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윤진웅 기자] 포드가 전기자동차 관련 특허 출원을 이어가고 있다. 듀얼 충전 포트와 솔리드 액슬 특허 등 전기차 성능에 직접적인 특허 출원에 더해 전기차 트렁크를 워크스테이션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23일 미국 특허청(USPTO)에 따르면 포드는 전기차 트렁크를 워크스테이션으로 활용하는 특허를 출원했다. 이는 머스탱 마하-E와 F-150 라이트닝 등 전기차 모델에 적용된 확장형 트렁크의 용도를 변경해 한 단계 발전시킨 것으로 지난해 9월 8일 USTPO에 등록됐다. 워크스테이션 설치 방식은 간단하다. 트렁크에 별도 패널 보관 장소를 마련하고 필요 시 꺼내 사용하도록 했다. 패널 설치 위치는 트렁크 공간 활용을 고려해 최대한 높은 곳으로 설계했다. 일단 워크스테이션이라는 이름을 붙였지만, 포드는 일보다는 놀이를 지향하는 공간으로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스크린과 무선 충전 패드 등도 사용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있다. 지난 2021년 F-150 라이트닝 트렁크에 통합 스테레오 시스템을 추가하는 특허를 출원한 것도 같은 맥락에서다. 포드는 전기차 관련 특허를 지속해서 출원할 계획이다. 이번 특허 출원에 앞서 지난해에는 듀얼 충전 포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포드가 완전 자율주행차량 개발을 전면 중단한다. 현재 기술로는 운전자 개입을 완전히 배제하기 어렵다는 판단에서다. [유료기사코드] 자체 자율주행 기술 블루크루즈(BlueCruise)를 통한 레벨 2단계 자율주행 기술 개발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4일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에 따르면 포드는 최근 NHTSA 제출한 완전 자율주행차 관련 청원을 철회하고 앞으로 관련 청원을 제출하지 않기로 했다. 지난해 11월 폭스바겐과 함께 만든 자율주행차 개발 합작사 '아르고 AI'(Argo AI) 사업 중단을 기점으로 완전 자율주행차 기술 구현에 더는 미련을 두지 않겠다는 것이다. 아르고AI의 사업모델은 풀스택이었다. 풀스택은 자율주행과 관련된 운영시스템과 소프트웨어를 모두 다룬다는 점에서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분야 중에서는 가장 까다로운 것으로 알려졌다. 풀스택 목표는 운전자 개입이 불필요한 레벨4 자율주행인데 이는 높은 완성도를 요구로 한다. 포드는 "아르고 AI 사업을 진행하면서 완전 자율주행차량으로 수익성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갖추기 어렵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며 "레벨 4 단계 수준의 완전 자율주행차량을 구현하기엔 아직 갈 길이 멀
[더구루=윤진웅 기자] 배터리 화재 문제로 중단됐던 포드의 전기 픽업트럭 ‘F-150 라이트닝’ 생산이 재개됐다. 당초 화재 원인으로 배터리 자체 결함이 지목됐으나 일부 배터리 셀에서 발생한 사소한 문제로 결론을 내렸다. 포드는 13일(현지시간) 미국 미시간주 디어본에 위치한 루지 일렉트릭 비클 센터(Rouge Electric Vehicle Center)에서 F-150 라이트닝 생산을 재개했다고 밝혔다. 지난달 5일 생산을 중단한 지 한 달여 만이다. 앞서 포드는 지난달 4일 F-150 라이트닝 출고 전 품질 검사 과정에서 충전 중이던 차량에 화재가 발생하자 이튿날 생산 중단을 결정한 바 있다. 포드는 그동안 생산 공백을 메우기 위해 공장 가동 속도를 최대로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하반기 월간 생산 목표는 1만2500대로 내년 이곳 공장의 최대 생산치인 연간 15만대를 채우겠다는 각오다. 생산 중단 전 월간 평균 생산량은 2000대 수준이었다. 화재 원인 조사 결과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피했다. 극소수 잠재적 결함 배터리 셀에 대한 교체 작업을 진행하겠다는 설명이 전부다. 당초 배터리 자체 결함이 화재 원인으로 지목됐으나 그동안 배터리 관련 리콜 진행 상황을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포드가 듀얼 충전 포트 특허를 출원했다. 전기차 충전 유연성을 높이고 비용 효율적인 충전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아이디어를 현실화하고 현지 전기차 시장 입지를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25일 미국 특허청(USPTO)에 따르면 포드는 최근 듀얼 충전 포트 특허를 출원했다. 이 특허에는 여러 전기차가 동일한 충전기를 통해 직렬로 충전될 수 있는 아이디어가 담겼다. 일반 전기차 충전소뿐 아니라 가정용 또는 일반 전원콘센트를 통해서도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특히 포드는 해당 특허가 V2G(Vehicle-to-grid) 상용화 시기를 앞당길 것으로 보고 있다. V2G는 전기차의 남은 전력을 건물에 공급하거나 판매하는 기술을 말한다. 