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정부가 ‘서해안 HVDC(초고압직류송전) 에너지 고속도로’의 본격 추진 일정을 확정하면서 관련 업계가 들썩이고 있다. 앞서 기후에너지환경부는 ‘HVDC 산업 육성 전략’을 발표하고, 케이블을 비롯한 송전 설비 공급 계약과 인허가, 보상 절차를 2026년까지 모두 완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부가 HVDC 공급망 구축 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주무기관인 한국전력은 현재 경과지 선정과 해양 조사, 기본 설계 등 엔지니어링 절차를 진행 중이다. 이를 바탕으로 이르면 내년부터 해저케이블과 변환설비 등 핵심 기자재 조달을 위한 입찰 공고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 계획이 구체화되면서 업계는 케이블 분야 우선 사업자 선정이 내년 상반기 중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대규모 HVDC 사업은 해양 조사, 자재 수급, 생산 테스트, 운송과 포설까지 최소 4~5년이 걸린다”며 “2030년 완공을 위해서는 2026년에는 사업자 선정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해저케이블 부문에서는 LS전선과 LS마린솔루션이 제작·시공 역량을 바탕으로 핵심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특히 LS마린솔루션은 국내 최초 초대형 HVDC 해저케이블 전용 포설선 확보를 앞두고 있어, 시장의 관심이 집중된다.
반면 변환설비 분야는 국산화가 한창 진행 중이다. 효성중공업, HD현대일렉트릭, LS일렉트릭, 일진전기 등이 기술 개발을 서두르고 있으며 정부는 2027년까지 국산화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해저케이블 부문이 한발 앞서 사업자 선정이 진행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서해안 HVDC 프로젝트’ 1단계 사업은 전북 새만금에서 경기도 화성까지 약 220㎞ 구간에 해저케이블 왕복 2회선을 설치해 총 2GW급 전력망을 구축하는 초대형 사업이다. 전체 선로 길이는 440㎞에 달하며, 2030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HVDC 사업 추진 속도를 높이기 위해 공공기관 예비타당성조사(예타) 면제를 검토 중이며, 검증된 자재와 시스템은 한국전력이 인수해 공용 전력망으로 운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이번 전략을 통해 2030년까지 HVDC 산업을 차세대 수출산업으로 육성하고, 국내 기술 기반의 전력 자립형 에너지 네트워크를 구축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