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국내 항공업계는 그야말로 국적 항공사의 수난시대였다. 국내 1위 항공사인 대한항공은 오너 일가의 '물컵 갑질'을 시작으로 오너 일가의 각종 비리 의혹과 폭언 및 폭행 등의 제보가 이어지면서 항공사 이미지가 실추됐다. 아시아나항공도 오너의 미투(Me Too)논란, 기내식 대란 등으로 국민의 공분을 샀다.
특히 오너 리스크로 인해 풀서비스캐리어(FSC)의 신뢰도는 바닥으로 추락한 반면 저비용항공사(LCC)는 외형적 성장을 거듭하 고공행진을 이어가면서 희비가 엇갈렸다.
이에 따라△오너 리스크로 난기류 봉착 △오너 불명예 퇴진 △추락한 FSC '훨훨' 나는 LCC △항공업계 경영 정상화 '올인' 등 총 4회에 거쳐 국내 항공운송업 생태계를 살펴본다. -편집자 주-
<글 싣는 순서>
① "터질게 터졌다"?오너 리스크로 난기류 봉착
② 나란히 물러난 항공사 '맞수'…불명예 퇴진
③ 추락한 FSC VS '훨훨' 나는 LCC
④ "1등석 폐지, 유급 휴직" 경영 정상화 '올인'
오너 리스크에 이어 경영권 승계, 항공사 매각 등 혼란스러운 시간을 보낸 항공업계가 경영 정상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당장 항공업계 순위 변동은 없지만 풀서비스캐리어(FSC, 대형항공사)와 저비용항공사(LCC)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FSC의 실적 악화가 이어지자 실추된 기업 이미지 및 신뢰도 회복 등을 바탕으로 경영 개선에 집중하겠다는 방침이다. 괄목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LCC는 차별화된 서비스로 고객 만족도를 높이겠다는 전략이다.
◇"자존심 버리고 실속 챙긴다"…FSC, 1등석 감축
FSC는 경영 정상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가장 먼저 경영개선의 일환으로 좌석 운영 방식에 손을 댔다. 경영 정상화를 위해 중·단거리 노선에 한해 1등석인 퍼스트 클래스를 축소 및 폐지하기로 한 것. 1등석을 고집해 자존심을 챙기느니 이를 없애고 더 많은 승객을 태워 경영개선에 앞장서겠다는 의도이다.
대한항공에 따르면 6월 1일부터 국제선 27개 노선에서 1등석(퍼스트클래스)을 없애기로 했다. 좌석 운영 방식을 기존 '쓰리(3)클래스'에서 '투(2)클래스' 체제로 변경, 전체 노선 중 30% 정도만 1등석을 운영한다.
아시아나항공은 아예 1등석 폐지에 나선다. 아시아나항공은 오는 9월 1일부터 기존 퍼스트 클래스 운영을 중단하고 비즈니스 스위트를 도입한다. 가격이 조금 더 저렴한 비즈니스 스위트로 여객 점유율을 높여 수익성을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뿐만 아니라 적자 노선을 정리하는 건 물론 수익성 개선을 위해 직원 구조조정도 진행 중이다.
경영권 승계 및 매각 작업에도 속도를 낸다.
조양호 전 한진그룹 회장의 자리를 물려받아 신임 한진그룹 회장은 경영권 승계 과정에서 불거진 삼남매 간 갈등설 봉합 및 그룹 경영권 방어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또한 고 조양호 회장의 퇴직금을 수령해 상속에 재원도 마련했다. 앞서 공정위는 지난 15일 한진그룹의 동일인(총수)을 지난달 별세한 고(故) 조양호 회장에서 조원태 대한항공 사장으로 변경했다.
아시아나항공은 매각을 앞두고 수익성이 저조한 시카고, 뉴델리, 하바로프스크·사할린 노선을 운휴하고, 수익성이 높은 노선 위주로 체질 개선에 나선다. 또한 전사적인 비용절감 차원의 희망퇴직도 실시 중이다. 오는 2020년 이후 노선 구조개선 계획은 매각주간사 및 채권단과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신중히 추진할 계획이다.
허희영 한국항공대학교 교수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모두 경영권 위기를 겪고 있다"면서 "경영권 승계 및 상속, 매각 등 이런 문제를 수습해서 경영권을 안정시켜야 외항사에 손님을 뺏기지 않고, 중장거리 노선을 지킬수 있다"고 밝혔다.
◇"차별화된 서비스 필요"…LCC, 변화 모색
LCC는 기단과 노선 확대를 통한 외형 성장을 가속화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FSC가 독점해온 노선을 LCC가 신규 운수권을 확보함으로써 수익성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
제주항공을 비롯해 티웨이항공, 에어부산, 이스타항공은 부산~싱가포르 노선과 중국 베이징·상하이 노선에 항공기를 띄울 수 있게 됐다.
여기에 신기재 도입 등으로 경쟁력을 강화해 중장거리 노선까지 진출하는 발판을 마련할 전망이다.
다만 지난 3월 플라이강원, 에어로케이, 에어프레미아 등이 신규 항공운송사업자 면허를 취득하면서 하늘길 혈투가 예상돼 차별화된 전략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항공업계 전문가는 FSC와의 경쟁 외 신생업체의 시장 진입을 앞두고 LCC만의 차별화된 서비스 전략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허희영 교수는 "항공업계는 글로벌 비즈니스라 경쟁 우위를 점할 수 있는 게 중요하다"면서 "차별화된 서비스 전략을 앞세우던가 조인트 벤처 등을 통해 국제 경쟁력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내 조인트벤처를 지난해 대항항공이 처음 시작했지만, 일본이나 중국에 빕해 5년가량 뒤쳐졌다"면서 "조인트벤처는 대형항공사만 하는게 아니라 LCC 조인트벤처도 표면화돼야 국내 항공업계가 발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