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우리금융그룹이 영국 금융전문지 더뱅커(The Banker)가 선정한 우리나라 최고의 금융사에 이름을 올렸다. 지난해 수익성과 건전성이 크게 개선된 데 따른 것이다. 5일 더뱅커가 공개한 '2023년 세계 1000대 은행' 보고서를 보면 우리금융은 총점 5.03점으로 국내 금융사 가운데 1위를 차지했다. 우리금융은 위험 수익률과 유동성 부분에서 각각 4.19점, 5.81점으로 1위였다. △레버리지(4.21점) △자산건전성(6.41점) △수익성(4.75점) 등 부문에서는 2위였다. 티어1자본은 220억7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2.34% 증가했다. 더뱅커는 "우리금융은 세계 1000대 은행 순위의 기준이 되는 지난해 실적이 성공적이었다"고 평가했다. 우리금융은 지난해 순이익이 3조1693억원으로 전년 대비 22.4% 성장했다. 신한금융그룹은 총점 4.89점으로 뒤를 이었다. 신한금융은 수익성(4.81점)과 건전성(4.79점), 레버리지(4.27점) 등 부문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신한금융은 지난해 전년 대비 1.5% 증가한 4조6423억원의 순이익을 거두며 3년 만에 업계 1위에 올랐다. 이어 △하나금융그룹(4.83점) △KB금융
[더구루=홍성환 기자] 올해 들어 국내 금융그룹의 비용 효율성이 개선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중국과 일본 금융사들은 악화했다. 16일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 마켓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1분기 말 기준 국내 주요 금융그룹의 평균 비용수익비율(cost-to-income ratios)은 52.97%로 전년 동기 56.37% 대비 3.40%p 하락했다. 비용수익비율은 영업비용을 영업이익으로 나눈 수치로, 비율이 낮을수록 효율성이 높다는 의미다. 금융그룹별로 보면 KB금융그룹의 비용수익비율은 45.95%로 작년 같은 기간 57.25% 대비 11.30%p 하락했다. 하나금융그룹은 48.67%로 1년 전 56.77%에 비해 8.10%p 개선했다. 우리금융그룹은 전년 51.00%에서 올해 48.85%로 2.16%p 낮아졌다. 이에 반해 신한금융그룹은 43.95%로 국내 금융그룹 가운데 가장 낮았으나 지난해 38.18%와 비교해선 5.77%p 상승했다. 이외에 IBK기업은행은 40.40%, NH금융그룹은 38.95%로 각각 5.85%p·14.92%p씩 하락했다. S&P 글로벌 마켓 인텔리전스는 "한국 금융사의 경우 경기 반등과 높은 수익성으로
[더구루=홍성환 기자] 베트남 국영 상업은행 베트남투자개발은행(BIDV)이 올해 1분기 높은 실적 성장세를 이어갔다. 하나은행 해외 실적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유료기사코드] BIDV는 1분기 세전이익이 6조9200억 동(약 3960억원)으로 전년 대비 53% 증가했다고 2일 밝혔다. 순이자이익은 전년보다 8.6% 늘어난 13조9360억 동(약 7970억원)을 올렸다. 수수료 이익은 1조5170억 동(약 870억원)으로 전년 대비 19% 증가했다. 3월 말 현재 총자산은 2100조 동(약 120조원)으로 연초보다 0.6% 소폭 감소했다. 대출잔액은 1500조 동(약 85조8000억원)으로 올해 들어 4.6% 늘었고, 예금잔액도 1500조 동으로 1.6% 증가했다. BIDV 순이익이 증가하면서 하나은행 해외사업의 수익성도 크게 나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하나은행은 지난 2019년 11월 BIDV의 지분 15% 취득해 2대 주주에 올랐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베트남투자개발은행(BIDV)이 베트남 중소기업 지원에 앞장 서고 있다. 베트남 정부의 중소기업 육성 정책에 발 맞춰 다양한 지원 활동을 전개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BIDV는 3일 제4차 VINASME(베트남 중소기업 협회) 회의에서 최근 1년간 추진된 중소기업 지원 정책을 보고했다. 이에 따르면 BIDV는 베트남 정부가 시행 중인 중소기업 지원법 및 국가 디지털 전환 프로그램에 따라 오는 2030년까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포괄적인 금융 지원 솔루션을 지속 제공할 예정이다. BIDV는 우선 중소기업을 위한 온라인 대출 등록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중소기업은 이 프로그램을 활용해 △계정 관리 △송금 △급여 지불 △무역 금융 △국제 송금과 관련한 수수료를 면제 받을 수 있다. 지난해 말에는 중소기업 전용 디지털 플랫폼 ‘원 데스티네이션-멀티 서비스’를 개발했다. 이 플랫폼은 중소기업에 포괄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원스톱 쇼핑 모델로서도 역할을 한다. 이와 함께 BIDV는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는 ‘SME 디지트랜스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은 재무 관리 및 회계 관리 부분에서 디지털 기술을 도
