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코스닥 상장사 인콘의 미국 바이오 자회사인 자이버사테라퓨틱스(ZyVerSa Therapeutics)가 나스닥 상장에 성공했다. 신약 개발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나스닥에 상장한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 라크스퍼 헬스 애퀴지션(Larkspur Health Acquisition)은 지난 8일(현지시간) 열린 임시 주주총회에서 자이버사 합병안을 승인했다고 13일 밝혔다. 양사는 앞서 지난 7월 합병 계약을 맺은지 반년 만에 작업을 완료했다. 이에 사명을 라크스퍼에서 자이버사로 변경하고 거래를 시작할 예정이다. 종목 코드는 'ZVSA'다. 합병 기업의 가치는 1억892만 달러(약 1430억원)로 예상된다. 자이버사는 이번 상장을 통해 최대 1250만 달러(약 160억원)의 현금을 확보했다. <본보 2022년 7월 21일자 참고 : [단독] 인콘 美 자회사 자이버사, 나스닥 상장 공식화…스팩 합병 계약> 자이버사는 지난 2014년 설립한 바이오 기업이다. 만성 신장 희귀질환인 국소불절성 사구체경화증(FSGS)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한 세계 최초의 의약품 VAR200을 개발하고 있다. 염증조절복합체 신약 파이프라인 IC100은
[더구루=홍성환 기자] 인콘의 미국 바이오 자회사 자이버사테라퓨틱스(ZyVerSa Therapeutics)가 미국 증시 입성 초읽기에 들어갔다. 증권당국으로부터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 합병을 승인 받음에 따라 내달 상장할 예정이다. 신약 개발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나스닥에 상장한 스팩인 라크스퍼 헬스 애퀴지션(Larkspur Health Acquisition)은 내달 8일(현지시간) 특별 주주총회를 열고 자이버사와 합병안을 처리한다고 17일 밝혔다. 양사는 앞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로부터 합병 서류에 대해 '유효'하다는 승인을 받았다. 내달 주총을 거쳐 합병 절차가 마무리되면 나스닥에서 자이버사로 거래를 시작하게 된다. 합병 계약을 맺은지 반년 만이다. 종목 코드는 'ZVSA'다. 합병 기업의 가치는 1억892만 달러(약 1450억원)로 예상된다. <본보 2022년 7월 21일자 참고 : [단독] 인콘 美 자회사 자이버사, 나스닥 상장 공식화…스팩 합병 계약> 자이버사는 지난 2014년 설립한 바이오 기업이다. 만성 신장 희귀질환인 국소불절성 사구체경화증(FSGS)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한 세계 최초의 의약품 VAR200
[더구루=홍성환 기자]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와 합병을 통해 미국 증시 상장을 추진 중인 인콘의 미국 바이오 자회사 자이버사테라퓨틱스(ZyVerSa Therapeutics)가 약 140억 원의 투자를 확보했다. 자이버사와 나스닥에 상장한 스팩인 라크스퍼 헬스 애퀴지션(Larkspur Health Acquisition)은 합병과 관련해 현재 850만 달러(약 120억 원) 규모의 상장지분 사모투자(PIPE) 약정을 맺었다고 27일(현지시간) 밝혔다. 이와 함께 자이버사의 시리즈A 전환 우선주를 통해 150만 달러(약 20억 원) 규모 브릿지 투자를 추가로 마감했다. 이에 현재까지 확보한 자금은 1000만 달러(약 140억 원)다. 자이버사는 4분기 합병 완료를 목표로 기업공개(IPO) 작업을 진행 중이다. 합병 절차가 마무리되면 나스닥에서 자이버사로 거래를 시작하게 된다. 종목 코드는 'ZVSA'다. 합병 기업의 가치는 1억892만 달러(약 1550억원)로 예상된다. <본보 2022년 7월 21일자 참고 : [단독] 인콘 美 자회사 자이버사, 나스닥 상장 공식화…스팩 합병 계약> 자이버사는 지난 2014년 설립한 바이오 기업이다. 만성 신장
