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윤진웅 기자] 인도가 타이어 공급망 중심지로 떠오르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자동차 시장을 토대로 자동차 제조 증가, 인프라 개발, 교체용 타이어 수요 확대 등이 이뤄지고 있어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8일 인도 자동차 타이어 제조업체 협회(Automotive Tire Manufacturer’s Association, ATMA)에 따르면 인도 타이어 시장은 2022년 90억 달러에서 2032년 220억 달러로 두 배 이상 성장할 전망이다. FY 2023년에는 2억 2000만 개의 타이어를 생산했다.
상용차와 승용차, 이륜차 증가에 따른 자동차 시장 성장이 타이어 시장 수요를 끌어올리고 있다. 인프라 및 산업화를 촉진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 또한 상용차 타이어 수요를 높이는 데 한몫하고 있다. 여기에 스마트 타이어와 소음 감소 기술, 펑크 방지 타이어, 전기 자동차(EV, Electric Vehicle)용 타이어와 같은 첨단 기술이 적용된 타이어에 대한 수요도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전기차 시장의 성장은 타이어 산업 트렌드를 바꾸고 있다. 전기차 타이어는 전기차의 높은 토크 특성으로 인해 향상된 내구성, 특수 트레드(Tread) 패턴, 향상된 하중 지지력 등 차별화된 사양으로 제작된다. 이 틈새 시장은 인도의 전기차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강화된 품질 규제(BIS, QCO)와 치열한 경쟁, 변동이 큰 원자재 가격 등은 변수로 여겨진다. 인도의 타이어 제조업체들은 타이어 제작에 필요한 합성 고무, 카본 블랙, 고무 화학 물질과 같은 주요 원자재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또한, 인도 타이어 수요의 약 46%는 예측하기 어려운 애프터마켓에서 발생한다. 타이어 산업의 천연 고무(Natural Rubber) 필요량의 약 40%를 수입으로 충당하고 있다. 따라서 인도의 타이어 수입에 대한 높은 관세율은 업계의 경쟁력에 영향을 미친다.
업계 관계자는 "한국 기업들은 높은 타이어 기술력과 공급망 관리 노하우를 바탕으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을 것"이라며 "특히 인도 정부의 PLI 제도와 천연고무 재배 프로젝트를 활용한 현지 생산은 물류 비용 절감과 규제 대응 측면에서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지 기업과 협력하여 유통망을 강화한다면 인도 타이어 시장에서 한국 기업들의 경쟁력이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