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다정 기자] 노바티스가 개인 맞춤형 원샷 항암제 '킴리아'(성분명 티사젠렉류셀)의 허가신청에 돌입했다. 노바티스는 27일(현지시간)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유럽의약품청(EMA)가 2차 치료 후 재발성 또는 불응성 여포성 림프종(FL) 환자를 위한 티사젠렉류셀에 대한 생불학적 제제 허가 신청서(BLA)를 각각 수락했다고 밝혔다. 또 티사젠렉류셀에 대해 FDA는 sBLA에 대한 우선심사를 승인했고, 유럽위원회(EC)는 이전에희귀의약품 지정을 승인했다. 제프 레고스 노바티스 총괄 부사장은 "킴리아가 유럽위원회와 FDA로부터 각각 희귀의약품과 우선심사대상으로 지정된 것은 여포성 림프종 환자에 대한 충족되지 않은 수요와 시급성을 강조한다"고 말했다. 이번 승인은 2차 치료 후 재발성 또는 불응성 여포성 림프종 환자 개인을 위한 티사젠렉류셀의 효능과 안전성을 결정하기 위한 임상 2상 Elara 시험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다. 시험은 1차 평가변수를 충족했으며, 안전성 프로파일은 주입 후 첫 8주 이내에 3등급 이상의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을 경험한 개인이 없음을 보여줬다. 이 연구 결과는 올해 미국 임상 종양 학회 가상 과학 회의에서 발표됐다. 킴리아는
[더구루=김다정 기자] 캐나다 대마초 업체 헥소(HEXO)가 전략적 조직 개편의 일환으로 최고경영자(CEO)를 전격 교체했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세바스티앙 생루이스(Sébastien St. Louis) 헥소 CEO는 헥소 투자자들이 사임을 요구하면서 대표 자리에서 물러나 회사를 떠나게 됐다. 최고 운영 책임자(COO)인 도널드 코트니(Donald Courtney)도 사임했다. 헥소는 새 CEO로 포장 제품 산업 임원인 스코트 쿠퍼(Scott Cooper)를 임명했다. 코트니는 후임자를 찾을 때까지 COO로 남는다. 생루이스는 헥소가 캐나다에서 가장 큰 대마초 생산자 중 하나로 성장하는 데 도움을 준 인물이다. 하지만 최근 대마초 회사를 인수하기 위해 과도한 빚을 지자 투자자들은 지난 9월 CEO를 비판하는 서한을 보냈고 결국 퇴출됐다. 올해 초 헥소는 현금과 주식으로 9억2500만 캐나다 달러(약 8772억원)자금을 조달해 아르비브(Arviv)와 레데칸(Redecan)의 주요 주주가 됐다. 이어 48노스(48North)와 제나비스(Zenabis)를 각각 5000만 캐나다 달러(약 474억원), 2억3500만 캐나다 달러(약 2229억원)에 인수했다. 두
[더구루=김다정 기자] 미래에셋이 투자한 미국 인공지능(AI) 신약개발 스타트업 '벨로헬스'(Valo Health)가 미국 증시 입성 초읽기에 들어갔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 코슬라 벤처스 어퀴지션(Khosla Ventures Acquisition, KVSA)은 내달 16일(현지시간) 특별주주회의를 열고 밸로헬스 합병 안건을 처리할 예정이다. 사업 결합이 완료되면 KVSA는 밸로헬스 홀딩스(Valo Health Holdings, New Valo)로 이름을 변경하고, 뉴 밸로 주식은 뉴욕 증권 거래소에서 'VH' 기호로 거래될 예정이다. 이번 스팩거래를 통한 밸로헬스의 기업가치는 28억 달러(약 32조3000억원) 규모로 추정된다. 합병된 회사는 예상 거래 비용을 공제하기 전 약 7억5000만 달러(약 9000억원)의 추정 현금 잔고를 갖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밸로헬스는 인간 중심 데이터와 인공지능(AI) 기반 계산을 사용해 신약 개발 프로세스를 혁신하기 위해 설립된 회사다. 치료제 개발을 가속화하는 동시에 비용·시간과 실패율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자사 AI 신약 개발 플랫폼 '오팔 컴퓨테이셔널 플랫폼'(Opal Comp
