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표면처리 전문업체 코텍이 미국 수소 생산기술 개발업체 선하이드로겐(SunHydrogen)과 그린수소 패널 생산 확대에 나선다. 그린수소는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기로 물을 분해해 얻는 수소를 말한다. 수전해 방식이라 다른 수소 생산 방식보다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현저히 적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코텍은 선하이드로겐과 1m² 크기의 그린수소 패널 생산에 돌입한다. 생산된 그린수소 패널은 나노입자 기반 그린수소 생산을 꾀하는 여러 시범 프로젝트에 활용될 계획이다. 코텍과 선하이드로겐은 지난해 전기도금 솔루션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본보 2023년 7월 12일 참고 코텍, 美 수업과 손잡고 반도체 증착용 전기도금 솔루션 개발> 이후 그 해 11월 팀 영(Tim Young) 선하이드로겐 최고경영자(CEO)는 코텍을 방문해 선하이드로겐의 기술을 전담하는 신설 연구실의 진행 상황을 직접 확인했다. 코텍은 연구실에서 첨단 산업용 전기도금 기술을 사용해 선하이드로겐의 독점 공정인 나노입자 분리 기술을 성공적으로 복제했다. 코텍이 작년 말 초기 연구 단계를 성공적으로 완료함에 따라 선하이드로겐의 수소 발생기를
[더구루=홍성환 기자] 캐나다 광산업체 알몬티 인더스트리(Almonty Industries)가 강원 영월군 상동광산에서 생산한 텅스텐을 처리할 공장 건설을 추진한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캐나다 광산업체 알몬티 인더스트리(Almonty Industries)가 강원 영월군 상동 텅스텐 광산에 17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캐나다 최대 대마초 업체 가운데 하나인 헥소(HEXO)가 미국 나스닥 퇴출 위기를 벗어나기 위해 주식병합을 추진한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캐나다 대마초 업체 헥소(HEXO)가 인수·합병(M&A) 자금을 조달하고자 1억4000만 달러(약 1640억원) 규모 주식 공모를 실시한다. 2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헥소는 오는 24일(현지시간) 토론토 증권거래소(TSX)에서 기관 투자자들을 대상을 유닛당 2.95달러로 총 4745만7628유닛를 판매할 예정이다. 1유닛은 보통주 1주와 향후 보통주로 전환할 수 있는 워런트 0.5개로 구성된다. 공모 후 5년 내 주당 3.45달러로 워런트를 행사할 수 있다. 이와 함께 30일 내 동일한 조건으로 총 711만8644유닛을 추가 매수할 수 있는 옵션도 제공한다. 이번에 조달한 자금은 캐나다 대마초 업체 레데칸(Redecan)을 인수하는 데 사용할 예정이다. 2013년 설립된 헥소는 캐나다에서 세 번째로 큰 대마초 업체다. 온타리오와 퀘백에 18만5800㎡ 규모 농장 및 생산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현재 토론토 증권거래소와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상장돼 있는데, NYSE에서 나스닥으로 이전 상장을 추진 중이다. 한편, 20일 기준 NYSE에서 헥소의 주가는 주당 2.32달러를 기록 중이다. 올해 들어 42.00% 하락한 수준이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캐나다 소재 개발업체인 나노원 머티리얼즈(Nano One Materials)가 전기차 배터리 핵심 소재인 리튬의 공급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배터리 기술이 주목을 끌고 있다. 성장 잠재력이 충분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해외 투자정보매체 인베스터인텔(Investor Intel)은 "도로 위에 모든 내연기관 자동차를 순수 전기차(BEV)로 전환하겠다는 목표는 최근의 기술 수준을 고려할 때 현실보다는 환상에 가깝다"면서 "원자재, 특히 리튬에 대한 수요는 늘어나지 않는다"고 분석했다. 인베스터인텔는 "리튬 생산량이 오는 2025년까지 두 배 증가하더라도 이는 연간 전 세계 자동차 생산량의 10%만 순수 전기차로 전환할 수 있는 수준"이라며 "더욱이 리튬 생산량이 이러한 가정처럼 확대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것이 인류의 미래를 위해 긍정적이라는 점에는 동의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가진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매체는 "좋은 소식은 이미 리튬이온 배터리를 개선하기 위한 기술을 연구하는 회사가 있다는 점"이라며 나노원을 소개했다. 인베스터인텔은 "나노원은 리튬이온 배터리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월가의 헤지펀드들이 일진그룹이 투자한 캐나다 소재 제약사 오리니아 파마슈티컬스에 대한 비중을 늘렸다. 이 회사가 개발한 루푸스신염 치료제가 미국 시장을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유통을 시작하면서 실적 개선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14일 미국 투자전문매체 인사이더몽키에 따르면 3월 말 기준 27개 헤지펀드가 오리니아 주식을 투자 포트폴리오에 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4분기 말 24곳에서 3곳이 늘었다. 