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윤근창 휠라홀딩스 사장이 오는 23일 취임 7년을 맞는다. 2조원에 머물던 매출은 7년 새 '4조 기업'으로 올라섰다. 창업주와 달리 전문적인 경영수업을 통해 체계적인 경쟁력을 갖추면서 기업체질 개선 등 '제2 도약'을 이뤘다. 내부에선 연이은 히트 상품 출시와 유능한 인재를 적재적소에 배치하는 데 전문 경영인급 오너 경영인으로 통한다. 윤 사장은 2007년 휠라USA 입사를 시작으로 경영 수업을 받았다. 휠라USA 최고재무관리자(CFO)를 맡아 브랜드 운영 재정비를 주도하며 3년 만에 휠라USA를 흑자로 전환시켰다. 2015년 휠라코리아에 합류해 전략기획본부장 겸 풋웨어본부장을 지냈다. 이후 2017년 휠라코리아 경영관리본부장, 2018년 휠라코리아 단독 대표이사 사장, 2020년 휠라홀딩스 대표 자리를 꿰찼다. 재무, 전략, 경영 분야 요직을 두루 거친 브랜드 전문가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휠라홀딩스는 2023년 4조66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윤 사장이 첫 지휘봉을 잡은 2017년 2조5303억원의 매출이 7년 새 매출이 1.58배 증가했다. 2년 연속 '매출 4조' 클럽을 달성했다. 2023
[더구루=김형수 기자] 파리바게뜨가 지난해 북미 시장 성적표를 공개했다. 지난해 패스트리 판매량은 전년 대비 2배 넘게 성장했다. 커피 등 음료 역시 급성장하며 북미에서 베이커리 카페 대표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평가다. 파리바게뜨의 현지 메뉴 포트폴리오 강화와 현지 소비자 접점 확대가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9일 파리바게뜨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에서 패스트리 4800만개 이상을 팔아치웠다. 전년 패스트리 판매량(약 2100만개)에 비해 약 2.3배 증가한 수치다. 단순 계산하면 미국에서 1분당 패스트리 약 91개가 팔려나간 셈이다. 파리바게뜨가 다양한 북미 소비자들의 입맛을 충족시킬 수 있는 폭넓은 패스트리 라인업을 구축, 단일 베이커리 메뉴 위주의 현지 베이커리 업체와 차별화한 것이 적중했다. 파리바게뜨는 미국에서 △버터 피칸 슈프림 크루아상(Butter Pecan Supreme Croissant) △ 라즈베리 아몬드 크루아상(Raspberry Almond Croissant) △베리 베리 패스트리(Very Berry Pastry) △블루베리 크림치즈 패스트리(Blueberry Cream Cheesse Pastry) △파인애플 브륄레 패스트리(Pineap
[더구루=김형수 기자] 더스킨팩토리의 퍼스널 브랜드 쿤달이 일본 대형 온라인쇼핑몰 큐텐(Qoo10) 이벤트에 참가, 열도 공략에 속도를 낸다. 대표 헤어케어 제품을 내세운 마케팅을 펼치며 일본 시장 내 입지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8일 큐텐재팬에 따르면 쿤달은 쇼핑 행사 '메가 포인트'(Mega Point)에 참가한다. 일본 주요 유통 업체와의 협력을 토대로 현지 소비자들에게 퍼스널케어 대표 제품 쿤달 허니&마카다미아 샴푸 체험 기회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브랜드 인지도를 제고하고 현지 사업을 확대하기 위한 쿤달의 행보로 풀이된다. 쿤달 허니&마카다미아 샴푸는 2016년 11월부터 지난해 3월까지 누적 판매량 1220만개를 돌파하며 쿤달 베스트셀러 자리매김한 제품이다. 쿤달은 일본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앞서 지난 3일까지 일본 대형 이커머스 플랫폼 아마존재팬과 손잡고 세일 행사를 진행 한 바 있다. 지난해에는 일본 편의점 로손과 협력도 강화했다. 구매 고객 대상 온라인 이벤트를 진행했다. 쿤달은 "큐텐 재팬이 주최하는 메가포인트 이벤트에 참여한다"면서 "쿤달 허니&마카다미아 샴푸를 비롯한 다양한 퍼스널 케어 제품을 선보일 예정"이
