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무어 쓰레드 인텔리전트 테크놀로지(이하 무어 쓰레드)'가 3세대 그래픽처리장치(GPU) 개발을 추진한다. 미국의 제재에도 불구하고 신제품을 내놓겠다는 포부지만 미국 장비와 기술을 쓰지 않는 파운드리 파트너를 구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무어 쓰레드는 PC용 MTT S90과 데이터센터용 MTT S4000을 테스트하고 있다. ID는 각각 0301, 0323으로 새로운 아키텍처 기반의 GPU로 추정된다. 무어 쓰레드는 세계적인 GPU 회사 엔비디아의 중국 사업 총괄 매니저 출신인 장젠중이 2020년 설립한 스타트업이다. 자체 개발한 아키텍처로 GPU를 설계한다. 앞서 MTT S70·S80·S4000을 포괄하는 춘샤오(Chunxiao) 시리즈를 선보였지만 성과는 미미했다. 이를 만회하고자 새 아키텍처를 적용한 3세대 GPU를 준비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제품 출시에 이르기까지 난항이 예상된다. 파운드리 파트너사가 마땅치 않아서다. 무어 쓰레드는 최근 미국 정부의 블랙리스트(entity list·거래제한명단)에 올랐다. 이로 인해 미국산 반도체 장비와 기술 접근이 제한됐다. 미국의 장비·기술로 칩을 생
[더구루=오소영 기자] 반도체 시장이 최저점을 지나고 있다고 분석이 나왔다. 상반기 바닥을 찍은 후 반등해 내년부터 본격 회복세에 접어들 전망이다. 10일 중국 국영 매체 증권시보(STCN) 등 외신에 따르면 안루커지 차이나리소시스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China Resources Microelectronics) 최고재무책임자(CFO)는 4일(현지시간) '2023년 커촹반(科创板) 반기 실적 설명회-반도체 업계 특별 설명회'에서 "상반기는 세계적으로 반도체 재고를 소화하는 기간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운스트림 수요가 감소하고 시장 회복 속도가 전망을 밑돌았다"고 덧붙였다. 실제 반도체 판매액은 작년 12월부터 올해 2월까지 3개월 연속 줄어 전년 동기 대비 20% 이상 감소했다. 미국반도체산업협회(SIA)는 2분기 반도체 매출이 1년 사이 17.3% 떨어졌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장기 전망은 여전히 긍정적이다. 안루커지 CFO는 "재고가 점차 줄고 통신과 신흥 산업 등에서 수요가 성장하며 반도체 시장은 바닥을 찍고 회복한다"고 예상했다. 중국 크리스탈그로우스·에너지 장비(Crystal Growth&Energy Equipment Co Ltd)의 리후이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이 일본 캐논의 노광장비를 수입해 미국의 반도체 수출 통제를 뚫는다. 네덜란드 ASML로부터 극자외선(EUV) 장비를 받지 못해 미세 공정 구현에 차질을 빚자 대체 파트너로 캐논과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FA소프트웨어가 현지 파운드리 업체 SMIC와의 결별설을 부인했다. SMIC의 베이징 12인치(300㎜) 웨이퍼 팹에 도입할 소프트웨어를 개발 중이며 인력 해고도 없었다고 지적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화웨이와 현지 최대 파운드리 회사 SMIC가 반도체 합작 공장 투자설을 부인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화웨이가 현지 최대 파운드리 회사 'SMIC'를 살 수 있다는 추측이 제기됐다. 화웨이는 미국의 제재로 포기한 자체 칩 생산을 재개하고 SMIC는 사업 역량을 끌어올릴 수 있어 양사 모두에게 '윈윈'(Win-Win)이 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최대 파운드리 회사 중신궈지(SMIC)에서 미세 공정 개발을 이끈 장상이 부회장이 사임했다. 수장 교체 후 2달 만에 장 부회장을 포함한 4명의 이사진이 빠지며 경영진 이탈이 가속화되는 분위기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장 부회장이 SMIC를 떠난다. 량멍쑹 SMIC 공동 최고경영자(CEO)와 사외이사 저우지에, 독립 사외이사 영광레이도 이사직을 내려놓는다. 저우쯔쉐 회장이 개인적인 사유로 사임한지 약 2달 만에 4명의 이사진이 교체되는 셈이다. 특히 장 부회장의 사임은 업계의 큰 충격을 주고 있다. 장 부회장은 대만 TSMC의 최고기술책임자(CTO) 출신으로 0.25마이크로미터(㎛), 16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공정 개발을 이끌었다. TSMC를 세계 최대 파운드리 회사로 성장시킨 인물로 평가받는다. 작년 12월 SMIC에 영입되면서 업계의 파장을 일으켰었다. 장 부회장은 SMIC에서 10나노 이하 반도체 공정 개발을 총괄했다. 미국의 압박으로 ASML의 노광장비를 도입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첨단 패키징 기술로 승부수를 보고자 관련 연구를 추진해왔다. 장 부회장이 물러나며 SMIC의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SMIC는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파운드리 회사 SMIC에서 핀펫(FinFET·3차원 반도체 공정 기술) 공정 개발을 주도했던 임원이 사임했다. 초미세 공정 경쟁에서 밀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우진강(吴金刚) SMIC 부총재(副总裁)는 4일(현지시간) 퇴직했다. 우 부총재는 2001년 SMIC에 입사해 20년간 근무했다. 2014년 부총재에 임명돼 핀펫 공정의 연구·개발(R&D)를 이끌었다. 최근 약 930만 위안어치(약 16억원)에 달하는 주식 16만주를 인센티브로 받게 돼 주목을 받았었다. SMIC는 우 부총재가 개인 사정으로 물러났다며 말을 아꼈다. 하이통 증권을 통해 "우 부총재의 이탈로 회사의 R&D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거듭 밝혔다. 재임 당시 기밀 유지 계약을 체결해 기술이 유출될 걱정도 없다는 입장이다. 현지 증권사의 평가에도 불구하고 업계는 우 부총재의 사임으로 핀펫 공정 개발에 차질을 입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우 부총재에 앞서 작년 말 삼성전자 부사장을 역임했던 대만의 반도체 전문가 양몽송(梁孟松) 공동 대표(CEO)가 퇴직했다. 양 전 대표는 TSMC와 삼성전자를 거친 인물로 SMIC에서 1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차 인도법인의 성공적 증시 데뷔 이후 글로벌 완성차 업계에 ‘인도 IPO 바람’이 불고 있다. 이번에는 세계 최대 자동차 메이커 토요타가 인도 자회사 기업공개를 추진, 최대 8억 달러 자금 확보에 나설 전망이다. 현대차에 이어 토요타까지 가세하면서 인도가 새로운 글로벌 완성차 'IPO 격전지'로 부상하고 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에너지부(DOE)가 오클로와 엑스에너지, 테레스트리얼 에너지 등 소형모듈원전(SMR) 기업을 첨단 핵연료 시범 사업자로 선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