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산업을 둘러싼 글로벌 생태계는 하루가 다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그 어느 곳보다 전기차 생태계 구축에 힘을 쏟는 곳은 북미 지역입니다. 천문학적인 규모의 보조금을 앞세워 자국 내 생태계를 구축하는 한편 다양한 혜택을 내세워 전 세계 주요 기업들을 품 안으로 불러들이고 있습니다. 더구루는 미국과 캐나다 정부 고위 관계자와 전기차 산업을 주도하는 글로벌 기업, 고등 교육기관 등을 접촉해 △정부 정책 △현지 파트너사 간 이해관계 △배터리 등 공급망 주도권 △일자리 창출 등 지역 경제 기여도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고 한국 산업계가 나아갈 길에 대해 살펴봅니다. -편집자주- [온타리오(캐나다)=오소영 기자] 401번 고속도로는 캐나다 동부와 미국 중서부를 잇는 가장 빠른 도로다. 캐나다 수도 오타와 인근 콘월부터 토론토, 런던 등 주요 도시를 지나 미국 미시간과 국경을 맞댄 윈저까지 뻗어있다. 캐나다와 미국 무역 거래량의 약 40%가 이 고속도로를 지난다. 401번 고속도로를 따라 캐나다 자동차 산업도 발달했다. 토론토에서 고속도로를 타고 약 3시간 반을 쉼 없이 달려야 도착할 수 있는 윈저는 캐나다 자동차 산업의 기둥이다. 포드와 스텔란티스의 공장이 이곳에 둥
전기차 산업을 둘러싼 글로벌 생태계는 하루가 다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그 어느 곳보다 전기차 생태계 구축에 힘을 쏟는 곳은 북미 지역입니다. 천문학적인 규모의 보조금을 앞세워 자국 내 생태계를 구축하는 한편 다양한 혜택을 내세워 전 세계 주요 기업들을 품 안으로 불러들이고 있습니다. 더구루는 미국과 캐나다 정부 고위 관계자와 전기차 산업을 주도하는 글로벌 기업, 고등 교육기관 등을 접촉해 △정부 정책 △현지 파트너사 간 이해관계 △배터리 등 공급망 주도권 △일자리 창출 등 지역 경제 기여도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고 한국 산업계가 나아갈 길에 대해 살펴봅니다. -편집자주- [더구루=오소영·정예린 기자] "운송 부문의 전동화는 부인할 수 없는 추세다. 수년 동안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할 것이다" 피에르 피츠기본(Pierre Fitzgibbon) 캐나다 퀘벡주 경제혁신에너지부 장관은 이렇게 단언했다. 본지와 만난 북미의 정부·업계관계자들은 전기차 시장을 둘러싼 높은 성장잠재력에 입을 모았다. 전기차 시장을 잡고자 가장 발 빠르게 움직이는 곳은 북미다. 미국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통과해 막대한 인센티브를 내걸었다. 이에 질세라 캐나다도 IRA 수준의 세액 공제
[더구루=길소연 기자] 제주항공이 '엔저' 영향에 힘입어 일본행 여행객이 늘자 지방발 일본 노선을 늘린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제주항공은 오는 9월 6일부터 부산~도쿄(나리타) 노선을 매일 1편 증편한다. 기존 데일리 운항에 1편을 추가해 매일 2편을 운항한다. 사용 기재는 189석 보잉 737-800이다. 기존 오후편에 오전편을 더해 여객의 편의성을 돕는다. 추가되는 일정은 김해국제공항에서 오전 8시 20분에 출발해 나리타국제공항에 오전 10시 35분에 도착한다. 귀국편은 나리타공항에서 오전 11시 35분에 출발해 부산에 오후 2시 5분 도착한다. 기존 스케줄은 부산에서 오전 11시에 출발해 나리타에 오후 1시에 도착한다. 돌아오는 항공편은 오후 2시에서 출발해 부산에 오후 4시 35분에 도착한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시장 상황에 맞춰 탄력적인 노선 운영을 하고 있다"며 "부산발 나리타행 증편 운항은 동계스케줄(10월 30일)까지 운영한다"고 밝혔다. 한편 제주항공이 최근 유튜브에서 공개한 BTS 래핑 항공기의 메이킹 영상은 조회수 117만회를 기록하고 있다. 제주항공은 방탄소년단의 데뷔 10주년을 기념하는 '2023 BTS FESTA'에 공식 파트너사로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인도 전기차 시장 '톱10'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현지 정부 전동화 전략에 보조를 맞춰 투자를 진행하는 등 꾸준하게 입지를 늘려간 데 따른 성과이다. 특히 현대차의 경우 '톱5' 진입까지 한 계단 남은 상태이다. 7일 인도 도로교통부 데이터(Vahan Dashboard)에 따르면 현대차·기아는 올해 들어 7월까지 인도 전기차 시장에서 누적 963대를 판매했다. 단일 브랜드 기준 현대차가 710대로 6위, 기아는 253대로 9위를 기록했다. 1위는 타타모터스가 차지했다. 같은 기간 총 3만4908대를 판매했다. MG모터는 4456대로 2위, 마힌드라는 1955대로 3위에 올랐다. 