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구루=진유진 기자] 서울시가 토지거래허가구역을 해제하면서 서울 아파트값이 다시 들썩이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의 이번 주 아파트값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은 전주 대비 0.14% 올랐다. 전주 상승률 0.11%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특히 서울시가 '잠·삼·대·청(잠실·삼성·대치·청담)' 등 국제교류복합지구 인근 아파트에 대한 토지거래허가구역을 해제하면서 강남권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송파구가 0.68% 상승하며 서울 25개 구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전주(0.58%)보다 상승 폭이 확대된 것으로, 지난 2018년 2월 첫째 주(0.76%) 이후 7년 1개월 만의 최대 상승 폭이다.
강남구(0.38%→0.52%)와 서초구(0.25%→0.49%)도 각각 전주 대비 상승 폭을 키우며 상승률 2, 3위를 차지했다. 강남구는 지난 2018년 9월 첫째 주(0.56%) 이후 6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았고 서초구 역시 지난해 8월 넷째 주(0.50%) 이후 최고치다.
강남 11개구에서는 △송파구(0.68%)는 잠실·신천동 중심으로 △강남구(0.52%)는 청담·압구정동 위주로 △서초구(0.49%)는 반포·잠원동 주요단지를 중심으로 상승했다. 강동구(0.10%)는 고덕·상일동 대단지를 중심으로 가격이 올랐다.
강북 14개구에서는 △광진구(0.11%)는 광장·자양동 주요단지 위주로 △마포구(0.11%)는 염리·아현동 준신축 중심으로 △용산구(0.10%)는 이촌·서빙고동 위주로 상승했다.
반면 노원구(-0.03%)는 상계·중계동 중심으로, 도봉구(-0.02%)는 쌍문·도봉동 위주로 하락했다.
부동산원은 "서울 외곽 지역과 구축 아파트 일부는 가격이 하락했지만, 주거 여건이 양호한 역세권과 학군지를 중심으로 상승 계약이 체결되며 상승세가 지속됐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