나다 매뉴라이프 파이낸셜·1832애셋매니지먼트 영국, 메이븐시큐리티즈, 독일 DZ뱅크에 이어 시그마리튬 주식을 보유하게 된다. GM은 지난달 미국 리튬아메리카에 6억5000만 달러(약 8180억원)를 쏟았다. 이는 GM이 배터리 광물에 투자한 사례 중 최대 규모다. 완성차 업체들의 잇단 투자는 리튬의 중요성을 상징한다. 주요국들이 전기차 인프라 개발에 수십억 달러를 투입하고 전기차 보급에 나서면서 핵심 원재료인 리튬 가격은 지난 2년 동안 치솟았다. 몸값은 높지만 주식 시장에서는 저평가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세계 1위 리튬 업체 미국 앨버말의 주가는 우수한 실적에도 불구하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머티리얼즈 지수와 14.8배의 차이를 보인다. 테슬라 주식과 비교하면 56배나 저렴하다. 저평가와 함께
[더구루=오소영 기자] 캐나다 리튬아메리카스가 환경단체들과의 소송에서 사실상 승리했다. 환경 오염 우려로 발이 묶였던 리튬 광산 개발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며 리튬아메리카스에 투자한 제너럴모터스(GM)의 수혜가 예상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네바다주에서 배터리 생태계 구축을 촉진하는 연합체가 출범했다. 전기차 1위인 테슬라와 세계 최대 리튬 생산 업체 앨버말도 참여한다. 8일 업계에 따르면 네바다 배터리연합(Nevada Battery Coalition)은 지난 2일(현지시간) 미국 네바다주 리노에서 열린 '네바다 청정 에너지·교통 회의'(Nevada Clean Energy & Transportation Conference)에서 출범을 알렸다. 협회는 풍부한 리튬 매장량을 활용해 사업 기회를 발굴하고 북미의 선도적인 배터리 허브로 도약하고자 설립됐다. 테슬라와 앨버말, 리튬아메리카스, 아이어니어 USA, 드래곤플라이 에너지, 리시온 배터리, 아쿠아 메탈스, 아메리칸 리튬, 3PL 오퍼레이팅, 콤스톡 등 완성차부터 재활용, 리튬 생산업체 등이 참여했다. 네바다주는 미국의 주요 리튬 매장지다. 미국에서 유일하게 리튬을 채굴할 수 있는 실버 피크 광산은 네바다주에 있다. 이 광산은 1960년대에 개장해 연간 5000만t을 생산해왔다. 미국 리튬 아메리카스와 호주 아이어니어도 네바다주에 진출했다. 리튬 아메리카스는 리튬 광산인 '태커패스'(Thacker Pass) 채굴
[더구루=오소영 기자] 캐나다 리튬아메리카스(Lithium Americas)가 약 3000억원을 투자해 아레나 미네랄즈(Arena Minerals Inc, 이하 아레나)를 품었다. 아르헨티나 사업을 결합해 시너지를 내며 배터리 핵심 소재인 리튬 시장에서 영향력을 강화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리튬아메리카스(Lithium Americas Corp)가 캐나다 아레나 미네랄스(Arena Minerals Inc., 이하 아레나)와 아르헨티나 리튬 광산 개발에 손을 잡았다. 기술 위원회를 꾸려 개발 시나리오를 검토한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CATL이 배터리 내부 구조를 최적화해 제한된 공간에서도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설계 방식에 대한 특허를 확보했다. 상용화시 전기차용 파워팩과 대형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에서 배터리 효율과 안정성을 동시에 개선할 수 있어 CATL의 차세대 배터리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애플이 차세대 에어팟에 탑재될 'H3' 칩 개발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애플이 새로운 H 칩 개발을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어떤 제품에 탑재될지를 두고 다양한 분석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