이어 BYD와 PCA가 각각 1317대와 1280대로 4위와 5위에 랭크됐다. BMW는 568대로 6위 현대차에 이어 7위, 볼보는 271대로 8위를 기록했고 메르세데스-벤츠는 230대로 9위 기아에 이어 10위에 올랐다. 현대차·기아는 현지 전기차 시장 공략을 토대로 지속해서 판매량을 확대, '톱5' 전기차 브랜드로 거듭나겠다는 계획이다. 타타모터스 등 로컬 브랜드 전기차 판매량을 감안하면 아직까진 현저히 낮은 판매량을 나타내고 있지만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 정부가 지원한 탄소권 거래소가 정식 설립됐다. 대만 탄소배출권거래소는 관련 법령이 정비되면 본격적으로 탄소배출권 거래를 지원한다. [유료기사코드] 대만 탄소배출권거래소가 7일 가오슝에 정식 설립됐다. 대만 탄소배출권거래소는 대만 증권거래소와 국가개발발전위원회가 공동으로 설립했으며 탄소 컨설팅, 교육, 탄소배출권 거래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대만 탄소배출권거래소는 설립과 함께 초기에는 탄소 컨설팅, 교육 등에 집중한다. 컨설팅에는 탄소 수수료, 부과금, 국경세, 공급망 탄소 중립과 같은 문제에 대해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기업들에 대한 교육과 훈련 서비스도 제공된다. 탄소배출권거래는 현재 논의되고 있는 기후변화대응법 하위법령이 정비되면 시작된다. 관련 하위법령은 올해 연말까지 제정될 예정으로 탄소배출권 거래는 2024년 상반기 중으로 시행될 것으로 보인다. 대만정부는 연간 2만5000톤 이상의 탄소를 배출하는 소비자에게 탄소세를 징수할 예정이다. 대만정부는 탄소배출권거래를 본격화해 2050년 탄소중립을 달성한다는 목표다. 또한 이런 목표하에 대만 주요기업들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친환경 전기에너지 사용량을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생명공학회사 징코 바이오웍스(Ginkgo Bioworks)가 파나마 정부의 차단 방역 역량 강화를 지원한다. 징코 바이오웍스는 파나마 고르가스메모리얼연구소와 중남미 지역에서 새로운 차단 방역 기능을 개발·구현하기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7일 밝혔다. 징코 바이오웍스는 파나마를 비롯해 주변 국가의 기초 차단 방역 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차단 방역 인프라를 강화하는 동시에 병원체 감지·식별·모니터링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할 방침이다. 징코 바이오웍스는 "파나마의 차단 방역 역량은 국가 보건을 비롯해 중남미 지역의 안보를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지난 2008년 설립한 징코바이오웍스는 세포 프로그래밍을 위한 수평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는 생명공학회사다. search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 빌 게이츠가 투자한 것으로 유명하다. 이 회사는 합성생물학에 기반한 바이오 파운드리를 이용해 기존보다 최대 20배는 빠른 속도로 신약 실험을 수행하고 제품을 생산하는 균주를 개발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뉴스케일파워가 인도네시아 전력공사(PLN)·국가연구혁신청(BRIN)과 소형모듈원자로(SMR) 건설을 위한 준비 작업에 돌입했다. 두산에너빌리티와 삼성물산, GS에너지 등 국내 파트너사의 SMR 사업 영토가 넓어질 전망이다. 7일 BRIN에 따르면 이 기관은 지난 2일(현지시간) PLN, 뉴스케일파워와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에 '기술·경제성 분석(Techno-Economic Analysis, TEA)'을 수행하기 위한 킥오프 미팅을 개최했다. 8개월 동안 뉴스케일파워의 'VOYGR' 기술과 비용, 사회·환경에 미치는 영향, 규제 현황 등을 전반적으로 살핀다. 유력 부지로 서부 칼리만탄이 거론된다. 뉴스케일파워는 일찍이 인도네시아와 SMR 사업 협력을 논의해왔다. 작년 6월 미국 상무부가 이끄는 무역사절단에 뉴스케일파워가 동행해 인도네시아를 방문했다. 인도네시아 진출 계획은 올해부터 구체화됐다. 뉴스케일파워는 지난 2월 PLN, BRIN과 VOYGR 건설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본보 2022년 6월 8일 참고 뉴스케일파워, 인니 진출 타진...두산·삼성·GS '원전 영토' 넓어지나> 미국 무역개발청(UST
