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SES(SES AI Corp.)가 한국에 추가 투자를 추진한다. 도심항공모빌리티(UAM)용 배터리 생산시설 건설 계획을 구체화해 내년에 발표할 예정이다. 완성차 업체와 공동 개발 협력도 진전을 보이며 전기차 시장을 공략한다. 차차오 후 대표는 13일 온라인으로 진행한 제3회 'SES 배터리 월드' 행사에서 "서울 인근에 생산시설 건설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새 시설에서 UAM용 배터리 셀과 모듈, 팩을 제조할 계획이다"라며 "자세한 내용은 내년에 발표하겠다"고 덧붙였다. 미국 보스턴에 본사를 둔 SES는 '배터리 강국'인 한국에 진출하고자 지난해 서울에 지사를 설립했다. 충북 충주에 공장도 보유했다. 충주에 있는 3개 라인 중 2개에서 A샘플, 1개에서 B샘플을 만든다. SES는 UAM용 배터리 생산을 위해 추가 투자를 모색하고 있다. UAM은 배터리 업계가 주목하는 새 수요처다. 시장 규모 자체는 전기차보다 작지만 수익성이 높고 차세대 배터리의 가능성을 시험하기에 적합해서다. 후 대표는 "리튬메탈의 중량당 에너지 밀도는 모든 배터리 화학 물질 중 가장 높다"며 "UAM과 리튬메탈은 완벽한 조합"이라고 강조했다. SE
[더구루=오소영 기자] SK그룹의 투자전문회사 SK㈜가 보유한 미국 하이브리드 리튬메탈 배터리 업체 SES AI 코퍼레이션(이하 SES)의 지분율이 12.7%에서 12.1%로 변경된 것으로 뒤늦게 확인됐다. SK는 2대 주주 지위를 유지하며 차세대 배터리 시장에서 리더십을 공고히 하겠다는 방침이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따르면 SK는 SES의 보통주(클래스A) 4200만7759주를 확보해 지분 12.1%를 보유하고 있다. SK는 2018년과 2021년 두 차례에 걸쳐 6100만 달러(약 790억원)를 투자해 12.7%를 취득했었다. SES의 상장 과정에서 지분율이 10.6%로 변동될 것으로 추정됐지만 일부 주주들의 주식 매수청구권 행사로 당초 예상치보다 늘었다. 주식 매수청구권은 주주가 합병 등 주주의 이해에 중대한 영향이 있는 사안에 반대할 경우 자신이 보유한 주식을 팔 수 있는 권리를 뜻한다. SK는 차차오 후 최고경영자(CEO)에 이어 2대 주주로 SES와 시너지를 강화해 차세대 배터리 시장 선점 토대를 마련하겠다는 포석이다. 2012년 설립된 SES는 지난해 세계 최초로 107Ah 용량의 전기차용 하이브리드 리튬메탈 배터리 '아폴로'(Apol
[더구루=오소영 기자] "LG 스탠바이미의 배터리는 충전식이다. 충전 후 이용 시간이 늘면 고객들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유료기사코드] 김한수 SES 한국 지사 대표는 지난 4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최고의 전기차 배터리를 만든다면 다른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며 LG전자의 이동형 TV 'LG 스탠바이미'를 예시로 들었다. ◇'로보틱스·플라잉카·가전'으로 확대 SES는 2012년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소에서 독립한 스타트업이다. 작년 11월 미국과 한국, 중국에서 '제1회 배터리 월드'를 열고 107Ah 용량의 세계 최대 리튬메탈 배터리 '아폴로'(Apollo)를 발표해 주목을 받았다. 아폴로의 무게는 0.982㎏, 에너지 밀도는 935Wh/L로 리튬이온 배터리 대비 40%가량 높다. SES는 올해 2월 한국 진출을 선언하고 수장으로 김한수 대표를 임명했다. 김 대표는 30년 이상 국제 기업 금융 시장에서 종사한 금융 전문가다. 미국 보스톤 은행, 프랑스 BNP파리바 등에서 자본 시장 부문 대표를 역임했고 현대차그룹을 포함해 주요 국내 기업과 협업하며 전문성을 인정받고 있다. 김 대표는 아폴로가 전기차를 넘어 다른 응용처에 활용될 수 있다고
[더구루=오소영 기자] 배터리 소재인 '음극재'에서 실리콘 비중을 20%로 높였을 때 에너지밀도를 17% 향상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스타트업 SES가 주목한 금속 음극재 또한 배터리의 에너지밀도를 높일 대안으로 꼽혔다. [유료기사코드] 영국 시장조사기관 아이디테크엑스(IDTechEx)는 지난 10일 "실리콘 비중을 20%로 늘리면 배터리 에너지밀도를 17% 향상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 실리콘은 현재 음극재의 주원료로 사용되는 흑연보다 10배 높은 에너지 밀도를 지닌다. 충·방전 속도가 빠르고 주행거리도 그만큼 늘어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아이디테크엑스는 "실리콘은 리튬인산철(LFP)과 같은 저에너지 배터리의 매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며 "특히 전기차용의 경우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와의 격차를 좁히고 LFP의 단점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리콘 음극재는 전기 전도도가 낮고 충·방전 과정에서 부피가 팽창해 배터리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를 안고 있다. 