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단 사고에 8개 건설사 수장, 결국 줄줄이 국감 소환

국회 국토위, 8개 건설사 수장 증인 소환
정치권, 중처법 집행 의지 강조할 듯
건설업계 “국감에 성실히 임할 것”

 

[더구루=정등용 기자] 시공능력평가 상위 10개 건설사 중 8개 건설사의 수장이 국회 국정감사에 소환됐다. 건설현장 안전 문제가 또 다시 도마 위에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9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에 따르면 오는 13일 열리는 국정감사에는 △이한우 현대건설 대표 △김보현 대우건설 대표 △이해욱 DL그룹 회장 △허윤홍 GS건설 사장 △주우정 현대엔지니어링 대표 △송치영 포스코이앤씨 사장 △박현철 롯데건설 부회장 △정경구 HDC현대산업개발 대표가 증인으로 소환됐다.

 

건설사 수장들이 국감에 대거 소환된 데에는 중대재해 발생 시 책임자 처벌을 골자로 하는 ‘중대재해처벌법(중처법)’의 엄격한 법 집행을 강조하려는 의도가 깔려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부도 지난 8월과 9월 두 차례에 걸쳐 20대 건설사 CEO를 한데 모아 고용노동부 장관과 간담회를 진행한 바 있다.

 

국회는 이번 국감에서 건설사들의 안전 관리 부실을 집중적으로 따질 전망이다. 올해도 안성 교량 붕괴와 신안산선 터널 사고 등 대형 참사가 이어지며 건설사의 안전 관리 체계가 비판의 대상이 됐다.

 

국토위에 제출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5년간 10대 건설사에서 사고로 숨진 노동자는 113명에 달한다. 대우건설(20명)·현대건설(19명)·HDC현대산업개발(18명)·현대엔지니어링(14명)·포스코이앤씨(13명) 순으로 사망사고가 많았다. 올해(1~7월)도 16명이 추가로 사망해 중처법 시행 이후에도 개선 효과가 미미하다는 평가다.

 

건설사들은 건설 현장 안전 사고에 대한 국민적 우려가 많은 만큼 국감에 성실히 임하겠다는 입장이다. 특히 사회적 파장이 큰 사고가 많았던 만큼 경영진이 직접 나서 해명하고 개선 의지를 밝히는 것이 불가피하다는 기류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정치권이 안전 사고에 대해 어느 때보다 강경한 입장이라 상당한 긴장감을 갖고 있다”면서 “다만 일방적인 호통이 아닌 근본적 처방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테크열전

더보기




더구루인사이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