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S, 'AI 풀스택 전략'으로 기업 시장 정조준

'REAL Summit 2025' 개최
AI 에이전트 기반 기업 혁신 전략 제시
기업고객에 AI 풀스택(Full-stack) 서비스 제공

 

[더구루=김예지 기자] 삼성SDS가 '인공지능(AI) 풀스택' 전략을 고도화하며 기업 대상 AI 시장 주도권 확보에 나섰다. 단순 어시스턴트를 넘어선 멀티 에이전트 기반 자동화 시스템을 전면에 내세운다. △인프라부터 △솔루션 △보안 △운영까지 아우르는 '전방위 AI 서비스'를 통해 글로벌 및 공공 시장을 동시 공략한다.

 

삼성SDS는 11일 서울 코엑스에서 '내일의 기술을 내 일의 기술로'를 주제로 REAL Summit 2025를 개최하고 AI 전략과 고객 사례를 대거 공개했다. 행사에는 온·오프라인 포함 약 1만5000명이 참석했으며, 키노트 세션과 Press Q&A 시간이 주어졌다. 

 

◇ 에이전트가 일한다… AI 트랜스포메이션 본격화

 

삼성SDS의 차세대 전략은 에이전트 중심의 AI 풀스택이다. 단순 명령 수행이 아닌, 사용자의 맥락을 이해하고 자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AI 에이전트 구조를 기반으로 한다. 이준희 삼성SDS 대표 이사(사장)는 "한 번의 요청이면 에이전트가 업무를 처리하고, 사용자는 최종 결정만 내리는 구조가 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핵심은 삼성SDS 플랫폼인 ‘패브릭스(FabriX)’와 자동화 솔루션 ‘브리티(Brity)’ 라인업이다. 특히 패브릭스는 다수의 AI가 협업하는 MCP·A2A 기반 멀티 에이전트 기술을 적용해 고도화됐다. 브리티 코파일럿은 다국어 통역, 일정 브리핑, 자동응대 등 다양한 에이전트를 실제 업무에 투입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호준 클라우드서비스사업부장(부사장)은 "금융, 제조 등 업종별 특화 에이전트를 지속 개발하고 있다"며 "컨설팅부터 구축·운영까지 통합 제공 가능한 SDS의 구조가 차별점"이라고 설명했다.

 

◇ 글로벌·공공 시장 공략… “정부가 첫 고객 되도록 노력할 것”

 

삼성SDS는 글로벌 파트너와의 전략적 제휴를 확대하며 해외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SAP는 SDS 클라우드를 통해 S/4HANA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제공 중이며, 델 테크놀로지스는 “AI 혁신을 위한 협업을 지속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외 사업도 본격화한다. 이 사장은 "정부의 AI 정책 방향에 적극 동참할 것"이라며 "정부가 우리의 첫 고객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 삼성SDS는 최근 공공 AI 사업 공모지침을 전달받고 참여 방안을 검토 중이다.

 

한편 KB금융, 원익그룹, 업스테이지 등 국내 기업도 SDS 솔루션을 실무에 적용 중이다. KB금융은 보고서 자동화 등 다양한 금융 AI를 운영 중이며, 원익은 통역 및 회의록 자동화를 통해 글로벌 협업 효과를 보고 있다.

 

◇ 보안·정확도 우려엔 "맞춤형 대응"… 풀스택 전략 차별화

 

업계의 주요 관심사인 △보안 △정확도 △AI 신뢰성 문제에 대해서도 해법을 제시했다. 송해구 삼성SDS 솔루션사업부장(부사장)은 "기업별 보안 필터 기능을 적용하고, 높은 수준의 보안을 요구하는 고객에게는 프라이빗 정책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브리티 코파일럿에서의 정보 유출 우려에 대해 "가장 안전한 구조로 제공 중"이라고 강조했다.

 

AI 에이전트의 정확도에 대해서는 "아직 완전하지는 않지만, 점진적 고도화를 통해 정밀도를 높여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사장은 모든 고객에게 동일한 전략을 적용하지 않고, 각 기업의 상황에 맞는 풀스택 경쟁력 확보가 핵심이라고 덧붙였다. 송 부사장은 "인터넷이 B2C에서 B2B로 확대된 것처럼, AI 역시 B2C 경험을 거쳐 B2B 시장으로 넘어가는 과도기"라며 "시간이 지나면 보안, 정책 등 미정리된 문제들이 해결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테크열전

더보기




더구루인사이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