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미포조선이 세계 최대 해운사이자 덴마크 최대 기업인 AP묄러-머스크(AP Møller-Maersk)로부터 메탄올 추진선을 수주할 전망이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미포조선은 머스크 선사와 메탄올 추진선 피더 컨테이너선 사이즈 3500TEU급 3척 건조의향서(LOI)를 체결했다. 정확한 사이즈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머스크가 2000TEU급에서 3000TEU급 발주를 고려해온 이상 피더급 컨테이너선이 유력하다. LOI는 수주 전 단계로 건조 계약이 확실시 된다. 통상 선주사는 발주 전 조선소와 LOI를 먼저 체결하고, 큰 상황 변화가 없으면 최종 계약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연내 수주할 전망이다. 이번 LOI는 올 상반기부터 추진됐다. 머스크가 현대미포와 2000TEU~3000TEU급 메탄올 연료 컨테이너선 2척을 놓고 협상을 벌여온 것. 현대미포의 슬롯이 한정돼 있어 해운선사들의 선박 발주문의가 쇄도해 시기를 조율한 것으로 알려졌다. 선가는 기존 선박 가격보다 더 오를 전망이다. 현재 후판 가격과 기자재 가격 상승 이유로 선가가 오르고 있는데다 메탄올 연료 추진선으로 건조하다보니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 메탄올 추진선은 연료 탱크와
[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미포조선의 베트남 자회사 현대베트남조선이 최대 6척의 중대형 유조선을 수주할 전망이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베트남조선은 유럽 선사와 함께 중대형 유조선 최대 6척 건조 협의 중이다. 11만5000DWT급 아프라막스 원유운반선과 LR2 탱커다. 아프라막스급은 수요가 가장 많고 경제성이 뛰어난 8만5000~12만5000DWT 크기의 선박을 말한다. LR2는 화물적재량이 8만DWT 이상 16만DWT 미만인 액체화물운반선(탱커)다. 수주 협상 중인 신조선의 선가는 척당 5300만 달러(약 590억원)로 총 6척을 수주할 경우 수주가는 3억1800만 달러(약 3540억원)을 안게 된다. 이번 건조 물량 발주처로는 노르웨이 국영석유회사 에퀴노르(Equinor)가 거론되고 있다. 앞서 에퀴노르(Equinor)가 발주 예정인 LNG 연료 추진 10만9000DWT~11만5000DWT급 이중연료 추진 선박을 7척의 건조사로 한국과 중국 조선소가 지목됐기 때문이다. 주문 물량은 아프라막스 탱커 4척과 LR2(Long Range2) 탱커 3척 등으로 알려졌다. <본보 2021년 4월 27일 참고 韓-中, '5000억원' LNG 추진선 7척 수
[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미포조선이 터키 선사로부터 중형 액화석유가스(LPG)운반선 1척을 수주했다. 동일 선사로부터 동급 건조 일감을 확보한지 두 달여 만이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마포조선은 터키 선사 파스코가스(PascoGas)와 4만 입방미터(㎥)급 중형 LPG운반선 1척의 건조 계약을 체결했다. 선가는 4700만 달러(약 522억원)로 오는 2023년에 인도될 예정이다. 파스코가스가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추진의 일환으로 LPG 추진 연료선을 발주하는데 현대미포조선을 건조사로 또 다시 선정한 것이다. 이번 수주는 파스코가스가 지난 주문에 포함된 옵션을 발행해 진행됐다. 파스코가스는 지난 4월 현대미포에 4만 입방미터(㎥)급 중형 LPG운반선 1척을 발주했다. 해당 계약에 옵션분이 포함됐다. <본보 2021년 4월 2일 참고 현대미포조선, '530억원' LPG선 1척 수주> 당시에도 파스코가스의 ESG 경영 추진에 따라 신조 발주됐다. 파스코가스 관계자는 "신조선 주문은 청정 연료 사용으로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회사 ESG 정책과 맥락을 같이 한다"고 밝혔다. 이스탄불에 본사를 둔 파스코가스는 2019년 설립됐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테슬라 고성능 전기 SUV 모델 ‘모델 Y 퍼포먼스’의 신형 프로토타입이 시험 주행중인 모습이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포착됐다. ‘주니퍼(Juniper)’ 디자인이 적용된 첫 퍼포먼스 트림으로, 연내 출시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시장의 기대감을 끌어올리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일 미국 전기차 전문 매체 일렉트렉(Electrek)에 따르면 모델 Y 퍼포먼스로 추정되는 프로토타입 차량이 테스트 주행 중인 모습이 캘리포니아 팔로알토에 위치한 테슬라 엔지니어링 본사 인근 도로에서 목격됐다. 이번에 포착된 차량은 전면 위장막이 씌워져 있었으나 실루엣과 휠 사양, 브레이크 구성을 통해 모델 Y 퍼포먼스임을 식별할 수 있다. 퍼포먼스 트림 전용인 플래드(Plaid) 20인치 휠과 대형 레드 브레이크 캘리퍼가 적용돼 있다. 이번 테스트 차량이 공개되면서 해당 트림 출시가 임박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테슬라는 지난 1월 모델 Y의 페이스리프트 버전인 ‘주니퍼’를 공개했으나 퍼포먼스 트림은 초기 라인업에 포함되지 않아 주문이 중단된 상태였다. 이번 신형 모델 Y 퍼포먼스는 외관뿐만 아니라 파워트레인, 배터리 효율 측면에서도 업그레이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키옥시아가 차량용 반도체 시장을 겨냥해 유니버셜플래시메모리(UFS) 4.1 규격을 지원하는 내장형 낸드플래시 메모리 샘플링을 개시했다. 키옥시아는 미래 자동차 시장에 인공지능(AI)과 실시간 데이터 처리가 중요해지는 만큼 차량용 고성능 메모리의 필요성도 더욱 커질 것으로 보고있다. [유료기사코드] 1일 업계에 따르면 키옥시아 아메리카는 8세대 3D 낸드 기술 'BiCS 플래시(BiCS FLASH)' 기반 차량용 UFS 4.1 임베디드 메모리 디바이스의 샘플링을 시작했다. 용량은 △128GB △256GB △512GB △1TB로 구성됐다. 키옥시아는 해당 제품에 대해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 텔레매틱스 등 다양한 차량 내 시스템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도록 설계됐다고 설명했다. 키옥시아는 UFS 3.1에서 4.1로 업그레이드되면서 순차 읽기와 순차 쓰기 성능은 각각 2.1배, 2.5배가 향상됐다고 설명했다. 임의 읽기와 임의 쓰기 성능은 각각 2.1배와 3.7배가 좋아졌다. UFS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같은 모바일 기기에 사용되는 고속 내장형 저장장치 규격이다. 최신 버전인 UFS 4.1은 고속 데이터 처리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