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정부가 나트륨이온 배터리의 성능과 안전성 평가를 통과한 기업 명단을 발표했다. BYD와 SVOLT 등 17개 기업이 리스트에 포함됐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정부가 나트륨이온 배터리의 성능과 안전성 평가를 통과한 기업 명단을 발표했다. BYD와 SVOLT 등 17개 기업이 리스트에 포함됐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수소기업 론(RONN)이 국내 수소 개발 사업에 참여한다. 론은 24일(현지시간) 합작투자(JV) 파트너인 HES(Hydrogen Energy Systems)가 한국 대형 화학회사와 대규모 수소·암모니아·질소·요소 등을 생산하는 대규모 프로젝트와 관련해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유료기사코드] 사업비는 3억5500만 달러(약 5100억원) 규모로 추정된다. 사업명을 비롯해 구체적인 정보는 규제 승인을 획득한 이후 공개할 예정이다. 론과 HES는 △설계·엔지니어링 및 프로젝트 관리 △견적 평가 및 하청 결정 △재무 보고 및 컨설팅 △PEM 전해조 제조 및 설치 등을 담당한다. 론은 미국 애리조나주(州)에 기반을 둔 수소기업이다. HES는 친환경 에너지 솔루션 분야 글로벌 혁신 기업이다. 양사는 "이번 계약은 글로벌 친환경 에너지 목표에 있어 거대한 도약"이라며 "두 회사 협력을 통해 글로벌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것"이라고 전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유럽 방위산업체 라인메탈이 독일 내 자동차 부품 공장 두 곳을 군사 장비 생산시설로 활용한다. 라인메탈은 차량용 민간 부품을 제조하는 공장을 무기 제조 시설로 용도를 변경해 방위사업을 확장한다. [유료기사코드] 25일 로이터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라인메탈은 최근 독일 베를린과 노이스에 있는 자동차 부품 공장 두 곳을 무기 생산시설로 전환한다. 라인메탈은 베를린과 노이스 공장을 무기와 탄약 사업부로 이전하고, 공장에서 자동차 부품 일부를 제조하면서 방위장비를 생산할 예정이다. 현재 베를린과 노이스의 공장은 자동차 및 에너지 산업에 제품을 제공하는 전력 시스템 사업부에 속해있다. 아직 공장 용도 변경에 대한 최종 결정은 내리지 않았지만 회사는 군사장비와 탄약 부문에서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모든 기회를 활용하고 있다. 라인메탈은 "베를린과 노이스 자동차 부품 공장의 전환은 군사 장비의 주요 공급 업체로서 라인메탈그룹의 산업적 강점과 독일 등 전 세계 고객의 높은 수요로부터 혜택을 받을 것"이라고 밝혔다. 라인메탈이 공장의 용도를 바꾸기로 한 건 독일 자동차 제조사들이 높은 비용과 외국 기업의 경쟁으로 자동차 사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어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