[더구루=김다정 기자] 제넥신의 중국 파트너사인 아이맵(I-Mab)이 제품 출시를 위해 시노팜(Sinopharm)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아이맵은 시노팜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사업 역량을 강화하고 상업화 전환을 가속화한다. 이번 파트너십은 중국의 긴급한 미충족 의료 수요를 해결하기 위해 아이맵 제품의 상업화와 시장 출시 프로세스를 공동으로 가속화하기 위한 주요 프로젝트 동맹이다. 아이맵은 300개 이상의 시노팜 자회사를 통해 중국 전역에 제품을 유통한다는 계획이다. 주 이페이 아이맵 최고상업책임자는 "시노팜은 중국 제약 공급망, 유통·소매 산업의 선두주자로서, 시장 접근에 대한 광범위한 자원과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며 "시노팜과 협력을 통해 우리의 차별화된 신약을 더많은 중국 환자들에게 제공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현재 아이맵은 시장 경쟁력이 있는 후기 단계 임상 개발을 빠르게 진행하고 있다. 3차 다발성 골수종 치료를 위한 신약 후보물질인 펠자타맙(Felzartamab)은 올해 말 중국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에 신약 허가신청서(BLA)를 제출할 계획이어서 가장 먼저 중국 시장에 출시될 예정이다. 또한 다발성 골수종 환
[더구루=김다정 기자] 독일 신약개발회사 에보텍(Evotec)이 미국 나스닥 기업공개(IPO)에 나선다. 에보텍은 26일(미국 현지시간)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권 거래소(EVT)에서 전환된 주식의 종가인 26.16달러에 2200만 ADS(미국 주식예탁증권)를 제공해 5억7600만 달러(약 6716억원)를 조달할 계획이다. 이번 IPO를 통해 92억 달러(약 11조원)의 기업가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프랑크푸르트 증권 거래소의 시가총액은 83억 달러(약 10조원)다. 1993년에 설립된 에보텍은 제약 회사에서 더 빠르고 저렴한 약물 발견을 가능하게 하는 일련의 기술을 제공한다. 서비스에 대한 수수료를 부과하고, 이정표와 로열티를 수집하고, 생명공학의 지분을 소유함으로써 수익을 창출한다. 에보텍은 자체 개발한 인디고(INDiGO) 플랫폼을 기반으로 MSD, 바이엘, 다케다 등 유수의 글로벌 제약사와 프로젝트를 수행해 왔다. 현재 130개 이상의 파이프라인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 3월에는 일동제약과 신약개발 관련 제휴를 체결한 바 있다. 임상 전단계 연구과제의 협력을 통해 일동제약이 보유한 혁신신약 후보물질의 글로벌 임상시험 진입시기를 앞당기기 위해서다
[더구루=김다정 기자] 일라이 릴리가 초기 단계 알츠하이머 치료제 '도나네맙'(donanemab)의 미국 승인 절차를 시작했다. 릴리는 26일(현지시간)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자사 치매 치료제인 도나네맙에 대한 연구 데이터를 제출하고 승인을 요청했다. 아나트 아쉬케나지 릴리 최고재무책임자(CFO)는 "회사는 앞으로 몇 달 안에 신청서를 완료할 예정"이라며 "오는 2022년 하반기에 FDA 결정이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올해 초 릴리는 약 27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도나네맙을 정맥 주입 한 소규모 중간 임상 연구에서 18개월 동안 초기 단계의 알츠하이머 환자의 인지 및 기능 저하를 완만하게 늦췄다고 보고했다. 이 약물은 또한 연구에서 환자의 아밀로이드 플라크를 상당히 제거했다. 이번 도나네맙 승인 개시 결정은 FDA가 최근 20년 만에 최초로 바이오젠의 알츠하이머치료제 '아두헬름'(Aduhelm)을 승인한 지 몇 달 만에 나온 것이다. 업계에서는 릴리가 약 150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약물에 대한 지속적인 후기 단계 연구에서 더 많은 데이터가 필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연구 결과가 도출될 것으로 예상되는 2023년에 FDA 승인 신청서를 제출할 것