[더구루=정등용 기자] 일본 3대 은행 중 하나인 미쓰이 스미토모 은행(SMBC)이 베트남 은행권 역대 최대 규모의 자금을 투입해 VP뱅크 지분을 인수했다. 하나은행이 투자한 베트남투자개발은행(BIDV) 등 현지 은행들 간 경쟁도 한층 격화할 전망이다. SMBC는 지난 27일 VP뱅크와 지분 매입 계약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계약에 따르면 SMBC는 VP뱅크 지분 15%를 15억 달러(약 1조9545억 원)에 인수했다.베트남 은행 지분 인수 규모로는 사상 최대 금액이다. 앞서 BIDV가 지난 2019년 하나은행에 지분 15%를 8억5060만 달러(약 1조 원)에 매각한 것이 종전 최대 규모였다. SMBC는 이번 지분 인수를 통해 베트남에서 더 많은 외국인 직접 투자자를 유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특히 SMBC는 전 세계 다국적 기업과 대기업에 20만 명 이상의 고객을 보유하고 있어 이들이 베트남에 투자할 경우 VP뱅크의 잠재적인 고객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SMBC는 지난 2021년 자회사를 통해 13억7000만 달러(약 1조7892억 원)를 투입, VP뱅크 자회사인 FE크레딧 지분 49%를 인수하기도 했다. VP뱅크는 SMBC에 지분 매각
[더구루=정등용 기자] BIDV(베트남투자개발은행)가 정신질환자를 대상으로 한 치료·재활 프로그램을 지원했다. BIDV는 28일 청년의 달을 맞아 꽝 빈 성에 위치한 정신과 치료·재활 센터에서 ‘자선 주방’ 프로그램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꽝 빈 성 정신과 치료·재활 센터에는 자신을 스스로 돌볼 수 없는 젊은 정신질환자들이 입원 중이다. 이들은 정신질환으로 인해 자신의 행동을 통제할 수 없어 센터 직원과 간호사 등 의료진으로부터 24시간 동안 돌봄 서비스를 받고 있다. 특히 이 환자들은 집안 사정도 매우 어려워 지역 사회와 정부 기관의 도움이 절실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BIDV는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꽝 빈 성 정신과 치료·재활 센터에 1000만 동(약 55만 원) 상당의 치료·재활 물품을 제공했다. 또한 BIDV 대표단이 센터를 직접 방문해 무료 식사 배급 봉사를 진행하기도 했다. 한편, BIDV는 최근 지역 사회와의 교류를 넓히기 위해 다양한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지난 2월 홍수 피해 방지를 위한 ‘공동체 문화 주택’ 건설 프로젝트를 시작한 데 이어 1월엔 설 연휴를 맞아 불우 이웃 돕기 활동을 진행한 바 있다. BIDV는
[더구루=정등용 기자] 베트남투자개발은행(BIDV)이 베트남석유가스그룹(Petrovietnam)과의 협력 관계를 강화한다. 양측은 그동안 유지해 온 신용 거래 관계를 확대하는 등 전방위적 협력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BIDV는 지난 20일 베트남석유가스그룹과 회담을 갖고 협력 관계 강화를 위한 논의를 진행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날 회담엔 판 둑 뚜 BIDV 이사회 의장과 라 응옥 람 BIDV 회장이 참석했다. 베트남석유가스그룹에선 르 만 훙 그룹 회장과 응웬 반 마우 등 이사회 임원들이 자리했다. 회담 결과 양측은 지난 2021년부터 이어온 높은 수준의 신용 거래 관계를 유지하고, 경제적 어려움을 함께 해결하기 위해 투자 및 대출 처리 관계를 조율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또한 BIDV는 베트남석유가스그룹 직원을 위한 적절한 신용 정책을 개발해 베트남석유가스그룹의 거버넌스와 은행 상품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더불어 거시 경제 및 금융 통화 시장에 대한 심층 연구 보고서를 베트남석유가스그룹에 주기적으로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양측은 이 같은 합의 내용을 바탕으로 향후 강력한 협력 파트너십을 구축해 지속적인 친선 관계를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판 둑 뚜 의장