정전 시 가정에 전기를 공급하거나 배터리 용량 부족에 따른 긴급 상황 발생 시 차량간 충전을 통해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 또 초과 전력을 흡수해 낭비되는 에너지를 아끼는 용도로도 활용될 것으로 전망했다. 전기 택시 운영업체 등 전기차를 활용한 사업을 이어가는 업체들의 전력 비용 절감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포드는 기대하고 있다. 여러 대의 전기차를 충전기 하나로 충전할 수 있는 만큼 여러 대의 충전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포드가 전기차 경쟁력 제고를 위한 아이디어를 토대로 통합 허브 모터가 적용된 솔리드 액슬 특허 출원했다. 회생제동 효율성 향상 방안 등을 마련해 상용화에 나설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25일 미국 특허청(USTPO)에 따르면 포드는 지난 9일 전기차용 통합 허브 모터가 적용된 솔리드 액슬 특허를 출원했다. 독립적인 서스펜션 시스템을 적용해 4개 바퀴가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것은 물론 고르지 않은 표면을 달릴 때 솔리드 액슬 작동해 승차감을 높이는 것이 특징이다. 무엇보다 차량 내부 공간 확보에 도움을 줄 것이라는 설명이다. 허브 모터는 유럽 모터 제작업체인 일라프(ELAPHE)를 통해 알려진 파워트레인 기술로 이미 유명하다. 다만 허브 모터와 솔리드 액슬을 결합한 형태의 파워트레인 아이디어는 이번이 처음이다. 실제 상용화 여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허브 모터의 경우 기존 인보드 포지셔닝과 비교해 회생제동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점에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추가 방안이 마련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회생제동은 차량 감속이나 제동 시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해주는 시스템이다. 그럼에도 허브 모터를 채택한 업체는 계속해서 등장하고
[더구루=윤진웅 기자] 테슬라의 미국 가격 인하 전략에 포드가 가세했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로컬 브랜드 가격 인하 정책 시행까지 더해지면서 현대자동차·기아 등 현지 전기차 시장에서 경쟁하는 완성차 업체들의 경쟁력이 크게 위축될 것으로 전망된다. 1일 업계에 따르면 포드는 미국에서 판매하는 머스탱 마하 E 등 전기차 가격을 최대 20%까지 인하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주요 경쟁 전기차 업체들이 가격 인하 정책을 시행함에 따라 가격 경쟁력이 약해졌다는 이유에서다. 고객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만족도 또한 높일 것으로 판단했다. 실제 테슬라는 포드에 앞서 지난해부터 가격 인하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미국뿐 아니라 중국과 유럽에도 적용하고 있다. 특히 올해는 가격 인하 정책을 더욱 강화해 최대 20%까지 인하하는 방안을 내놨다. 볼륨 모델인 모델Y의 경우 보조금 혜택을 포함하면 2만 달러 이상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다. 테슬라에 이어 포드까지 로컬 브랜드가 일제히 전기차 가격을 인하함에 따라 다른 완성차 업체들의 고민도 커지고 있다. 특히 현대차·기아의 경우 IRA로 가격 경쟁력이 크게 뒤처지고 있다는 점에서 추가 할인이 불가피할 것으로 업계는 보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포드가 지난해 미국 시장에서 가장 많은 리콜을 진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 품질 문제는 브랜드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올해 판매량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3일 미국 자동차 전문매체 오토모티브 뉴스(Automotive News)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12월 19일까지 미국 내 완성차 브랜드가 진행한 리콜은 총 390건으로, 2500만대 차량이 리콜됐다. 잦은 리콜에 따른 불명예 리콜 1위는 포드였다. 포드는 같은 기간 총 65건의 리콜 조치를 통해 860만여대 차량을 리콜했다. 이어 폭스바겐이 45건(104만885대)으로 2위를, 스텔란티스가 38건(304만1431대)으로 3위를 기록했다. 이어 제너럴 모터스(GM)와 메르세데스-벤츠가 각각 30건(325만51대)과 29건(96만9634대)으로 네 번째와 다섯 번째로 많은 리콜을 실시했다. 기아는 24건(145만8962대) 리콜로 6위, 현대차는 21건(145만1248대)로 7위로 집계됐다. 8위부터 10위는 △테슬라(20건·376만9581대) △BMW(19건·100만455대) △스바루(7건·52만280대) 순으로 집계됐다. 