[더구루=김다정 기자] 화이자와 일라이릴리가 골관절염(OA) 통증 치료제 타네주맙(tanezumab) 개발을 중단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화이자와 릴리는 올해 초 미국 식품의약국(FDA)가 타네주맙 승인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제시한 이후 타네주맙에 대한 글로벌 임상을 중단했다. 타네주맙은 화이자와 릴리가 지난 2013년 11월 공동개발‧발매를 진행키로 합의하고 골관절염, 만성 요통 및 암성통증 치료제로 연구‧개발을 진행 중인 기대주였다. 지난 3월 FDA의 관절염자문위원회와 의약품안전성·위해성관리자문위원회는 양사가 제출한 생물학적제제 허가신청(BLA)에 대해 '타네주맙은 효능이 크지 않은데 비해 위험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승인 반대 의견을 제시했다. 타네주맙 임상연구 결과, 타네주맙을 투약한 환자 중 관절 손상이 빠르게 악화된 환자가 있었다. 일부는 고관절 또는 무릎 치환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부종 또는 신경손상이 발생한 환자도 있었으며, 건강한 관절이 손상된 사례도 보고됐다. FDA 자문위원회는 승인 심사 과정에서 외부 의료전문가의 독립적인 의견과 권고를 FDA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FDA는 자문위원회의 의견을 고려해 최종 결정을 내
[더구루=김다정 기자] 국내 대표 식품업체들이 대만 '한국상품전시회'에 참여하면서 K-푸드 열풍을 달군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빙그레와 풀무원 등은 지난 21일부터 내달 1일까지 대만 타이중에서 열리는 '제5회 한국상품전'에 참가한다. K-푸드 열풍에 힘입어 이 행사는 대만 TV뉴스에도 소개됐다. 이번 행사에는 국내 식품업체들의 56개 인기브랜드를 선보일 예정이다. 소비자가 박람회 오는 것만으로 이국적인 풍습을 경험할 수 있게 하겠다는 취지다. 또 외국에 가지 않아도 해외 상품을 특가로 할인해 살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한다. 오프라인 행사뿐 아니라 온라인 쇼핑몰 'BKSHOP'과 연계해 소비자들이 상품을 보다 쉽게 구할 수 있도록 했다. 제주도 직송감귤부터 다양한 한식 조미료·소스와 즉석식품까지 폭넓은 제품군을 쉽게 접할 수 있다. 특히 이번 행사에는 빙그레 바나나맛·바닐라맛 우유와 풀무원 정백홍 라면이 대대적인 홍보에 나서며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이들 제품은 BKSHOP 메인을 장식하고 있다. 빙그레는 지난 2004년 미국을 시작으로 태국 포함 중국, 대만, 홍콩, 뉴질랜드, 캐나다, 싱가포르, 필리핀, 말레이시아 등에 바나나맛 우유를 수출하고 있다. 유