[더구루=김형수 기자] CJ ENM 미국 자회사 피프스시즌(FIFTH SEASON)이 제작한 다큐멘터리 '키스 더 퓨처'(Kiss the Future)가 미국작가조합상(Writers Guild Awards) 최종 후보로 선정됐다. 피프스시즌 다큐멘터리가 미국 시상식에 연달아 노미네이트되면서 CJ ENM이 글로벌 무대에서 콘텐츠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8일 미국작가조합에 따르면 피프스시즌 키스 더 퓨처는 '2025 미국작가조합상' 다큐멘터리 극본상(Documentary Screenplay) 부문 후보에 이름을 올렸다. 이매진 엔터테인먼트의 '짐 헨슨: 아이디어 맨'(Jim Henson: Idea Man), 넷플릭스의 '마사'(Martha), 서브마린 딜럭스의 '워 게임'(War Game) 등과 경쟁을 펼칠 예정이다. 최종 수상작은 오는 15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LA 소재 호텔 비벌리 힐튼(Beverly Hilton)과 뉴욕주 뉴욕시에 자리한 에디슨 볼룸(Edison Ballroom)에서 동시에 개최되는 제77회 미국작가조합상 시상식에서 발표된다. 미국작가조합은 지난 1949년 시작한 해당 시상식을 통해 매년 우수 영화, 텔레비전, 라디오 작품
[더구루=김형수 기자] 산토리 미국 법인 '산토리 글로벌 스피리츠'(Suntory Global Spirits·이하 산토리 글로벌)가 영국 시장에서 홀로서기에 나섰다. 영국 전역을 아우르는 자체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위스키, 진 등 다양한 주류를 선보이며 현지 시장 내 입지를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유료기사코드] 7일 업계에 따르면 산토리 글로벌은 영국 사업부를 공식 출범시켰다. 지난해 3월 관련 계획을 발표한 지 11개월 만이다. 런던을 중심으로 하는 자체 영국 사업 체계를 구축해 현지 사업 경쟁력을 제고하겠다는 것. 산토리 글로벌은 지난달까지 25년 동안 스코틀랜드 주류기업 에드링턴(Edrington)과 협력해 영국 사업을 전개했다. 산토리 글로벌 영국 사업부는 닉 템퍼리(Nick Temperley) 산토리 글로벌 영국·아일랜드·동유럽 매니징 디렉터가 진두지휘한다. 유통, 판매, 마케팅 등 영국 내 주류 사업 전반을 총괄하는 역할을 맡았다. 런던에 이어 영국 주요 도시와 스코틀랜드에 사업 거점을 마련하고 현지 시장 장악력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영국 전역에 네트워크를 확보하고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현지 주류 수요를 선점하기 위한 산토리 글로벌의 행보로 풀이된
[더구루=김형수 기자] 캔파이트 바이오파마(Can-fite Biopharma·이하 캔파이트)가 미국에서 개최되는 투자자 컨퍼런스에 참가해 글로벌 투자 유치에 나선다. 모티 파브슈타인(Motti Farbstein) 캔파이트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참석해 파트러링에 참여한다. 종근당은 2016년 캔파이트와 간암 치료제로서 나모데노손 국내 독점 공금 및 판매권 계약을 맺은 바 있다. 2019년 비알코올성 지방간염(MASH) 치료제로 추가 계약을 체결했다. [유료기사코드] 캔파이트는 오는 10일부터 이틀 동안 미국 뉴욕주 뉴욕시 맨하탄 소재 호텔 뉴욕 메리어트 마르퀴스(New York Marriott Marquis)에서 개최되는 '바이오 CEO&투자자 컨퍼런스'(BIO CEO & Investor Conference·이하 투자자 컨퍼런스)에 참가한다. 올해로 25회째를 맞는 투자자 컨퍼런스는 글로벌 주요 제약업체들이 참석해 바이오·제약 분야 최신 트렌드를 공유하고,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장으로 기능하고 있다. 올해의 경우 존슨앤드존슨(Johnson & Johnson)·BMS(Bristol-Myers Squibb) 등 제약회사, JP모건(JP M
