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한·일 이어 중·인도까지…세계 곳곳 '총성 없는 전쟁'

-인도상공인연합회 '파키스탄 우방' 중국 불매 운동·관세 부과 주장
-OECD 조사, 미·중 무역보복 여파로 세계 GDP 0.7% 하락 전망

 

[더구루=오소영 기자] 인도상공인연합회(CAIT)가 중국 제품 불매 운동과 최대 500% 관세 부과를 촉구하며 중·인도 무역 전쟁에 불을 지폈다. 중국이 자국과 앙숙인 파키스탄을 지원한다는 이유에서다. 미·중, 한·일에 이어 중국과 인도가 무역 난타전을 벌일 조짐을 보이며 글로벌 경기 둔화가 가속화될 것으로 우려된다.

 

◇ 인도 상공인 "中 관세 500% 부과" 촉구

 

2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CAIT는 지난 18일(현지시간) "중국 제품의 불매 운동을 벌이자"고 강력히 주장했다. 300~500%의 관세 부과도 요청했다.

 

CAIT는 "오는 29일 예정된 차기 전국 회의에서 이 문제를 논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중국은 모든 이슈에서 파키스탄의 편에 서 왔다"며 "중국 제품의 의존도를 줄여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양국 갈등의 발단은 인도와 파키스탄 간 영토분쟁에서 비롯됐다. 인도와 파키스탄은 1947년 영국에서 독립한 후 카슈미르 지역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며 전쟁을 치렀다. 현재까지 대립이 이어진 가운데 중국은 파키스탄 입장을 지지해왔다.

 

최근 인도령 카슈미르 지역인 잠무카슈미르주의 특별자치권을 박탈하는 문제도 마찬가지다. 인도 정부는 지난 5일 해당 지역의 자치권을 보장하는 헌법 370조를 즉각 폐지하는 사안에 대해 의회의 승인을 받았다. 잠무카슈미르와 라다크로 분리해 직접 통치하겠다는 것이다.

 

중국은 즉각 반대했다. 라다크는 인도 최북단에 있어 중국과 맞닿아 있기도 하다.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인도 정부가 일방적으로 자국법을 개정하는 방식으로 중국 영토 주권을 훼손하는 행위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반발했다. 또 파키스탄에 지지를 표하며 카슈미르 문제를 유엔안보리에 회부하는 방안을 공유했다.

 

앞서 2016년 10월에도 인도에서 중국이 파키스탄의 우방이라는 이유로 불매 운동이 벌어진 바 있다. 인도 최대 명절인 디왈리를 앞두고 중국산 제품 판매는 30% 감소했다.

 

◇ 영토 갈등에 무역 적자까지… 살얼음길 걷는 중·인도

 

영토 갈등과 경제적인 이슈가 겹치며 양국 관계는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인도 정부는 만성적인 무역적자를 우려하고 있다. 인도의 대중 무역적자는 지난해 578억6000만 달러(약 69조8000억원)에 이른다. 1년 사이 11.8%나 급증했다.

 

비크람 미스리 주중 인도 대사는 "무역적자가 확대되는 것을 방치할 경우 정치적으로 아주 민감한 문제가 될 수 있다 "며 "양국의 상호보완적 무역 관계를 위해 시정돼야 한다 "고 지적한 바 있다.

 

중국에서도 미국의 화웨이 배제 움직임을 두고 인도에 경고장을 날린 상태다. 인도의 5세대 이동통신(5G) 사업에서 화웨이를 제외할 시 인도 기업에 제재를 가하겠다고 강경한 입장을 내놓았다.

 

◇ '무역 전쟁 탓' 글로벌 경기 악화 우려

 

중국과 인도의 관계가 급격히 경색되며 전 세계적으로 무역갈등이 격화되는 양상이다. 중국과 미국은 작년부터 관세 공방을 벌여왔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작년 7월 340억 달러(약 39조8000억원) 규모의 중국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했다. 중국은 같은 규모의 미국 제품에 25% 관세를 매기며 갈등이 점화됐다.

 

우리나라도 일본과 수출 규제 공방을 벌이고 있다. 일본 정부는 지난달 4일 반도체·디스플레이 핵심 소재 세 개에 대한 규제를 강화한 데 이어 지난 2일 한국을 수출심사 우대국 목록(화이트리스트)에서 배제했다. 한국도 일본을 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하며 맞대응했다.

 

무역 전쟁이 심화되면서 향후 글로벌 경기 둔화를 더욱 부채질할 것으로 보인다. 무역 전쟁을 벌이는 국가들의 수출 감소뿐 아니라 투자 위축과 고용 불안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다.

 

실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미·중 관세 타격전 탓에 2021년까지 미국이 0.6%, 중국이 0.8% 손실을 본다고 추산했다. 글로벌 GDP는 같은 기간 0.7%, 무역은 0.5%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테크열전

더보기




더구루인사이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