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쌍용자동차 평택공장이 5월 연휴 기간 가동 중단에 들어간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사태로 인도산 부품 공급에 차질이 생겼기 때문이다. 2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쌍용차 평택공장 1·3 생산라인이 오는 30일부터 다음 달 5일까지 가동을 중단한다. 쌍용차는 노동조합과…
[더구루=길소연 기자]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항공업계에 방호복 기능을 하는 '코로나 유니폼'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이미 대한항공이 승무원에게 방호복을 지급한 가운데 말레이시아 국적 저비용항공사(LCC) 에어아시아는 승무원 유니폼과 비슷한 컬러로 개인보호장비(PPE)를 지급한다. 29일 항공업…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 주요 기업들이 우즈베키스탄 코로나 지원 요청에 '코리안 어벤저스'를 구성, 인도적 지원에 나선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 정부는 우즈베키스탄 대사관의 코로나19 지원 요청에 자동차·건설사·제약회사 등으로 코리안 어벤저스를 구성, 구호품을 전달한다. 인도적 물품 지…
[더구루=홍성환 기자] 현대캐피탈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사태로 어려움을 겪는 북미 지역 딜러에 대해 금융지원에 나선다. 2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대캐피탈 아메리카는 미국 딜러를 대상으로 플로어플랜 대출(단기자금 대출) 상환을 최대 60일까지 연기해주기로 했다. 또 어려움을 겪는 판…
[더구루=길소연 기자] 두산의 캐시카우인 밥캣 공장이 또 다시 멈출 위기에 놓였다. 공장 재가동 후 코로나19 의심환자가 나오면서 노조 측이 공장 셧다운을 요구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전미철강노조 측이 두산밥캣의 미국 노스 다코타 그위너 생산공장에서 코로나 의심환자가 나왔다며…
[더구루=홍성환 기자] 현대엔지니어링이 폴란드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의료진 지원을 위해 인공호흡기 기부에 동참했다. 2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폴리체 정부는 지자체 보조금과 현대엔지니어링 기부금 등으로 마련한 인공호흡기를 신종 코로나와 최전선에서 싸우는 병원에 전달했다. 앞…
[더구루=길소연 기자] 두산밥캣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멈췄던 미국 공장이 생산 재개한지 나흘만에 코로나 의심환자가 발생해 비상이 걸렸다. 2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두산밥캣은 지난 24일(현지시간) 미국 노스 다코타 그위너 생산공장 일부 직원이 코로나19 의심을 증상을…
[더구루=홍성환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이후 글로벌 가치사슬이 재편되면서 멕시코가 부상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5일 코트라 미국 워싱턴무역관이 내놓은 '코로나19가 불러올 글로벌 밸류체인 변화'를 보면 신종 코로나 여파로 글로벌 공급 체계의 위기관리에 허점이 발생했다. 코트라…
[더구루=홍성환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로 인한 미국 실물 경제 충격이 경제 지표상으로 확인됐다. 3월 소매판매액은 사상 최대 하락 폭을 기록했고, 산업생산은 2차 세계대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미국 시장 상황 변화에 따라 진출 전략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조언이 나왔다. ◇ 미국…
[더구루=홍성환 기자] 멕시코 자동차 금융 시장이 1분기 위축된 가운데 현대·기아 파이낸스는 대출을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멕시코 자동차 딜러 협회(AMDA)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멕시코 자동차 금융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4.3%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 1분기 21만5209대 차량에 자금이 조…
[더구루=홍성환 기자] GS건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로 침체한 베트남 호찌민 부동산 시장을 이끌었다. 24일 부동산 컨설팅업체 세빌스 베트남이 내놓은 호찌민 빌라·타운하우스 시장 보고서를 보면 1분기 호찌민 빌라·타운하우스 공급은 1200가구로 전분기 대비 46% 증가했다. 전년보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국전력이 중국, 일본, 러시아, 이탈리아 전력회사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책을 알렸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한전은 최근 러시아 로세티(Rossetti), 중국 국가전력망공사(SGCC), 일본 텝코(TEPCO), 이탈리아 에니(ENI)·테르나(Terna) 등 5개 업…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인공지능(AI) 패권을 두고 미국과 경쟁하고 있는 중국이 자국산 반도체의 기술적 한계라는 벽에 부딪혔다. 딥시크의 자국 칩 사용 시도가 실패로 돌아가면서, 상당기간 중국이 미국 기술에 의존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23일 업계에 따르면 딥시크가 당초 5월 출시 예정이던 최신 거대언어모델(LLM) R2 출시를 당분간 미뤘다. 딥시크 R2 출시가 지연된 배경에는 중국 정부의 권고에 따라 도입한 화웨이 어센드(Ascend) 프로세서의 성능 문제가 있었다. 딥시크는 R2의 훈련 과정에 화웨이 어센드 칩으로 구성된 시스템을 도입했다. 문제는 어센드 칩 시스템이 단 한 번의 학습과정도 완료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화웨이 어센드 시스템은 R2 훈련에 필요한 막대한 양의 연산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결국 딥시크는 R2의 학습은 엔비디아 칩, 추론은 화웨이 어센드 칩을 활용하는 것으로 전략을 수정해야만 했고 출시도 지연될 수 밖에 없었다. AI 모델 개발에서 훈련은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하며 모델을 만드는 가장 연산 집약적인 단계이며, 추론은 이미 학습된 모델을 활용해 결과를 도출하는 것으로 하드웨
[더구루=홍성일 기자] 생성형 인공지능(AI) 애플리케이션(앱)의 폭발적인 성장에 힘입어 사상 처음으로 비게임 앱의 지출 규모가 게임을 앞질렀다. AI 기술의 발전이 모바일 앱 시장의 지출 지형도를 바꾸고 있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23일 모바일 데이터 분석기업 센서타워의 '2025년 2분기 디지털 시장 지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글로벌 모바일 인앱결제 수익은 전년 동기 대비 11.5% 증가한 410억 달러(약 57조3430억원)를 기록했다. 센서타워는 조사를 시작한 이래 분기 수익으로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덧붙였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는 비게임 앱 지출이 전년 동기 대비 24%나 급증한 211억 달러(약 29조5100억원)를 기록, 200억 달러(약 27조9700억원)에 머문 모바일 게임 부문을 사상 처음으로 넘어섰다. 10년 전 게임 부문 매출은 비게임 앱에 6배에 달했었다. 비게임 앱의 매출 성장은 구독 모델의 보편화와 숏폼 플랫폼 틱톡의 수익화 전략 성공 등으로 모바일 결제에 대한 심리적 장벽이 낮아진 것이 일차적인 이유로 꼽힌다. 틱톡은 인앱 결제를 통해 크리에이터에게 보낼 가상 선물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해 막대한 수익을 올리고