[더구루=김다정 기자] 미국 뉴욕에서 아시아계 인구가 급증하면서 아시아 브랜드 열풍이 불고 있다. 그 중심에는 연내 미국 100호점 돌파가 확실시 되는 SPC '파리바게뜨'가 있다. 뉴욕타임즈는 최근 뉴욕에서 아시아 인구가 빠르게 증가하는 현상에 주목하면서 이에 따른 지역 경제 변화에 대해 보도했다. 특히 뉴욕주 퀸즈 롱아일랜드시티(Long Island City)의 인구구조를 집중조명했다. 뉴욕타임즈는 "아시아 인구는 미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소수 민족 그룹이 됐다"며 "아시아계 거주자의 급증은 정치·사회·경제에 이르기까지 많은 커뮤니티를 변화시켰다"고 설명했다. 미국 인구 조사 데이터에 따르면 2010년 이후 뉴욕시의 아시아인 인구는 34만5000명 이상 증가해, 도시 전체 인구의 15.6%를 차지한다. 아시아인은 뉴욕의 5개 자치구 모두에서 성장한 유일한 주요 민족 그룹이다. 뉴욕타임즈는 "이들 지역은 변화하는 인구구조에 따라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며 "주요 상업 지역에는 많은 사람들의 수요에 따라 한국 베이커리 체인 파리바게뜨를 비롯해 한·중·일의 매장이 들어서고 있다"고 말했다. 인구구조 변화에 따라 미국 내 아시아 브랜드
[더구루=김다정 기자] 시지바이오(CGBIO)와 대웅제약이 인도네시아 화상 환자 치료를 위해 손을 잡았다. 재생의학 전문기업 시지바이오는 지난 21일(현지시간) 대웅제약 인도네시아와 화상환자를 위한 구호품을 후원하기 위해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 이번 후원은 한림대학교 한강성심병원과 한림화상재단이 공동으로 진행하는 한-아세안 화상의료팀 역량강화 프로그램 후속사업의 일환이다. 이 프로그램은 경제적, 사회적 이유로 적절한 화상 치료를 받지 못한 인도네시아의 화상 환자를 의료진의 지원을 통해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 한림화상재단은 해피빈을 통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어려운 상황에 처한 인도네시아 의료진의 소식을 듣고 온라인 모금을 통해 총 1억4300만 루피아에 달하는 보호복과 화상 환자들을 위한 보습 크림을 인도네시아 현지 병원 파트너들에게 기부했다. 시지바이오도 지난 9월 Cipto Mangunkusumo Hospital(RSCM), Pertamina Central Hospital(RSPP), Bunda Jakarta Hospital 등 인도네시아 7개 병원과 직원 13명에 화상 환자를 위한 방호복, 마스크, 보습 크림 등의
[더구루=김다정 기자] 내년 완공 예정인 오리온 러시아 3공장에 대한 러시아 주정부의 특급지원이 이어지고 있다. 트베리(Tver)주는 오리온 공장까지 화물 운송용 도로를 건설한다. 26일 러시아 트베리주와 업계에 따르면 지난 22일 열린 러시아 트베리 지방자치단체 산하 토지관계 부처간 위원회 회의에서 오리온 3공장 투자 프로젝트를 위한 운송 인프라 제공 문제가 논의됐다. 이날 회의에서 트베리주는 기존 토지를 농지 범주에서 산업 및 기타 특수 목적 범주로 이전하기로 결정하면서 오리온 공장까지 화물 운송용 도로를 건설하기로 했다. 도로공사는 2022년 시작될 예정이다. 트베리주 자료를 내고 "오리온 공장 건설 프로젝트는 트베리 지역에 대량 생산, 화물 회전율 세금 공제를 제공할 것"이라며 "오리온 공장 건설은 볼가 상류 지역 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고 밝혔다. 현재 오리온은 790억원을 투입해 러시아 3공장 건설에 착공하면서 현지 생산능력 확대 작업에 본격 착수했다. 현지에서 가동중인 2개 공장만으로는 생산이 포화상태에 이를 정도로 러시아 매출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오리온 3공장은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업무보고에도 등장할 정도로 트베리