[더구루=홍성환 기자] 코스닥 상장사 인콘의 미국 바이오 자회사인 자이버사테라퓨틱스(ZyVerSa Therapeutics)가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 합병을 통해 미국 증시 상장에 나선다. 자이버사는 20일(현지시간) 나스닥에 상장한 스팩인 라크스퍼 헬스 애퀴지션(Larkspur Health Acquisition)과 합병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오는 4분기 합병을 완료할 예정이다. 합병 절차가 마무리되면 나스닥에서 자이버사로 거래를 시작하게 된다. 종목 코드는 'ZVSA'다. 합병 기업의 가치는 1억892만 달러(약 1400억원)로 추정된다. 스테판 글로버 자이버사 회장은 "합병과 공개 시장 진출로 우수하고 안전한 약물이 필요한 신장·염증성 질환 표적 환자를 위한 파이프라인 후보 개발에 속도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다니엘 오코너 라크스퍼 회장은 "자이버사는 VAR200, IC100 등 두 가지 흥미로운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며 "주주들에게 상당한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했다. 자이버사는 지난 2014년 설립한 바이오 기업이다. 만성 신장 희귀질환인 국소불절성 사구체경화증(FSGS)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한 세계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이 독자 개발한 72비트 초전도 양자 컴퓨터 '오리진 우쿵(本源悟空)'이 가동을 시작한 이후 2000만명이 넘는 방문자를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딥시크를 앞세운 인공지능(AI)에 이어 양자컴퓨터 분야에서도 미국과 중국의 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22일 업계에 따르면 초전도 양자 컴퓨터 오리진 우쿵의 원격 방문자 수가 2000만 건을 넘어섰다. 오리진 우쿵은 가동 이후 총 33만9000개 양자 컴퓨팅 작업을 수행했다. 지난해 6월 발표된 자료에서는 총 방문자수 800만명, 양자 컴퓨팅 작업은 18만 건이 진행됐었다. 오리진 우쿵에 대한 접속은 총 139개 지역에서 이뤄졌으며 미국 이용자들이 가장 많이 방문한 것으로 확인됐다. 미국 외에도 오리진 우쿵에 많이 접속한 나라는 러시아, 일본, 캐나다 등이었다. 오리진 우쿵은 중국 최초의 양자컴퓨터 상용화 기업 오리진 퀀텀(Orign Quantum·本源量子)이 개발한 3세대 초전도 양자 컴퓨터다. 오리진 퀀텀은 2017년 설립됐으며 2020년 6큐비트 1세대, 2021년 24큐비트 2세대 양자컴퓨터를 공개한 바 있다. 오리진 우쿵에는 72개의 계산 큐비트와 126개의
[더구루=홍성일 기자] 우크라이나군이 러시아군의 최신 지상 방공체계 'S-350 비티야즈(Vityaz)'을 파괴하는 모습을 담은 영상이 공개됐다. 러시아군이 최전선에 최신 방공체계를 투입한 것에 대해 장비 부족 문제가 거론되고 있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우크라이나군 포병 정찰 여단인 '초르니 니스(Chornyi Lis)'는 17일(현지시간) 유튜브를 통해 러시아군의 S-350 방공시스템을 탐지, 파괴했다며 영상을 업로드했다. S-350 비티야즈는 지난 2019년 12월 러시아군에 인도되기 시작한 최신 지상 방공체계로, 고도 30km에서 비행하는 공중 표적 12개를 동시에 공격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러시아군은 2027년까지 S-350 발사대 144대를 확보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국제 전략 연구소에서 발행한 더 밀리터리 밸런스 2024(The Military Balance 2024)에 따르면 러시아군은 지난해 초까지 S-350 발사대를 6대 밖에 확보하지 못했다. 영상은 우크라이나군의 정찰 드론으로 촬영한 것으로, 나무숲에 전개돼 있는 S-350 이동식 발사대(TEL)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영상 속 S-350 발사대는 우크라이나군의 단 두 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