의료 전문 헤지펀드 오비메드어드바이저는 헤지펀드들 가운데 가장 많은 7880만 달러(약 910억원)어치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 킹돈캐피탈이 2270만 달러(약 260억원) 규모로 뒤를 이었다. 또 시타델인베스트먼트, 베이커브로어드바이저, 헬스코르매니지먼트, 블랙클레인캐피탈, 프로사이트캐피탈 등도 이 회사 주식에 투자했다. 인사이더몽키는 "오리니아는 헤지펀드에게 가장 인기 있는 주식은 아니지만 평균 이상의 관심을 받고 있다"면서 "이는 향후 주가 움직임에 긍정적인 신호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오리니아는 미국 나스닥과 캐나다 토론토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제약사다. 일진그룹은 지난 2010년부터 투자해 현재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주식투자 전문매체 모틀리풀은 400달러(약 50만원)로 투자할 수 있는 캐나다 상장사 4곳을 선정했다. 이들 기업은 △고이지(goeasy) △토론토-도미니언은행(TD Bank·Toronto-Dominion Bank) △에어캐나다(Air Canada) △마그나인터내셔널(Magna International) 으로 성장성이 높은 곳이다. 모틀리풀은 "고이지 현재 가장 저평가된 주식 가운데 하나로 장기적으로 접근하는 투자자에게 최고의 선택"이라며 "이 회사의 주가는 올해 들어서만 192%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고이지는 캐나다 온타리오에 본사를 둔 비은행 대출기관이다. 신용대출과 가구 리스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3월 말 기준 대출 잔액은 12억8000만 달러(약 1조4500억원)이다. 지난달 30일(현지시간) 기준 이 회사의 주가는 158.63캐나다달러(14만4860원)다. 모틀리풀은 TD은행에 대해 "캐나다 5대 은행 가운데 하나인 이 회사는 장기 투자자에게 최고의 주식"이라며 "펜데믹 기간 동안 수익이 증가하면서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다"고 했다. TD은행은 캐나다 토론토에 본사를 두고 있는 북미 지역 대형 은행이다. 올해 4월 말
[더구루=홍성환 기자] 전 세계적인 탄소중립 추세에 따라 전기차 산업의 본격적인 성장이 예상되는 가운데 미국 주식투자 전문매체 모틀리풀(The Motley Fool)은 테슬라를 능가할 수 있는 전기차 관련주 세 곳을 선정했다. 유망 종목으로 △마그나인터내셔널(Magna International) △블랙베리(BlackBerry) △그린파워모터스(GreenPower Motor) 등이 꼽혔다. 모틀리풀은 "마그나는 최근 전기차 산업에 진출한 세계 최대 자동차 부품업체로 지난해 LG전자와 파트너십을 맺고 전장 사업과 전기차 파워트레인 사업을 강화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전기차 관련 신설법인의 성공 여부에 따라 투자의 성패가 갈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LG전자와 마그나는 지난 1일 합작사인 LG마그나 이파워트레인을 공식 출범했다. 이날 열린 창립총회와 이사회에서 전장 사업본부와 전기차 파워트레인 사업을 물적분할하는 내용을 의결했다. 올해 매출은 약 5000억원을 전망했고, 오는 2023년에는 1조2000억원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이어 모틀리풀은 "블랙베리는 차량용 소프트웨어 분야의 선두 업체로 이 회사의 QNX 소프트웨어를 탑재한 차량이 전 세계 1억95
[더구루=홍성환 기자] 캐나다 투자정보매체 스몰캡파워(Small Cap Power)는 앞으로 5년 내 최고 15배의 수익률을 기록할 수 있는 캐나다 헬스케어 기업으로 △오리니아 파마슈티컬스(Aurinia Pharmaceuticals) △덴탈코프 홀딩스(Dentalcorp Holdings) △트릴리움 테라퓨틱스(Trillium Therapeutics) △다이알로그 헬스 테크놀로지스(Dialogue Health Technologies) 등 네 곳을 추천했다. 스몰캡파워는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캐나다 헬스케어 기업들은 캐나다뿐만 아니라 전 세계 소비자들에게 의약품과 의료 서비스를 공급할 것"이라며 "이들 기업 네 곳은 오는 2025년까지 최고의 수익률을 기록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오리니아는 면역 치료제 개발 전문 제약업체다. 이 회사가 개발한 루프키니스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승인한 최초의 경구용 루푸스신염 치료제다. 루푸스신염은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10년 이내에 환자 87%가 말기신부전 또는 사망에 이르는 난치병이다. 국내 일진그룹이 이 회사에 투자했다. 덴탈코프는 캐나다 최대 치과 네트워크다. 지난 5월 캐나다 토론토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차 인도법인의 성공적 증시 데뷔 이후 글로벌 완성차 업계에 ‘인도 IPO 바람’이 불고 있다. 이번에는 세계 최대 자동차 메이커 토요타가 인도 자회사 기업공개를 추진, 최대 8억 달러 자금 확보에 나설 전망이다. 현대차에 이어 토요타까지 가세하면서 인도가 새로운 글로벌 완성차 'IPO 격전지'로 부상하고 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에너지부(DOE)가 오클로와 엑스에너지, 테레스트리얼 에너지 등 소형모듈원전(SMR) 기업을 첨단 핵연료 시범 사업자로 선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