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中 친환경 소재 시장 '눈독'...하이순신소재와 사업 협력 논의

지난달 한국포장재협회 회원사 자격으로 후저우 사업장 방문
中 재활용 플라스틱 시장 진출 전망…환경 규제 대응

 

[더구루=오소영 기자] LG화학이 중국 친환경 소재 시장에 진출을 위한 기반 마련에 나선다. 현지 포장재 회사인 하이순신소재(海顺新材)와 회동해 친환경 소재 사업 협력에 뜻을 모았다. 중국 정부의 강력한 플라스틱 규제로 커지고 있는 재활용 시장을 공략한다.   


29일 중국 시나닷컴 등 외신에 따르면 LG화학은 지난달 중국 저장성 후저우 소재 하이순신소재 사업장을 찾았다. 한국포장협회의 주도 하에 회원사 자격으로 방문하고 친환경 소재 사업에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친환경 패키징 기술과 트렌드를 공유하는 시간도 가졌다. 

 

2005년 설립된 하이순신소재는 초기 약포장재 사업에 집중했다. 세계 100대 제약사 중 70곳을 뚫으며 경쟁력을 입증했다. 2016년 선전증권거래소 상장에 성공했으며 2018년 식품 포장재, 2019년 의료기기 포장재, 2020년 배터리 패키징 시장에 진출했다. 사업 보폭을 넓히며 7개 자회사, 800명 이상 직원을 둔 회사로 성장했다. 현재 총자산은 22억 위안(약 4100억원)에 달한다. 


LG화학은 친환경 포장재 시장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하이순신소재와 협업해 중국을 공략한다. 중국은 세계 최대 플라스틱 소비국이다. 지난 2020년 기준 플라스틱 폐기량은 3840만 톤(t)에 달한다.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꼽히는 폐플라스틱 문제를 해결하고자 중국 정부가 플라스틱 사용에 대한 강력한 규제를 추진하며 생분해성 플라스틱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코트라는 생분해 플라스틱 수요가 2025년 500만 톤(t)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 중연망은 분해 가능 플라스틱 시장이 2019년 162억 위안(약 3조400억원)에서 2025년 500억 위안(약 9조3900억원)으로 성장한다고 전망했다.

 

LG화학은 친환경 소재를 3대 신성장동력 중 하나로 꼽았다. 2030년까지 친환경 소재에서 매출 8조원을 올리겠다는 포부로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세계 최초의 PCR(Post-Consumer Recycled) 화이트 ABS 상업화에 성공하고,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구축했다.

 

외부 파트너십도 활발하다. 작년 10월 아모레퍼시픽과 화장품 용기와 포장재의 친환경 전환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헤어 브랜드인 미장센 라인에 PCR PE를 제품 용기로, PCR PP를 뚜껑에 적용한다. 작년 4월 대한통운과 손잡고 물류센터에서 버려지는 포장용 랩을 수거, PCR 기술로 재활용 랩을 만들어 다시 사용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테크열전

더보기




더구루인사이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