[더구루=정등용 기자] 한국중부발전이 호주에서 300MW(메가와트)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 건설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현지 기업들과 협력해 효율적이며 효과적인 개발 사업을 추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한국중부발전은 지난 4일(현지시간) 노던 주(Northern Territory) 정부, 라라키아 에너지와 대규모 태양광 에너지 프로젝트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호주 현지 기업으로 참여한 라라키아 에너지는 라라키아 개발 공사와 자원 재생 에너지 기업 프로그레시브 그린 솔루션(Progressive Green Solutions), 코미포(Komipo)가 합작 투자한 회사다. 이번 프로젝트는 호주 노던 주 다윈 항구에 자리한 ‘미들 암 지속가능 개발 구역(Middle Arm Sustainable Development Precinct)’ 인근 토지에 300MW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를 짓는 것을 골자로 한다. 프로젝트 계약 기간은 2년으로 아직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다. 다만 업체들은 미들 암 지속가능 개발 구역으로 직접 연결되는 전용 송전선 구축을 우선 진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프로젝트 부지에는 현재 산토스(Santos)와 이치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와 캐나다 의류매장과의 '제네시스' 상표권 분쟁이 5년 만에 마무리됐다. 프리미엄 제품을 다룬다는 공통점은 있지만 직접적인 경쟁이 이뤄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소모적인 소송을 멈추자는 데 합의했다. 7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최근 제네시스와 같은 이름을 사용하는 캐나다 토론토 남성 의류 업체를 상대로 제기한 소송을 취하했다. 지난달 양 당사자 간 합의를 통해 상표명을 유지하기로 했다. 최초 소송 제기 약 5년 만에 싸움이 극적으로 마무리된 셈이다. 다만 구체적인 합의 내용은 따로 공개되지 않았다. 피고인 제네시스는 메이드 인 이탈리아 패션을 전문으로 하는 남성 기성복 업체이다. 제네시스 상표는 1987년부터 사용했다. 제네시스와 현대차의 상표권 분쟁은 제네시스가 캐나다에 진출한 지 2년 뒤인 2018년부터 시작됐다. 현대차를 대신해 현지 브랜드 상표권 정리를 담당한 로펌 'Lavery De Billy LLP'가 캐나다 산업부(Industry Canada) 산하 기관인 캐나다 지식재산관리청(Canadi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CIPO)에 이의를 제기하면서 일부 상품에 대한 상표권을 잃었고 장기간
[더구루=김형수 기자] 이안에프엔씨의 매스티지 뷰티 브랜드 투에이엔(2aN)이 일본 시장 공략에 고삐를 죄고 있다. 공식 홈페이지를 개설하고 온라인을 중심으로 판로 확대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7일 투에이엔 일본 협력업체 MXN 재팬(MXM JAPAN)에 따르면 투에이엔은 현지 공식 홈페이지를 오픈했다. 홈페이지에서 △분위기에 맞는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듀얼 치크 △가볍게 밀착돼 피부를 화사하고 윤기나게 해주는 글리밍 텐션 팩트 △매트·쉬머·글리터 등으로 구성된 아이섀도우 팔레트 △촉촉하고 맑은 광택이 나는 입술을 연출할 수 있는 듀 글로이 틴트 등을 판매하고 있다. 투에이엔은 홈페이지 오픈을 기념한 이벤트를 개최하며 고객몰이에 나섰다. 오는 10일까지 듀 글로이 틴트를 구매한 소비자에게 듀 글로이 틴트 하나를 무료로 제공하는 1+1 프로모션을 펼칠 예정이다. 제품 선택창에서 원하는 컬러를 고를 수 있다. MXN 재팬은 "투에이엔은 '본래의 아름다움을 각성시킨다'는 컨셉을 지닌 뷰티 브랜드"라면서 "한국 아이돌들이 다니는 유명 메이크업숍에서도 사용하는 고품질 아이템을 선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투에이엔이 온라인을 중심으로 현지 시장 확대를 본격화하는 모습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2019년 5월, 5G 통신망 서비스를 상용화하며 시장을 선도했던 영국이 글로벌 5G 모바일 네트워크 구축 경쟁에서 뒤쳐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한 요인으론 여전히 낮은 가용성이 꼽히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7일 통신 리서치업체 오픈시그널의 글로벌 5G 경험 벤치마킹 보고서에 따르면 영국의 5G 가용성은 10.1%에 머물렀다. 5G 가용성은 5G 스마트폰 사용자가 실제 5G 서비스에 연결되는 시간을 수치화 한 것이다. 