[더구루=정등용 기자] 베트남투자개발은행(BIDV) 전 지점장이 대만 기업 켄마크에 불법 대출을 해준 혐의로 징역형을 받게 됐다. [유료기사코드] 21일 베트남 언론 등에 따르면 하노이 인민법원은 지난 16일 도꾸옥훙 전 BIDV 탄도 지점장에게 징역 7년형을 선고했다. 앞서 검찰은 도꾸옥훙 전 지점장이 켄마크에 3600억 동(약 200억 원)을 부당하게 대출했다고 보고 ‘신용 기관 및 외국 은행 지점 운영 규정 위반’을 적용해 다른 직원 4명과 함께 기소한 바 있다. 공소장에 따르면 BIDV 탄도 지점은 켄마크에 대한 대출 허가 과정에서 켄마크의 리스크 관리 능력 등을 정확하게 평가하지 않았다. 또한 켄마크는 베트남 신용정보센터로부터 ‘고위험’ 신용 등급을 받기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켄마크는 대만 반도체 생산업체 켄마크 인터내셔널의 자회사로 산업 단지 개발을 수행한다. 켄마크는 지난 2008년 베트남 북부 하이즈엉성에 산업 단지 건설을 추진했지만 2010년 사업 중단을 선언하고 베트남 시장에서 철수했다. 이 과정에서 켄마크는 3600억 동의 대출금을 상환하지 못했고, 이 중 1800억 동(약 100억 원)이 BIDV에 대한 채무인 것으로 알려졌다. 재판에
[더구루=정등용 기자] 베트남투자개발은행(BIDV)이 글로벌 금융전문지 더 아시안 뱅커(The Asian Banker)로부터 높은 가치를 인정 받았다. BIDV는 지난 16일 더 아시안 뱅커가 주최한 ‘2023 아웃스탠딩 리테일 파이낸셜 서비스 어워즈(2023 Outstanding Retail Financial Services Awards)’에서 소매 금융, 프라이빗 뱅킹, 국제 신용카드, 주택 담보 대출 부문에 입상했다고 20일 밝혔다. 더 아시안 뱅커는 BIDV가 소매 금융 시장 점유율 측면에서 최고의 위치를 유지할 것으로 평가했다. 업무 프로세스의 디지털화와 고객 특성에 맞는 상품·서비스 패키지 구축을 통해 고객 중심 가치 실현을 지속할 것이란 분석이다. 프라이빗 뱅킹 부문에선 베트남 은행 중 유일하게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BIDV는 국제 표준에 맞는 지속 가능 금융 솔루션을 제공, 프라이빗 뱅킹 서비스의 핵심 가치를 구현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부유층 고객을 타겟으로 한 국제 신용카드 상품도 호평을 받았다. 이 상품은 스마트 결제 기능 외에 △항공 △리조트 △요리 △골프 △스파 △건강 관리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해 신용카드 부문에 이름을 올렸다. 이와
[더구루=정등용 기자] 핀테크 업체 페이워치(Paywatch)가 추가 자금 조달에 성공했다. 페이워치는 이번 투자 자금을 활용해 저소득 근로자들을 위한 금융 포용성의 기능을 한층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페이워치는 7일 범아시아 밴처캐피털(VC) 업체 고비 파트너스의 슈퍼시드 II 펀드를 통해 투자 자금을 유치했다고 밝혔다. 슈퍼시드 II 펀드는 알리안츠 말레이시아와 선웨이 그룹, 말레이시아 벤처 캐피털 매니지먼트(MAVCAP)로부터 후원을 받고 있다. 자말루딘 부장 고비 파트너스 매니징 파트너는 “페이워치는 강력한 비전과 확장 가능한 솔루션으로 EWA(급여선지급) 서비스 업계에서 확실한 선두 주자임을 입증했다”면서 “말레이시아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로의 확장을 지원하게 돼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페이워치는 지난해 12월 서드프라임이 주도한 프리 시리즈A 펀딩 라운드를 통해 900만 달러(약 118억 원)를 조달한 바 있다. 당시 펀딩 라운드에는 하나금융그룹의 CVC(기업형벤처캐피털) 하나벤처스와 파크우드, 밴더빌트 대학교, 일리노이 대학교 파운데이션 등이 참여했다. 관련기사 [단독] 하나벤처스, 슈주 최시원 찜한 핀테크 '페이워치' 투자 페이워
[더구루=정등용 기자] 베트남투자개발은행(BIDV)이 고객들의 대출 이자 부담을 낮춰주기 위한 우대 금리 대출 패키지를 출시했다. BIDV는 2일 개인 대출자를 위한 130조 동(약 7조1890억 원) 규모의 새로운 대출 패키지를 출시했다. 이 중 30조 동(약 1조6590억 원)은 단기 패키지, 나머지는 장기 패키지로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6개월 미만 대출 고객의 경우 연 8%의 우대 금리를 적용 받게 되며, 6~12개월 대출 고객은 연 9%의 우대 금리를 적용 받는다. 주택구입 장기대출 패키지의 경우 대출금 지급일로부터 최초 12개월간은 연 10.3%, 대출금 지급일로부터 최초 18개월간은 연 10.9%의 우대금리가 적용된다. 또한 BIDV는 자사 계좌를 통해 급여를 받고 있는 고객 중 하노이나 호치민에서 주택을 구입할 경우 0.2~0.4%의 추가 금리 감면 혜택을 제공한다. BIDV 외에 다른 빅4 은행인 비엣틴 은행과 비엣콤 은행, 아그리뱅크도 대출 금리를 인하하거나 대출자를 지원하기 위한 우대 금리 대출 패키지를 출시할 예정이다. 비엣틴 은행은 올해 상반기 중 중소기업의 사업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연 7%의 우대 이자율을 제공하는 10조 동(약 5
