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로열티 제한 추진…현대차 2.6% 상표권 수익 축소(?)

마루티 스즈키 5%, 토요타 3.4%…'메이크 인 인디아' 정책 일환

 

[더구루=홍성일 기자] 현대자동차가 인도 정부의 정책에 따라 인도권역본부로 부터 받고 있는 상표권 수입(로열티)가 축소될 가능성이 제기됐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인도 정부는 글로벌 완성차 업체의 현지 법인을 대상으로 본사에 수익 일부를 지급하는 로열티를 축소할 것을 요청했다. 

 

현재 인도에 진출해 있는 글로벌 완성차 브랜드 인도법인들은 기술과 브랜드를 사용하는 로열티 명목으로 수익의 일부를 본사에 지급하고 있다. 

 

이런 로열티가 인도 정부의 주된 관심사가 된 것은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다. 

 

수년간 인도정부가 강력한 경제개발 정책을 펴면서 외국인 투자 규정이 완화돼왔고 지난 2009년 로열티 지급에 대한 규제가 철폐돼 로열티의 규모가 급증했다.  

 

인도 정부는 걷잡을 수 없이 늘어난 로열티를 규제하기 위해 지난해 수익의 2%만을 지급할 수 있다는 규제를 내놓았지만 해외 기업들의 반발과 투자 촉소와 기술 이전 제한 등에 대한 우려로 5%로 최종 결정됐다. 

 

하지만 최근 모디 인도 총리가 '메이크 인 인디아' 정책에 강하게 드라이브를 걸면서 해외 자본 유출을 줄이기 위해 다시금 로열티 문제가 수면 위로 부상했다. 

 

현재 인도 자동차 업계 1위인 마루티 스즈키는 지난해 일본 스즈키에 매출 5%에 달하는 382억 루피(약 6050억원)을 로열티 명목으로 지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도 매출액 대비 2.6%인 112억 루피(약 1775억원)을 지급한 것으로 전해졌다. 토요타의 경우 3.4%이다. 

 

인도 정부의 로열티 정책 변화를 놓고 현지 업계는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로열티 제한은 글로벌 업체들의 매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로열티 감소로 인한 수익성 감소는 글로벌 업체들의 인도 투자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결국 재정적 관점에서 운영과 공급망 구조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테크열전

더보기




더구루인사이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