이번 결과는 현지 브랜드 신뢰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포드가 자사 대표 엠블럼을 지칭하는 '블루오벌'(Blue Oval)을 전기차 상표로 출원했다. 글로벌 전동화 전환 추세에 따라 블루오벌을 대표 상징으로 앞세워 전기차 사업의 드라이브를 걸기 위한 수순을 밟고 있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29일 미국특허청(USPTO)에 따르면 포드는 지난 8월 30일 USPTO에 블루오벌 상표권 특허를 출원(출원번호 97076367)했다. 현재 최소 요건을 충족해 신청이 수락됐으며 아직 심사관에게 할당되지는 않았다. 해당 상표는 포드 전기차 사업에 적극 활용될 전망이다. 포드는 특허 출원 신청서를 통해 "전기차와 전기차 부품, 소프트웨어, 전기차 충전, 배터리 재활용 서비스 등에 해당 상표를 사용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전기차와 배터리, 소프트웨어, 충전 네트워크 등 E모빌리티 분야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포드의 의지를 담은 대표적인 상징이 될 것이라는 얘기다. 실제 포드는 최근 SK온과 설립한 합작법인명 또한 '블루오벌SK'로 명명했다. 양사가 함께 조성하는 전기차 배터리 생산 거점 또한 '블루오벌시티'로 이름 지었다. 이는 지난해 5월 모두 10조2000억원을 투자해 켄터키주 및 테네시주에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포드가 차량 추돌 사고 등에서 내부 승객들의 추가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지붕 장착형 에어백에 대한 특허를 냈다. 자율주행 시대가 본격화하는 가운데 승객들의 안정성을 높이는 아이디어를 현실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1일 미국특허청(USPTO)에 따르면 포드는 작년 4월 7일 지붕 장착형 에어백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다. 출원 이후 약 1년 6개월 만인 지난달 13일 해당 특허 이미지가 공개되면서 관심이 모아졌다. 해당 특허는 각 좌석 상단에 장착된 링 모양 하우징에서 에어백이 전개되는 방식이다. 기존 에어백과 달리 승객의 몸 전체를 둘러싼다는 점에서 전방위적인 보호가 가능하다. 승객끼리 부딪히는 사고뿐 아니라 차량 내부에 보관 중인 물건들에 의한 충격을 막을 수 있다. 포드는 해당 특허를 세단과 쿠페, 픽업트럭,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등 전 차종에 적용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특히 자율주행차를 염두에 뒀다는 설명이다. 일부 특허 이미지에 등장하는 마주보는 좌석이 자율주행차를 암시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다만 포드는 해당 특허에 대한 기술 생산 계획을 밝히진 않은 상태다. 다만 업계는 포드가 자율주행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포드 등 글로벌 완성차 브랜드들이 브랜드 경쟁력 제고를 위해 메타버스와 대체불가토큰(NFT)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향후 메타버스와 NFT 관련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이 예상되는 만큼 시장 내 존재감 올리는 데 역량을 쏟고 있다는 것. 24일 미국 특허청(USPTO)과 업계에 따르면 포드는 최근 USPTO에 메타버스와 NFT 관련 상표 19건의 특허를 출원했다. 메타버스는 현실세계와 같은 사회·경제·문화 활동이 이뤄지는 3차원 가상세계를 말한다. 가상세계 이용자가 만들어내는 UGC(User Generated Content)가 상품으로서, 가상통화를 매개로 유통되는 특징이 있다. NFT는 대체불가토큰을 의미한다. 블록체인 기술을 통한 '정품 인증서'로서의 역할을 가진다. 포드가 USTPO에 제출한 출원 신청서에는 메타버스에서 활용하는 △NFT 인증 예술품 △다운로드 가능한 멀티미디어 파일 △가상 자동차 △가상 자동차 부품 제공과 더불어 온라인 전시회 개최 계획 등이 담겼다. 전 세계에 분포된 포드 팬들을 위해 영감을 주는 컬렉션과 상품으로 준비했다는 게 포드의 설명이다. 앞서 포드는 지난해 9월 메타버스와 NFT 시장 진출 예고한 바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제너럴모터스(GM)와 포드가 전기차 판매 가격을 일제히 인상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인플레이션 감축법(the Inflation Reduction Act·이하 인플레 감축법)' 서명으로 로컬 브랜드의 전기차 지배력이 강화된 데 따른 자신감으로 해석된다. 손발이 묶여버린 현대자동차·기아의 상황과 대조되는 모습이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GM과 포드는 최근 허머EV와 F-150 라이트닝 등 일부 전기차 모델 가격을 6000~8500달러(한화 약 787만~1114만원) 인상하기로 했다. 공급망 차질과 원자재 가격 인상 등을 고려했다는 설명이지만 인플레 감축법이 배경으로 꼽힌다. 