[더구루=김형수 기자] 휴젤, 대웅제약, 메디톡스 등 K보툴리눔 톡신 3인방이 '안방'인 한국 시장 사수에 나선다. '고급화 전략'을 통해 한국 메디컬 에스테틱 시장을 선점한다는 계획이다. 국내 톡신주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할 경우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에도 더욱 힘이 실릴 것으로 기대된다. 7일 미국 시장조사기관 아리즈톤 어드바이저리 앤 인텔리전스(Arizton Advisory and Intelligence·이하 아리즈톤)에 따르면 오는 2029년 국내 메디컬 에스테틱 시장 규모는 11억4000만달러(약 1조6490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2023년 5억7214만달러(약 8270억원) 규모였던 시장이 향후 6년간 연평균 성장률 12.29%를 기록할 것이란 예상된다. 아리즈톤은 휴젤, 대웅제약, 메디톡스 등이 국내 메디컬 에스테틱 시장의 핵심 플레이어로 선정했다. 이들 기업은 미국 애브비(AbbVie), 스웨덴 칸델라(Candela), 이스라엘 루메니스(Lumenis) 등 유수의 글로벌 기업들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 아리즈톤은 국내 소비자들의 에스테틱에 대한 인식 개선, 방한 의료 관광 활성화 등에 힘입어 관련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메디컬 에스테틱
[더구루=김형수 기자] LF가 비건 뷰티 브랜드 아떼(athe)를 일본에 론칭하고 열도 화장품 시장에 도전장을 던졌다. 립밤, 자외선 차단제 등 다양한 아떼 화장품을 선보이며 일본에서 확산하고 있는 K뷰티 트렌드를 선도한다는 계획이다. 7일 일본 유통업체 세키도(Sekido)에 따르면 LF와 아떼 현지 독점 총판 계약을 체결했다. 1963년 설립된 세키도는 가히, 메디힐, 메디큐브 등 다양한 K뷰티 브랜드 제품의 일본 내 유통하고 있다. 세키도와의 협력은 아떼를 전면에 내세워 일본 비건 화장품 수요를 선점하겠다는 LF의 행보로 풀이된다. 미국 시장조사기관 그랜드뷰리서치(Grand View Research)는 오는 2030년 일본 비건 화장품 시장 규모가 13억7510만달러(약 1조9890억원)에 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난 2022년 7억1790만달러(약 1조390억원) 규모였던 시장이 향후 7년간 연평균 성장률 8.5%를 기록할 것이란 예상이다. 동물복지 및 환경보호에 대한 소비자 인식 개선이 시장 성장 요인으로 꼽힌다. 일본에서 K뷰티 열풍도 불고 있어 향후 시장성도 좋다. K팝·K드라마 등의 인기에 힘입어 국산 화장품에 대한 수요가 몰리고 있다. 일본
[더구루=김형수 기자] 영국 주류기업 디아지오(Diageo)가 미국 남부 앨라배마(Alabama)에 대규모 제조시설을 짓는다.북미 지역 생산 능력 향상과 공급망 효율성 개선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일자리 창출을 통해 앨라배마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이바지한다는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6일 업계에 따르면 디아지오는 미국 앨라배마주 몽고메리(Montgomery) 주류 생산·보관시설 건설에 착수했다. 약 3만3500㎡ 규모로 조성되는 해당 시설 설립을 위해 4억1500만달러(약 6020억원)를 투자한다. 올해 하반기 해당 공장이 가동에 들어가면 디아지오는 연간 수백만 케이스(케이스당 9ℓ) 규모의 북미 생산 능력을 확보하게 된다. 위스키 조니워커(Johnnie Walker)·크라운 로얄(Crown Royal), 보드카 스미노프(Smirnoff)·시락(Cîroc) 등이 앨라배마 공장에서 생산될 것으로 전망된다. 북미 영토 확장에 고삐를 죄는 모습이다. 디아지오는 미국·캐나다 등 북미에 12개 공장을 보유하고 있다. 아시아에 이어 북미에 생산기지를 건설하고 전세계 주류 시장 장악력을 높이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디아지오는 지난해 11월
