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세계 해상풍력발전 1위 기업인 덴마크 '오스테드(Orsted)'가 오는 2025년까지 모든 공급업체에 100% 재생 에너지를 사용하도록 권고하면서 국내 공급업체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오스테드는 2025년까지 모든 공급업체를 100% 재생 에너지로 전환한다는 목표이다. 이는 2040년까지 에너지 산업의 탄소 배출 순 제로 목표를 지원한다. 오스테드 2006년 이후 스코프1(Scope 1)과 스코프2(Scope 2) 배출 강도를 87% 줄였으며, 2025년까지 탄소 중립을 달성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특히 오스테드는 부품 조달 가치의 60%를 차지하고 있으며, 가장 탄소 집약적인 분야의 전략적 공급업체와 협력해 해상 풍력 공급망을 탈탄소화하고 있다. 전략적 공급업체가 풍력 터빈, 기초, 케이블, 변전소, 기타 부품, 서비스 제조에 100% 재생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공급업체의 대다수는 100% 재생 에너지를 사용하고, 15%는 2025년까지 100% 재생 에너지 목표를 달성하기로 약속했다. 오스테드가 공급망에 탈탄소화를 압박하면서 국내 업체도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국내 협력업체는 △두산에너빌리티 △세
[더구루=윤진웅 기자] 해상풍력 플랜트 제조사 삼강엠앤티(삼강M&T)가 미국 엔지니어링 업체 '이거닷원'(Eager.one)에 원격 재킷인양 장비(Jacket Lifting Tool) 발주를 넣었다. 대만 해상풍력단지 조성 사업인 '하이롱 프로젝트'에서 맡은 임무를 달성하기 위해서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삼강엠앤티는 최근 이거닷원과 원격 JLT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이거닷원은 최고 2500톤 하부 구조물(재킷)을 처리할 수 있는 원격 JLT를 설계, 삼강엠앤티에 공급할 예정이다. 하부 구조물은 상부 구조물인 터빈과 타워의 안정성을 담보하는 해상풍력의 핵심 설비를 말한다. 삼강엠앤티는 원격 JLT를 '하이롱 프로젝트'에 투입할 계획이다. 이는 대만 서해안에서 약 50㎞ 떨어진 수심 55m 이상 해상에 1GW 규모 해상풍력단지를 건설하는 프로젝트다. 앞서 삼강엠앤티는 지난 1월 해상풍력 건설업체 CDWE와 5729억원 규모 하부구조물 독점공급계약(ECA)을 체결하고 오는 2024년 12월까지 총 52개, 10만톤 규모 하부구조물을 공급하기로 한 바 있다. 삼강엠앤티는 해상풍력의 하부구조물 제작 분야에서 국내 최고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평
[더구루=길소연 기자] 글로벌 에너지·해양 컨설팅 기업인 ABL(AqualisBraemar LOC)이 호주 바로사 해양프로젝트의 해사검정보증인(MWS) 서비스에 나서면서 삼강엠앤티(M&T)와의 선체 건조 조업을 승인했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ABL은 BW 오프쇼어와 바로사 FPSO의 MWS 서비스 계약을 맺은 가운데 작업 범위에 따라 조선·해양 플랜트 사업을 하는 삼강엠앤티와 협업을 승인했다. ABL이 맡은 MWS는 선박 발주처들의 이익을 보호하는 서비스다. 해양 플랜트 분야의 전문적인 기술, 보험 지식 등을 갖춘 사람이 조선소의 설계 변경, 공정 지연 등의 문제로 선적이 지연될 시 발주처를 대변해준다. ABL은 작업 범위에 따라 △한국 삼강앰엔티 야드에서의 선체 건조와 관련된 해상조업 △한국에서 싱가포르 케펠조선소까지의 탑사이드 모듈 운송과 통합 △STP 터렛 설치와 관련된 해양 작업에 대한 제 3자 검토·승인을 제공한다. STP는 선박에서 분리가 가능한 형태로 일반적인 선체 내장형 보다 헐(Hull)에서의 부피가 작고, 폭풍우 등 비상시, 자체 동력으로 부유식 해양 LNG 액화플랜트(LNG-FPSO) 이동이 가능해진다. ABL 관계자는 "호주 근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만이 해상풍력 사업을 확대하면서 씨에스윈드와 삼강엠앤티(삼강M&T), LS전선 등의 대만 해상풍력발 수혜 기대감이 높아진다. 이들 모두 대만 1차 해상풍력 사업을 수주하면서 향후 사업자 선정에서 우위를 선점했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대만 경제부는 2026년에서 2035년 사이 10년 동안 총 15GW의 새로운 용량이 추가될 3차 해상 풍력 개발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3차 해상풍력 사업에 대한 규정 초안을 보면 2026년부터 2035년까지 10년에 걸쳐 총15GW의 해상 풍력을 설치한다. 대만은 차이잉원 타이완 총통 공약대로 2035년까지 해상풍력 단지를 조성하고 있다. 전체 3단계 사업 중 1단계는 3GW 규모로 2026~2027년 기간에 진행하고, 2단계 6GW 공사는 2028~2029년 중 실시할 예정이다. 이렇게 2031년까지 총 9GW 해상 풍력 용량을 추가한 뒤에 2032년부터 2035년까지 6GW 용량을 해상그리드(Grid)에 연결해 총 15GW 용량의 해상 풍력단지가 조성된다. 대만 정부는 3단계 개발업체 선정을 항목별 적격심사를 거쳐 입찰금액 비교 방식으로 사업자를 선정할 방침이다. 3GW 용량의 1단계 사업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지리그룹의 오너가가 세운 로보틱스 기업 '쑤저우원스타로보틱스(苏州一星机器人, 이하 원스타)'가 해산한다. 직원들을 해고하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흔적을 지우고 있다. 테슬라와 보스턴다이내믹스를 매섭게 추격하겠다는 당찬 포부로 창립 3개월 만에 첫 로봇을 공개했으나 갑작스레 해체 수순에 돌입, 그 배경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스텔란티스(Stellantis)가 중국 자율주행 기술기업 포니닷에이아이(Pony.ai)와 손잡고 유럽 시장에서 레벨4(완전 자율주행) 전기밴 상용화에 나선다. 양사는 내년부터 유럽 주요 도시에서 실증 주행을 시작, 밴 모델을 중심으로 공동 개발에 착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