인플레 감축법에 따라 책정된 전기차 세액 공제 금액인 7500달러(약 983만원)와 엇비슷한 수준이라는 이유에서다. 앞서 조 바이든 대통령은 16일(현지시간) 백악관 스테이트다이닝룸에서 이달 상·하원을 통과한 인플레 감축법에 서명했다. 이 법에는 내년부터 미국산 전기차에만 세액 공제 혜택이 주어진다는 조항이 포함됐다. 양사는 이번 가격 인상과 인플레 감축법은 전혀 연관이 없다는 입장이다. 법안 도입 전부터 계획된 일이라는 것이다. 무엇보다 세액공제와 연관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이 제너럴모터스(GM)와 스텔란티스, 포드 등 현지 자동차 '빅3' 안전 문제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에 나섰다. 대규모 리콜 사태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조사 결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NHTSA는 26일(현지시간) GM과 스텔란티스, 포드 등 3사에서 생산·판매한 차량 180만여 대를 대상으로 5가지 항목에 대한 안전 조사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스텔란티스 산하 지프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체로키'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2014년부터 2020년까지 생산된 모델 134만 대가 조사 대상에 올랐다. NHTSA는 "해당 모델은 누수로 인해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가 의도치 않게 작동 및 정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2016년 같은 문제로 모듈 교체와 전기 커넥터 녹 발생 여부 확인 절차가 진행됐으나 적절한 조치가 취해지지 않은 것으로 봤다. 크라이슬러 대형 RV 모델 '퍼시피카' 플러그인하이브리드모델(PHEV)도 조사 대상에 포함됐다.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생산된 2만1348대에 대한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 해당 모델에서는 변속기 오작동으로 인한 동력
[더구루=홍성일 기자] 공급 대란을 겪고 있는 엔비디아 지포스 RTX 50 시리즈 그래픽카드를 구매하기 위해서는 최대 수개월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현재 출시된 모델 외에도 추가로 출시될 제품들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9일 영국 컴퓨터 하드웨어 소매 판매기업 '오버클러커스UK'에 따르면 현재 엔비디아 지포스 RTX 5090과 RTX 5080의 재고가 매진됐으며 사전 주문도 중단됐다. 오버클러커스UK는 RTX 5090이 재입고되는 시기는 빠르면 3주, 늦으면 16주가 소요될 것이라고 전했다. RTX 5080은 최소 2주, 최대 6주가 걸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RTX 5080, RTX 5090은 출시 전부터 공급 대란이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수요에 비해 공급량이 턱 없이 적은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실제로 영국에서는 처음부터 RTX 5090 자체를 확보하지 못한 소매업체들이 있을 정도였다. RTX 5080의 경우 RTX 5090보다 재고가 있었지만 1월 31일 출시와 함께 순식간에 동이 났다. 대만의 컴퓨터 부품 전문매체 벤치라이프는 RTX 5090과 RTX 5080이 출시 초기 공급 부족 문제를 겪게 된 것은 엔비디아와 애드
[더구루=진유진 기자] 영국 북동부에 최대 규모의 리튬 추출 공장이 건설된다. 배터리용 탄산리튬을 생산하는 이 공장은 영국 전기차 배터리 공급망 강화를 위한 핵심 프로젝트로 평가받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9일 업계에 따르면 영국 웨어데일 리튬(Weardale Lithium)은 지난 5일(현지시간) 영국 더럼 카운티 의회로부터 리튬 추출 시설 건설을 위한 최종 승인을 받았다. 이에 따라 웨어데일 리튬은 배터리용 탄산리튬을 생산하기 위해 직접 리튬 추출(DLE)와 탄화 공정을 결합한 데모 플랜트를 건설할 계획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영국 투자 자문사 마레샬 캐피털(Marechale Capital)의 지원을 받고 있으며, 기술 라이선스·엔지니어링 설계는 미국 엔지니어링 기업 KBR이 담당한다. 해당 리튬 추출 시설은 상업 생산 단계에 진입하면 연간 최소 1만 톤(t)의 배터리용 탄산리튬을 생산할 것으로 예상된다. 초기 단계에서 20~50개의 일자리가 창출되며, 본격적인 상업화 이후 약 125개의 신규 고용이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지역 경제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웨어데일 리튬은 이번 프로젝트가 총 10억 파운드(약 1조8000억원) 규모의 부가가치(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