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세계 1위 선박엔진 개발업체 독일 만에너지솔루션즈(MAN Energy Solutions)가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용 엔진 포트폴리오를 조정한다. 국제해사기구(IMO)의 강화된 환경 규제에 대응하고자 저압 이중연료 추진엔진(ME-GA)을 퇴출하고 고압 이중연료 추진엔진(ME-GI)에 집중한다. 빠르게 성장할 친환경 엔진 시장을 두고 HD현대와 격돌이 예상된다. [유료기사코드] 22일 노르웨이 해운전문지 트레이드윈즈(Tradewinds)에 따르면 만에너지솔루션즈는 지난 17일(현지시간) 고객들에 보낸 서한에서 "18일부터 G70ME-C10.5-GA를 제공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G70ME-C10.5-GA는 2행정 ME-GA이다. ME-GA는 디젤과 LNG, 두 연료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엔진이다. 낮은 압력으로 연료를 공급함으로써 연료공급시스템을 단순화하고 설치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으나 ME-GI 대비 메탄 슬립(Methane slip, 엔진에서 연소하지 않는 메탄이 누출되는 현상)이 많이 발생한다. 만에너지솔루션즈는 해당 엔진에 배기가스재순환장치(EGR)를 추가해 엔진 효율을 극대화하고 질소산화물(NOx)과 메탄 배출을 줄
[더구루=오소영 기자] HD현대마린엔진이 엔진 터보차저 분야 글로벌 리더 기업 '엑셀러론(Acelleron)'과 터보차저 생산에 협력한다. 연말부터 HD현대마린엔진의 대구 공장에서 엑셀러론의 터보차저를 만든다. HD현대마린엔진의 생산 노하우와 엑셀러론의 기술력을 합쳐 글로벌 시장 고객 확보에 나선다. 4일 엑셀러론에 따르면 이 회사는 최근 HD현대마린엔진과 터보차저 위탁 생산 계약을 체결했다. 대구 달서구에 위치한 HD현대마린엔진의 공장에서 A100-M 레이디얼 터보차저를 제조한다. 오는 12월 말부터 초도품 조립을 시작할 예정이다. 터보차저는 엔진 출력·토크를 높여 연비 향상에 도움을 주는 엔진 보조 장치다. 엔진 배기가스를 이용해 터빈을 돌리고, 이 회전력을 활용해 흡입하는 공기를 대기압보다 강한 압력으로 밀어 넣는 원리다. 선박, 철도, 발전기용 엔진에 쓰인다. HD현대마린엔진과 엑셀러론이 생산할 A100-M 레이디얼 터보차저는 4행정(4-Stroke) 중형엔진을 위한 제품이다. 컨테이너선과 유조선, 벌크선, 자동차운반선 등 선박에 활용된다. 그동안 엑셀러론의 스위스 공장에서 양산됐으나 연말부터 한국에서도 생산하며 리드타임(주문부터 인도까지 걸리는 시간
[더구루=김은비 기자] 샤오미가 스마트폰용 자체 반도체 개발에 다시 속도를 낸다. 과거 있었던 한 차례 실패에도 불구, 반도체 설계 역량을 꾸준히 축적해온 샤오미가 이번에는 전담 조직을 꾸리며 본격적인 반도체 패권을 주도하기 위해 나섰다. [유료기사코드] 16일 업계에 따르면 샤오미는 최근 모바일 제품 부서 산하 반도체 플랫폼 전담 부서를 신설했다. 전 퀄컴 시니어 디렉터였던 친무윈(Qin Muyun)이 이끌며 레이쥔 샤오미 창업자·최고경영자(CEO)에게 직접 보고하는 체계로 운영된다. 샤오미는 자사 최초 플래그십급 모바일 칩셋 개발에 돌입했다. 중앙처리장치(CPU)는 암(ARM)의 옥타코어 CPU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설계됐다. 이 중 X925 코어는 미디어텍이 최신 플래그십 칩 ‘디멘시티 9400’에 사용한 것과 동일한 아키텍처로 높은 성능을 구현했다. 샤오미의 칩 개발 도전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2017년 자체 설계한 첫 모바일 시스템온칩(SOC) ‘펑파이 S1(Pengpai S1)’을 공개한 바 있다. 다만 이를 탑재한 스마트폰 ‘미5C(Mi 5C)’의 저조한 판매로 이 제품 개발은 사실상 중단된 상태다. 이후 샤오미는 기술 내재화에 집중, 지
[더구루=정예린 기자] 실리콘 광자(Silicon Photonics) 기반 인공지능(AI) 가속기를 통해 대규모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렸다. AI 연산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 데이터센터 등에서 그래픽처리장치(GPU)의 새로운 대안으로 자리잡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16일 국제전기전자공학자협회(IEEE)에 따르면 휴렛팩커드엔터프라이즈(HPE)의 연구개발(R&D) 조직 '휴렛팩커드랩스(Hewlett Packard Labs)' 소속 연구진이 주축이된 연구팀은 최근 실리콘 광자 기반 AI 가속 플랫폼을 개발했다. 기존 실리콘 기반의 GPU보다 뛰어난 AI 연산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AI 기술이 급속 발전하면서 대규모 데이터를 처리하고 복잡한 계산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연산 성능과 에너지 효율성의 요구가 커지고 있다. 기존 GPU는 고속 연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에너지 소비가 크고 확장성이 제한적이라는 점에서 한계를 안고 있다. 연구진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II-V 화합물 반도체와 실리콘을 결합한 광자 집적 회로(PIC) 기술에 주목했다. PIC는 전자 신호 대신 빛을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