[더구루=김형수 기자] 미국 식물성 유제품기업 뉴컬쳐(New Culture)가 비건 치즈를 출시한다. 현재 제품 라벨·등록 등 막바지 작업이 한창이다. 뉴컬처는 현지 외식업체와 손잡고 비건 치즈를 활용한 피자를 선보이며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이다. 뉴컬쳐는 2021년 CJ제일제당이 투자에 나서면서 국내에 알려졌다. CJ제일제당은 식물성 식품을 미래 신수종 사업으로 낙점하고 뉴컬쳐에 투자를 결정했다. 투자 금액은 비공개다. [유료기사코드] 6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식품농무부(이하 CFDA)에 따르면 뉴컬쳐는 비건 모짜렐라 제품에 대한 제품 등록을 절차를 밟고 있다. 식물성 카제인 기반 치즈 제품에 대한 관련 신청서가 CFDA에 접수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해당 신청서 제출은 제품 출시를 위한 마지막 단계로 꼽힌다. 뉴컬쳐 비건 모짜렐라 치즈는 정밀 발효 공정을 거쳐 생산된 식물성 카제인을 원료로 생산된다. 이밖에도 해바라기씨유, 코코넛 오일, 전분 등의 재료가 들어간다. 단백질과 탄수화물 등 영양소가 고루 함유돼, 콜레스테롤·락토오스 등의 성분은 들어있지 않아 건강한 식품이라고 회사측은 강조했다. 견과류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도 안심하고 먹을 수 있다
[더구루=김형수 기자] 유럽에서 '아일리아(Eylea)’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시장을 놓고 본격 경쟁이 펼쳐질 전망이다. 미국 생명공학 기업 암젠(Amgen)의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2종 유럽 출시에 청신호가 켜졌다. 지난해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품목 허가를 획득한 삼성바이오에피스, 셀트리온 등과 '퍼스트무퍼' 경쟁이 심화될 조짐이다. [유료기사코드] 6일 유럽의약품청(EMA) 산하 약물사용자문위원회(CHMP)에 따르면 △파블루(Pavblu) △스코조이(Skojoy) 등 암젠이 개발한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2종이 품목 허가 긍정 의견(Positivie Opinion)을 획득했다. 파블루와 스코조이의 오리지널 의약품은 미국 제약기업 리제네론(Regeneron)이 개발한 습성 연령관련 황반변성 등 안과질환 치료제 아일리아다. 아일리아는 연간 글로벌 매출 규모가 12조원에 달하는 블록버스터 제품이다. 미국에서 2023년 6월, 유럽에서 올해 5월 물질 특허가 종료될 예정이다. CHMP로부터 품목 허가 긍정 의견을 받는 것은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가 해당 의약품에 대한 최종 허가 여부를 결정하는 데 핵심적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긍정 의견을 획득한