[더구루=정등용 기자] 베트남투자개발은행(BIDV)이 2023년도 연례 주주총회 일정을 확정했다. BIDV는 주주총회에서 지난해 경영 활동 성과와 배당금 지급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BIDV는 오는 4월28일 베트남 하노이에 위치한 BIDV 연구훈련원에서 2023년도 연례 주주총회를 개최한다고 28일 밝혔다. 연례 주주총회 참가 신청은 오는 3월24일까지 진행된다. BIDV는 이번 연례 주주총회에서 지난 2022년 경영 활동 성과를 보고하는 한편 올해 경영 계획과 배당금 지급 계획 등을 설명할 예정이다. BIDV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4분기 세전 이익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91% 증가한 5조3810억 동(약 2975억 원)을 기록했으며 세후 이익은 88.7% 증가한 4조2620억 동(약 2356억 원)에 달했다. BIDV는 4분기 이익 증가가 신용 활동 및 외환 사업 관리 개선에 따른 충당금 비용 절감에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지난해 누적 세전 이익의 경우 전년 대비 70.2% 증가한 23조 동(약 1조2719억 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세후 이익은 18조4530억 동
[더구루=홍성일 기자]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 챗GPT를 활용한 '지브리 스타일 사진 만들기'가 전 세계적인 인기를 끌면서 오픈AI 인프라에 심각한 부담이 되고 있는것으로 보인다. 오픈AI는 과부화가 지속될 시 신규 서비스 출시가 지연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유료기사코드] 샘 알트만 오픈AI CEO는 1일(현지시간)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챗GPT 이미지 변환에 컴퓨팅 자원을 집중하면서 신규 기능 출시가 지연될 수 있다"며 "일부 기능은 중단되고 서비스가 느려질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달 28일에도 "사람들이 챗GPT로 즐거워하고 있지만 우리의 GPU는 녹아내리고 있다"며 인프라 과부화 문제를 알린 바 있다. 오픈AI 인프라가 과부화된 배경에는 지난달 25일 출시된 챗GPT-4o 이미지 생성 모델이 있다. 해당 모델 출시 직후 전세계 이용자가 자신의 사진을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로 변환하기 시작한 것. 이용자들은 지브리 외에도 픽사와 디즈니, 심슨, 명탐정 코난, 짱구는 못말려 스타일로 사진을 변경하고 있다. 문제는 해당 기능이 전세계적인 입소문을 타면서 신규 이용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는 점이다. 알트만 CEO는 지난달 31일 "
[더구루=김은비 기자] 글로벌 IT기업 HCL테크놀로지스(HCLTech, 이하 HCL테크)가 삼성전자 차세대 반도체 파운드리 생태계 ‘SAFE™(Samsung Advanced Foundry Ecosystem)’ 프로그램에 합류했다. [유료기사코드] 2일 업계에 따르면 HCL테크는 삼성전자 SAFE™ 프로그램의 ‘설계 솔루션 파트너(Design Solution Partner, DSP)’로 선정됐다. SAFE™ 프로그램은 반도체 설계 회사가 삼성전자 첨단 반도체 공정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파트너십 생태계다. △전자설계자동화(EDA) △설계 솔루션·서비스 △지적재산권(IP) △클라우드 솔루션 등 반도체 설계에 필요한 종합적인 지원을 제공한다. HCL테크는 삼성전자 고객에게 맞춤형 반도체(ASIC) 설계 서비스를 제공한다. 신규 반도체 기술의 조속한 개발·출시를 돕고, 반도체 설계·생산 과정에서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다. 삼성전자는 HCL테크 엔지니어에게 최신 반도체 기술과 관련된 전문 교육도 제공할 예정이다. 고객 맞춤형 반도체 설계 프로젝트(턴키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기술적 지원 또한 병행한다. 이번 협력을 통해 HCL테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