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소형모듈원전(SMR) 기업 엑스에너지(X-energy)가 미국 국방부(DOD)의 이동식 초소형 원자로(MMR) 사업 참여를 확대한다. 기업공개(IPO)를 앞두고 몸값을 높이고 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소형모듈원전(SMR) 기업 엑스에너지(X-energy)가 미국 국방부(DOD)의 이동식 초소형 원자로(MMR) 사업 참여를 확대한다. 기업공개(IPO)를 앞두고 몸값을 높이고 있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베트남이 희토류 광산 개발에 속도를 낸다. 미국을 비롯한 서방 국가의 지원을 받아 본격적인 생산 확대에 나서겠다는 계획이다. 미국의 탈중국 공급망 구축의 핵심 국가로 부상한 모습이다. [유료기사코드] 2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베트남 천연자원환경부는 올 연말까지 동파오 광산에 대한 입찰을 시작할 예정이다. 이미 호주 블랙스톤 미네랄과 베트남 희토류 JSC(VTRE)가 개발 업체로 거론되고 있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베트남은 중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은 희토류를 매장하고 있다. 다만 장기간의 전쟁과 자본 부족으로 제대로 된 생산을 이뤄지지 못했다. 실제로 베트남 희토류 매장량은 2200만t(톤)인 데 반해 연간 희토류 생산량은 지난 2021년 기준 400t에 그쳤다. 국영 광산업체 라브레코는 최소 7년 동안 휴면 상태였던 동파오 광산을 효과적으로 개발하면 베트남이 희토류 생산국 상위권으로 도약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동파오 광산 희토류는 비교적 접근하기 쉬우며 대부분 바스트나에사이트 광석에 집중돼 있다. 여기엔 세륨과 프라세오디뮴, 네오디뮴 같은 란타나이드가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블랙스톤 미네랄
[더구루=김도담 기자] 체코 정부가 경제 회복을 위해 지역 반대 여론에도 불구하고 리튬 채굴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유료기사코드] 페트르 피알라(Petr Fiala) 체코 총리는 지난 21일(현지시간) 리튬 광산 개발 가능성이 큰 시노벡(Cínovec)을 방문 "체코 정부는 경제 회복을 위해 전략적 원자재인 리튬 채굴 촉진에 모든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체코 북서부에 위치한 시노벡은 유럽에서 가장 많은 리튬이 매장된 지역으로 알려졌다. 체코 에너지 기업 cz에 따르면 이 지역에서 광산 개발이 시작되면 2026년~2028년 생산이 가능하다. 이 지역은 세계에서도 5번쨰로 많은 1.3메가톤(Mt)이 배장된 것으로 알려졌다. 피알라 총리는 시노벡 지역 지자체 대표들을 만나, 리튬 채굴과 관련한 논의를 진행했다. 그는"지자체 장들은 역 주민과 전체 지역의 이익을 고려해 개발의 방식과, 규칙, 프로젝트를 꾸려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지자체 대표들의 우려 역시 상당한 수준이다. 이들 가운데 상당수는 프로젝트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없고, 채굴로 인해 환경에 훼손될 수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리튬 처리 공장이 건설될 예정인 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