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윤진웅 기자] 테슬라가 사이버트럭을 통해 입증한 전기차 기술을 토대로 전기차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아키텍처와 배터리 시스템 등 전기차 주요 기능들을 대폭 업그레이드할 계획이다. 다만 독특한 디자인으로 주목을 받았던 스테인리스 스틸 바디는 제외했다. [유료기사코드] 8일 업계에 따르면 테슬라는 최근 4분기 주주총회에서 사이버트럭에 적용한 전기차 기술을 차세대 전기차에 적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이버트럭은 차세대 전기차 개발을 위한 테스트베드이다. 테슬라는 사이버트럭에 적용된 기술 대부분을 차세대 전기차 모델에 적용할 예정이다. 소량 제작하는 고마진 제품을 토대로 신기술을 테스트하고 비로소 완성시킨 셈이다. 구체적으로 사이버트럭에 처음 적용한 48V 기반 전지전자 아키텍처를 비롯해 800V 배터리 시스템 등이 테슬라 차세대 전기차 모델에도 탑재되는 것이다. 기존 테슬라 전기차들은 12V 기반 전지전자 아키텍처와 400V 배터리 시스템을 사용해 왔다. 스티어링 바이 와이어, 이더루프(Etherloop), 양방향 충전 기능 등도 차세대 전기차 모델에 적용될 가능성이 높은 기능들로 주목받고 있다. 적층 유리와 후륜 조향 및 적응형 에어 서스펜션과 같은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의 시스템 온 칩(SoC) 컴퓨팅 인메모리 기업 누멤(Numem)이 차세대 메모리 기술을 활용한 칩렛 솔루션을 공개했다. 누멤은 새로운 솔루션을 앞세워 고성능컴퓨팅(HPC), 인공지능(AI) 애플리케이션 시장을 공략한다. [유료기사코드] 8일 업계에 따르면 누멤은 차세대 비휘발성 메모리 반도체 'M램(MRAM·자기저항메모리)' 기반 SoC 컴퓨팅 인 메모리 솔루션을 선보였다. 누멤은 새로운 솔루션이 AI 워크로드 전력과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병목 현상을 제거해 기존 메모리 기술 패러다임을 재정의 할 것이라고 소개했다. M램은 데이터 안전성이 높고 빠른 읽기·쓰기 속도, 낮은 전력 소모 등의 특징을 갖춘 메모리 반도체다. 전원이 꺼지면 정보가 사라지는 휘발성 메모리인 D램과 달리 정보가 사라지지 않는 낸드플래시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에 속한다. D램과 낸드의 장점을 결합해 차세대 메모리로 주목받고 있다. 새로운 솔루션에는 누멤의 M램 기술인 누렘(NuRAM)과 스마트멤(SmartMem) 기술이 적용돼 강력한 메모리 성능을 제공한다. 누멤은 누렘과 스마트멤 기술이 다른 M램 솔루션에 비해 훨씬 빠른 속도와 낮은 전력 소비를 달성한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