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한미약품의 파트너사인 미국 제약업체 오가논(Organon)이 아르헨티나에 진출하며 남미 시장 공략에 나섰다. 한미약품은 한국오가논의 코자엑스큐를 위탁 제조하고 있다. 코자엑스큐는 고혈압 치료를 위해 개발된 의약품이다. 23일 인포배(Infobae)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오가논이 아르헨티나 시장에 1000만 달러(약 140억원)를 투자한다. 아르헨티나 시장에 피임약 공급에 나설 예정이다. 오가논은 매년 세계 피임의 날(International Contraception Day)을 맞아 피임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기 위한 캠페인을 펼치는 등 피임 분야에 주력하고 있다. 이밖에도 다양한 영역을 아우르는 60개 이상의 의약품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있다. 오가논은 아르헨티나 부에노스 아이레스주에 있는 도시 필라(Pilar)에 품질 관리 연구소를 운영하며 70명의 직원을 고용할 전망이다. 직원의 54%는 여성으로 채운다. 지난해 남미에 진출한 오가논이 아르헨티나에서도 영향력 확대를 위해 힘쓰는 모양새다. 오가논이 지금까지 남미 시장에 투자한 금액은 4000만 달러(약 560억원)에 달한다. 오가논은 앞서 지난 5월 중순 포르투갈 리스본에 공유 서비
[더구루=김형수 기자] 한미약품의 파트너사인 미국 제약업체 오가논(Organon)이 포르투갈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 유럽을 넘어 글로벌 무대에 거점을 삼겠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업계에 따르면 오가논은 포르투갈 리스본에 공유 서비스 센터를 열기 위한 준비 작업을 펼치고 있다. 공유 서비스 센터는 올해 중반부터 운영을 시작할 전망이다. 내년에는 200명가량의 풀타임 직원이 이곳에서 일할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지난해 6월 머크(MSD)에서 분사되면서 설립된 오가논은 지난해 5000만 유로(약 667억원)에 달하는 매출을 올렸다. 올해는 2.5% 정도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오가논은 지난해 9월 포르투갈에 첫발을 디디며 일찌감치 해외 시장 공략에 대한 의지를 나타냈다. 현재는 70명 정도의 직원이 포르투갈에서 일하고 있다. 리스본에 들어설 공유 서비스 센터는 재무, 인적 자원, 조달 등 사업 전반에 걸쳐 오가논의 국제 규모의 사업 운영을 뒷받침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현재 오가논은 이곳에서 일할 사람을 뽑기 위한 채용도 실시하고 있다. 20여명의 사람들이 채용 과정을 진행하고 있다. 50여개국을 대상으로 다양한 언어로 서비스를 제공할 역
[더구루=김다정 기자] 한미약품의 파트너사인 오가논이 캐나다에서 피임 임플란트 '넥스플래논'(Nexplanon)을 출시한다. 오가논은 8일(현지시간) 오는 10일부터 캐나다 퀘백에서 넥스플래논을 판매한다고 발표했다. 퀘백주는 이번에 비보험 의료 혜택 프로그램, 재향 군인 문제를 포함해 공공처방집에 넥스플래논을 등재했다. 앞서 2020년 캐나다 보건부는 넥스플래논을 승인한 바 있다. 프랑스 르둑 캐나다 산부인과 의사는 "계획되지 않은 임신은 여전히 중요한 공중 보건 문제로 남아있다"며 "이번 발표로 더 많은 환자가 의도하지 않음 임신을 예방하기 위해 지속형 피임약에 대한 더 많은 선택권과 접근성을 갖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넥스플래논은 최대 3년 동안 임신을 예방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게스틴 전용 호르몬 임플란트다. 다만 HIV/AIDS를 포함한 성병(STI)으로부터 환자를 보호하지 못한다. 임플란트는 팔의 피하로 삽입된다. 특히 넥스플래논은 여성건강 독립회사로 출발한 오가논의 성장세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오가논은 올해 6월 초 머크로부터 분사했다. 오가논은 독립 후 첫 분기에 약 16억 달러(약 1조8845억원)의 수익을 올렸는데, 이는 넥스프래논과 불임
[더구루=홍성일 기자] 메타가 글로벌 에너지 기업 '어플라이드 에너지 서비시스(Applied Energy Services Corporation, AES)'와 태양광 에너지 공급 계약을 맺었다. 메타는 이번 계약을 통해 미국 중남부 지역 데이터센터 전력망을 강화한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업계에 따르면 메타는 AES와 2건의 장기 전력 구매계약(PPA)를 체결했다. 이번 계약으로 메타는 총 650메가와트(MW) 규모 태양광 발전 용량을 확보하게 됐다. 이번 계약은 AES가 텍사스와 캔자스에서 진행하고 있는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에 따라 이뤄졌다. AES는 텍사스에서 400MW, 캔자스에서 250MW 규모 태양광 발전 시설을 구축하고 있다. 해당 시설이 완성되면 텍사스를 비롯한 미국 중남부 지역에 전력을 공급하는 사우스웨스트 파워 풀(SPP) 전력망과 연결된다. AES와 메타는 전력 공급 시작 시점과 기간 등 상세한 계약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AES 대변인은 "통상 상업 운영 시작 2~3년 전에는 구매계약을 체결하며, 평균 계약 기간은 15~20년"이라고 설명했다. 메타는 AES에서 공급받은 전력을 텍사스 주와 캔자스 시티에 위치한 데이터센터 가동에 투입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 1위 디스플레이 업체인 BOE(징둥팡, 京東方)가 8.6세대(유리원장 크기)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생산개시 채비에 들어갔다. HB테크놀러지, 한화모멘텀, 로체시스템즈 등 국내산 디스플레이 장비업체의 설비가 들어가는 BOE의 OLED 패널 생산기지는 중국 OLED 생산능력을 확대하는데 일조한다. BOE는 중국 최초이자 세계 첫 최신 세대 AMOLED 생산으로 글로벌 OLED 시장의 주도권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시장조사업체 위츠뷰(witsview)에 따르면 BOE는 쓰촨성 청두(成都) 하이테크 산업개발구에 건설한 AMOLED 공장에 공정 장비를 반입하기 시작했다. AMOLED 생산라인 반입 프로젝트는 당초 예정보다 4개월 앞당겨졌다. 공장이 지난해 3월 착공해 약 6개월만에 완공되자 설비 반입 작업도 빨라졌다. 반입되는 장비 중에는 국내 디스플레이 장비 업계의 장비도 있다. BOE는 지난해 마스크 결함검사 장비, 박막봉지(TFE) 에이징용 원적외선 오븐 장비, 8세대 원장 커팅장비를 공급하는 업체로 각각 HB테크놀러지, 한화모멘텀, 로체시스템즈 등을 선정했다. 자동광학검사(AOI) 장비에 특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