[더구루=김다정 기자] 아모레퍼시픽 헤어뷰티 라인이 동남아시아에서 질주하고 있다. 스킨케어에 이어 아모레퍼시픽 볼륨제품으로 자리매김하는 양상이다. 26일 아시아 최대 헬스·뷰티 체인 업체인 왓슨(Watson)에 따르면 최근 아모레퍼시픽의 헤어브랜드 미쟝센 염색약 '헬로버블' 동남아 판매가 수직상승하고 있다. 헬로버블은 왓슨과의 파트너십 이후 연평균 90%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특히 최근 온라인 스토어에서 가장 어울리는 헤어 컬러 선택 후 클릭 주문하는 4주 이벤트기간 동안 헬로버블의 매출이 1000% 이상 증가하면서 헤어컬러 시장 1위 자리를 굳건히 하고 있다. 헬로버블 라인은 고유의 거품 기술력을 활용해 잘 흘러내리지 않아 인기가 많다. 집에서도 냄새 부담 없이 쓸 수 있도록 암모니아 성분을 배제했고 펌프와 캡 등 염색을 돕는 키트를 함께 제공해 초보자도 손쉽게 쓸 수 있다. 헬로버블은 2018년 대만 왓슨에 처음 런칭한 이후 2020년부터 점차적으로 대표 제품인 ‘헬로 버블’이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태국 등 왓슨 매장에서 독점판매되고 있다. 곧 홍콩에서도 판매될 예정이다. <본보 2021년 10월 25일자 참고 아모레퍼시픽 미쟝센·코스알엑스, 亞
[더구루=김은비 기자] 중국 12인치(300㎜) 웨이퍼 공장 수가 오는 2027년까지 70곳을 넘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미국의 대중 제재에도 불구, 중국은 반도체 굴기를 지속하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31일 중국 광다(光大)증권에 따르면 중국 내 12인치 웨이퍼 공장 수는 2024년 29개에서 오는 2027년 71개로 늘어날 전망이다. 2027년 글로벌 전체 12인치 웨이퍼 공장 수는 239개가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중국 공장이 전 세계 공장의 약 30%를 차지하는 셈이다. 중국 내 웨이퍼 공장 확대는 지정학적 리스크에 대응하는 한편 인공지능(AI) 칩 수요 급증 등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의 대중 제재가 오히려 중국 본토의 첨단 반도체 공장 설립을 촉진, 현지 반도체 산업 발전에 가속도를 붙였다는 것이다. 미국은 지난 2022년 10월부터 18나노 공정 이하 D램, 14나노 이하 시스템 반도체 생산 장비와 기술에 대한 수출을 통제하고 있다. 이에 중국은 구형 반도체 기술로 눈을 돌리며 8인치(200㎜) 웨이퍼 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나 12인치 웨이퍼 생산도 이어나가고 있다. 12인치 웨이퍼는 첨단 반도체 제조
[더구루=정예린 기자] 스웨덴 볼보가 세계 각국에서 자사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차량 7만대 이상에 대한 리콜을 실시한다.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 결함이 리콜 원인으로 지목되며, LG에너지솔루션이 또 한번 대규모 리콜로 인해 재정적인 부담에 직면할 위기에 놓였다. [유료기사코드] 31일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에 따르면 볼보는 지난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생산된 하이브리드차 약 7483대에 대해 리콜을 실시한다고 발표했다. △캐나다 585대 △스웨덴 약 8000대 △독일 4825대를 포함해 전 세계적으로 약 7만3000대의 차량이 영향을 받게 된다. 리콜 대상 모델은 △S60 △S90 △V60 △V90 △XC60 △XC90 등 6종이다. LG에너지솔루션이 2019년 6월부터 2021년 11월까지 중국 난징에서 생산한 고전압 배터리 모듈이 탑재됐다. 해당 배터리 모듈은 볼보의 첫 번째 세대 스케일러블 프로덕트 아키텍처(SPA) 플랫폼에 장착된다. 볼보는 LG에너지솔루션이 공급한 배터리 모듈의 제조 결함이 리콜 원인이라고 밝혔다. 배터리 모듈이 과열돼 내부단락(합선)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화재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