다만 배터리 업계가 전해질 첨가제를 비롯해 다양한 솔루션을 통해 단점을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는 만큼 실리콘 음극재는 여전히 '매력적인 소재'라고 아이디테크엑스는 평가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차세대 배터리 개발사 SES가 한국 거점을 만들고 양산 전 단계의 공정 검토를 위한 예비 생산시설을 구축한다. '배터리 강국'인 한국에 투자를 확대하며 현대차, SK, LG 등 국내 기업들과 소통을 강화한다. [유료기사코드] SES는 10일(현지시간) "자회사 'SES 코리아'를 설립하고 예비 생산시설(Pre-production)을 짓겠다"고 밝혔다. 예비 생산시설은 양산에 들어가기에 앞서 공정의 적합성과 제품의 성능·안전성, 생산 후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살피는 공장이다. SES는 이번 투자로 'SES 상하이 기가'에 이어 미국 이외의 지역에서 두 번째로 큰 거점을 운영하게 됐다. 연말까지 약 50명을 고용해 인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SES는 한국 거점을 통해 국내 파트너사들과 교류를 넓힐 방침이다. SES는 SK㈜로부터 2018년과 2021년 두 차례에 걸쳐 6100만 달러(약 720억원)의 투자를 유치했다. LG그룹의 벤처캐피털 자회사 LG테크놀로지벤처스, 현대차도 투자자 명단에 올라있다. 현대차·기아와는 리튬메탈 배터리 A샘플 개발을 위한 공동개발협약(JDA)도 체결했다. 국내 기업들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면서 SES 코리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전자제품 제조사 레노버의 자회사인 모토로라 모빌리티(이하 모토로라)가 인도 위치추적 태그 시장에 진출했다. 모토로라는 위치추적 태그를 비롯해 노트북, 태블릿 등을 출시하며 인도 공략 속도를 높였다. [유료기사코드] 모토로라는 23일(현지시간) 인도에서 '모토로라 태그(Motorola Tag)'를 출시했다. 모토로라 태그는 공식 홈페이지와 인도 최대 전자상거래 플랫폼인 플립카트(Flipkart)를 통해 판매되며, 가격은 2299루피(약 3만8000원)다. 모토로라 태그는 애플 에어태그와 삼성 스마트태그, 지오 에어태그, 노이즈 태그 등과 경쟁한다. 지난해 6월 출시된 모토로라 태그는 가방이나 지갑, 다양한 전자기기에 장착할 수 있는 열쇠고리 형태의 장치다. 모토로라 태그는 지름 31.9mm, 두께 8mm, 무게 7.5g의 컴팩트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으며,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위치추적 기능을 제공한다. 연결 범위는 최대 100m이며 구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 기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과 연동해 사용한다. 모토로라는 태그가 블루투스 추적 기능 외에도 연동된 스마트폰 벨소리 울리기, 원격 카메라 셔터 등의 기능도 제공한다고 설명했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양자컴퓨팅 기업 아이온큐(IonQ)가 토요타와 손잡고 일본 양자컴퓨팅 시장에 진출한다. 아이온큐는 향후 토요타의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일본 상업용 양자컴퓨팅 시장을 빠르게 선점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아이온큐는 23일(현지시간) 토요타 그룹 산하 토요타통상(Toyota Tsusho Corporation)과 일본 양자컴퓨팅 유통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아이온큐는 토요타통상이 보유한 일본 내 고객 네트워크를 활용해 기업용 양자컴퓨팅 시장을 본격 공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이온큐와 손잡은 토요타통상은 2017년부터 양자컴퓨팅 사업을 전개해왔다. 토요타통상은 자동차 부품 기업 덴소를 비롯해 일본 양자컴퓨팅 소프트웨어 기업 쿠나시스(QunaSys), 이스라엘 양자컴퓨팅 스타트업 '퀀텀 머신(Quantum Machines, QM)' 등과 양자 파트너십을 맺었다. 특히 지난 2월에는 영국 광자 양자컴퓨터 기술 스타트업 오르카 컴퓨팅(ORCA Computing)과도 유통 파트너십을 체결한 바 있다. 아이온큐는 토요타통상의 네트워크를 토대로 일본 내 기업에 양자컴퓨팅 기술을 소개하고, 추가 고객 확보에도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