오픈시그널의 조사에 따르면 푸에르토리코가 48.4%로 1위, 한국이 42.9%로 2위를 기록했다. 영국의 가용성 순위는 선진국 및 개발도상국 56개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39위에 불과한 수치였다. 오클라(Ocla)의 보고서에 따르면 영국 5G 다운로드 속도도 25개 선진국 중 21위로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에 뒤처졌다. 영국 통신규제기관인 오프컴(Ofcom)은 5G 커버리지도 도시에서는 82% 지역이 적어도 한 개의 통신사가 제공하는 5G망 안에 포함되지만 도시를 벗어나면 일부 지역에서는 22%로 떨어졌다. 유럽 내에서 5G 스마트폰 판매량이 가장 많은 국가임에도 영국의 5G 통신망 수준은 전반적으로 발전이
[더구루=윤진웅 기자] 금호타이어가 상하이자동차(SAIC) 소형 해치백 MG3 후속 전기차 모델에 신차용 타이어(OE)를 공급한다. 안정적인 제어와 제동 성능 등 제품 경쟁력을 인정받은 데 따른 결과이다. 7일 업계에 따르면 MG3 후속 전기차 모델에 금호타이어 '솔루스 HS63'이 OE로 장착된다. 최근 포착된 MG3 후속 전기차 모델 추정 차량 스파이샷 사진이 공개되며 알려졌다. 해당 스파이샷에는 195/55 R16 사이즈 제품이 결합된 모습이 담겼다. 솔루스 HS63는 승용차용 고성능 여름용 타이어다. 건조하고 젖은 표면에서 안정적인 제어와 제동 성능을 발휘한다. 낮은 소음과 부드러운 주행감, 뛰어난 내구성이 특징이다. 지난 '2021 중국 CGD 어워드'에서 본상을 수상하는 등 제품 경쟁력도 인정받았다. CGD는 2015년부터 개최된 시상식으로 독일 레드닷이 출품작을 심사한다. MG3 후속 전기차 모델은 내년 출시될 예정이다. 이번 스파이샷 공개에 이어 SAIC가 유럽 특허청에 관련 특허 이미지를 등록한 사실이 알려지며 출시 시기가 임박했다는 전망이 나왔다. 특히 OE로 장착되는 솔루스 HS63이 여름용 타이어라는 점에서 2분기 고객 인도가 이뤄질 것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의 차세대 원자력 산업에서 가장 큰 고민거리 중 하나였던 '고순도 저농축 우라늄'(High-Assay Low-Enriched Uranium·HALEU) 공급망 구축을 위해 핵심 기업들이 손을 잡았다. [유료기사코드] 1일 원자력국제공학협회(Nuclear Engineering International)에 따르면 오픈AI 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CEO)인 샘 알트만이 투자한 미국 원자력 기술 기업 오클로(Oklo)는 SK와 HD현대가 투자한 미국 소형모듈원자로(SMR) 스타트업 '테라파워'와 동위원소 농축회사 헥시움(Hexium)과 협력해 HALEU 생산을 가속화한다. 오클로와 테라파워, 헥시움 등 3사는 미국 에너지부(DOE) 산하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LLNL)와 협력해 첨단 레이저 동위원소 분리 기술(AVLIS)을 활용, 미국 내 HALEU 생산 인프라를 구축해 를 상업화 전략을 본격화한다. AVLIS는 기존 원심분리기 기반 방식과 달리 미세 조정된 레이저를 사용해 우라늄 동위원소를 선택적으로 이온화해 더욱 정밀하고 에너지 효율적인 농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콤팩트한 설계로 우라늄 기체상태(육불화우라늄)로의 화학적 전환이
[더구루=홍성일 기자] 엔비디아가 캐나다의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을 사들였다. 엔비디아가 핵심 AI 인재를 확보하기 위한 대규모 투자 행렬에 동참한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1일 업계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토론토에 본사를 둔 센트ML(CentML)을 인수했다. 금액 등 세부적인 인수 내용을 공개되지 않았다. 센트ML은 머신러닝(ML) 모델이 컴퓨팅 리소스, 즉 하드웨어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솔루션을 개발했다. 센트ML의 솔루션을 이용하면 컴퓨팅 리소스를 ML 구축에 최적화해, 개발 비용 등을 절약할 수 있다. 이에 센트ML은 지난 2023년 9월 시드 투자 라운드를 통해 구글과 엔비디아, 딜로이트 등에서 3700만 캐나다 달러(약 370억원)를 투자받은 바 있다. 이번 인수로 센트ML의 공동창업자와 엔지니어가 대거 엔비디아에 합류하게 됐다. 공동창업자인 겐나디 페키멘코(Gennady Pekhimenko) 최고경영자(CEO)와 아크바르 누르바예프(Akbar Nurlybayev) 최고운영책임자(COO), 샘 왕(Sam Wang) 최고기술책임자(CTO) 등은 각각 엔비디아 AI 소프트웨어 부문 수석 이사, AI 소프트웨어 부문 수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