[더구루=김형수 기자]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산업기계·소방특장차 전문기업 현대에버다임이 우크라이나에 '드릴 크레인 트럭'을 추가 공급한다. 1000조원 규모로 예상되는 우크라이나 전후 재건 사업으로 글로벌 영향력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전쟁 종식을 위한 협상에 나서면서 현대에버다임 장비가 대거 투입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6일 우크라이나 특수장비 제조업체 테흐콤플렉트(Техкомплект)에 따르면 현대에버다임과 협력해 생산한 드릴 크레인 트럭 5대를 현지 에너지 기업에 공급했다. 드릴 크레인 트럭은 지반에 구멍을 뚫고 필요한 자재를 설치하는 특수 장비다. 양사는 현대에버다임이 개발한 드릴 크레인 'HKTC HLC-8026A'를 이탈리아 상용차 브랜드 이베코 티웨이(T-WAY) 모델 트럭에 설치하는 방식으로 해당 드릴 크레인 트럭을 생산했다. 4륜구동 방식이라 지형에 구애받지 않고 운행할 수 있으며, 최대 11톤의 하중을 버틸 수 있어 대규모 에너지·건설 공사에 적합하다는 것이 테흐콤플레트의 설명이다. 지난해 3월 테흐콤플레트와의 협업을 토대로 현지 사업 준비를 마무리한 현대에버다임은 꾸준히 우크라이나에 드릴 크레인 트럭을 공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 메모리 반도체 전문기업 브이컬러 테크놀로지(V-Color Technology, 이하 브이컬러)가 '업계 최초' 64기가바이트(GB) 메모리 키트를 출시했다. 브이컬러는 신형 메모리 키트를 앞세워 고사양 컴퓨터가 필요한 전문가 컴퓨터 시장을 공략한다. [유료기사코드] 1일 브이컬러에 따르면 브이컬러 64GB DDR5 CUDIMM 메모리 키트는 32GB 메모리 2개로 구성됐다. 인텔 코어 울트라 프로세서와 Z890 메인보드에 최적화됐다. 올 2분기 중 글로벌 시장에 출시할 예정이다. 이 제품은 CUDIMM 기반으로 개발돼 전송 속도가 9000MT/s(초당 메가트랜스퍼)에 달한다. 전문 콘텐츠 제작과 게임, 고해상도 렌더링, 고급 멀티태스킹 등 까다로운 작업에 적합할 것으로 보인다. CUDIMM은 클럭을 최적화하는 클럭 드라이버 칩(Clock Driver IC, CKD)을 메모리 모듈에 내장하는 기술로, 신호 무결성을 강화해 고속 전송 환경에서 안정적인 성능을 보장한다. 브이컬러는 64GB DDR5 CUDIMM 메모리 키트에 RGB 조명과 하얀색 방열판을 적용, 디자인 만족도도 높였다. 브이컬러 관계자는 "64GB DDR5 CUDIMM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방산기업 록히드마틴이 메타에 이어 구글과도 인공지능(AI) 부문에서 협력한다. 록히드마틴은 구글의 AI 기술을 도입해 국가안보·항공우주 분야에 특화된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낸다. [유료기사코드] 1일 록히드마틴에 따르면 구글 공공부문 자회사 '구글 퍼블릭 섹터(Google Public Sector)'와 파트너십을 맺고, 록히드마틴 'AI팩토리(AI Factory)' 생태계에 구글 클라우드 AI 플랫폼 '버텍스 AI(Vertex AI)'를 통합한다. 록히드마틴의 AI팩토리는 다양한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기반으로 방산·항공우주 등 국가안보 분야 제품에 특화된 AI를 개발하는 플랫폼이다. 앞서 록히드마틴은 지난해 11월 메타와 계약을 맺고 AI팩토리에 생성형 AI 모델인 라마(Llama)를 도입하기도 했다. 버텍스 AI는 기업과 공공기관에서 전용 AI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개발할 수 있도록 필요한 개발 툴을 모아둔 플랫폼이다. 록히드마틴은 버텍스 AI를 AI팩토리와 통합해 △실시간 의사 결정 △항공우주 유지보수 예측 △엔지니어링 최적화 설계 등이 가능한 AI솔루션을 개발, 국가안보·항공우주 분야 역량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록히드마틴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